항목

  • 논증 論證, argument
    때로 이러한 절차는 전제로부터 결론을 연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잘못된 논증은 논리적 오류라고 한다(→ 오류). 수학에서 'argument'라는 용어는 함수의 영역에 있는 변수, 즉 독립변수를 의미하며, 보통 함수기호 다음의 괄호에 기호로 표시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비선형파라메터 nonlinear parameter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독립변수나 전원의 크기에 의존하는 파라미터 주 : 독립변수의 예로서는 전류, 전압, 아날로그양 등이 있다.
  • 진동수 frequency
    주기함수, 선내전기설비 용어. (시간은 독립변수) 시간이 독립변수인 주기량의 진동수란 단위시간에 발생하는 주기의 수이다.
  • 좌표계 coordinate system
    펄스용어. 아래의 것을 통하여, 직교 데카르트 좌표계를 임시안으로하여, 그 안에서 다른 지정이 없으면 ① 시간(t)은 수평축에 따라, 취한 독립변수이고, 좌에서 우로 감에 따라 플러스의 증가를 표시한다. ② 크기(m)는 수직축에 따라 취한 종속변수이고, 밑에서 위로 감에 따라 프러스의 수치 또는 극성이 증대된다...
  • 피카르 (Charles-)Émile Picard
    위상문제의 연구는 대수기하의 중요한 부분으로 발전되었고 위상수학과 함수론에 다양하게 적용되었다. 그의 연구는 G. 시마르와 함께 출판한 논문 〈2개의 독립변수와 대수함수론 Théorie des fonctions algébriques de deux variables indépendantes〉(2권, 1897, 1906)에 상술되어 있다. 조화진동에 대한 그의...
    출생 :
    1856. 7. 24, 프랑스 파리
    사망 :
    1941. 12. 11,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다중공선성 Multicollinearity, 多重共線性
    다중공선성(多重共線性)문제(Multicollinearity)는 통계학의 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들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문제이다. 독립변수들간에 정확한 선형관계가 존재하는 완전공선성의 경우와 독립변수들간에 높은 선형관계가 존재하는 다중공선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는 회귀분석의 전제 가정을 위배하는 것...
    도서 위키백과
  • 비선형 회귀 Nonlinear regression, 非線形回帰
    함수에 의해 모델링되는 회귀 분석의 한 형태이다. 비선형 회귀에서 다음 형식의 통계 모델이 있다. \mathbf{y} \sim f(\mathbf{x}, \boldsymbol\beta) 독립 변수 \mathbf{x}, 및 관련 관찰된 종속 변수, \mathbf{y}의 벡터가 관련되어 있다. 함수 f 매개변수 벡터의 구성요소에서 비선형이다. \beta, 그러나 그렇지...
    도서 위키백과
  • 함수표 function table
    또는 하드웨어 장치에서 복수개의 입력을 1개의 출력으로 디코드하거나 1개의 입력을 복수개의 출력으로 코드하는 것. [2] 어떤 조에 속하는 하나의 항목(독립 변수)에서 다른 조에 속하는 몇 개의 항목(함수, 종속변수)을 선출하도록 배치한 2개 이상의 데이터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어떤 변수값으로부터 함수의 어떤...
    분야 :
    소프트웨어 기초
  • 스펙트럼 순도 -純度, spectral purity
    주파수 안정도를 주파수 영역에서 정의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용어. 즉 안정도는 시간을 변수로 하지만 스펙트럼 순도는 주파수를 독립 변수로 한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 내에 어느 정도 같은 주파수치를 내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사용되며, 원자 주파수 표준기 또는 최고급의 수정 발진기 등의 스펙트럼 순도는 그 PM...
  • 승수효과 Multiplier Effect
    빚어낸 총효과의 크기가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 승수이론이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총효과를 승수효과라고 하며 어느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해 다른 모든 변수가 어떤 비율로 변화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을 승수라고 한다.승수효과에 관한 정식화는 R.F. 칸에서 시작되었다. 칸은 고용량의 제1차적 변화는 제2차...
  • 음함수와 양함수 Implicit function, 陰関数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된다. y = f(x) 역으로, 음함수(implicit function)는 종속변수독립변수와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관계식으로 주어진 함수를 말한다. 독립변수가 하나일 경우, 음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된다. P(x,y) = 0 음함수를 종속변수에 대해 식을 정리하여 양함수로 만들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도서 위키백과
  • 공변량분석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공변량이란 종속변수에 대해 독립변수와 기타 잡음인자가 공유하는 변량을 의미한다. 공변량분석은 실험결과(종속변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잡음인자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통제해, 독립변인의 순수한 영향을 측정하려는 것이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