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외지 (일본 제국) List of territories acquired by the Em..
    내지(일본 본토), 조선, 대만, 관동주, 남양 군도로 정의했고 사할린섬 남부는 내지에 속한다고 정의했다. 1945년 8월 당시까지 외지에 포함되어 있던 지역은 다음과 같다. 조선 (일제강점기) 대만 (대만일치시기) 관동주 사할린섬 남부 (가라후토청, 1943년 내지에 편입됨) 남양 군도 대동아공영권 다나카 상주문 후구계획
    도서 위키백과
  • 만주국 축구 국가대표팀 Manchukuo national football team, サッ..
    함께 역기능으로 1939년 9월에 폐지된 극동 선수권 대회의 후계자로서 일본이 조직한 "일본, 만주국, 중국과의 수호 선수권 대회(니치만카 고칸 경기회)의 일환으로 열렸다. 세 번째 경기는 일본 제국 건국 2600주년을 기념하고 대동아공영권의 시작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동아시아 경기 대회 (토아 타이카이)에서...
    도서 위키백과
  • 고원섭
    생몰년이나 출생지 등 구체적인 신상에 대한 자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1941년 2월부터 1944년 10월까지 잡지 《조광(朝光)》에 일본의 침략 전쟁과 대동아 공영권을 찬양하는 글, 모략전(謀略戰)과 비밀전(秘密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 생산력 확충과 증산(增産)에 매진할 것을 주장하는 글을 게재했으며, 이러...
    도서 위키백과
  • 동남아시아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South-East Asian theatre of ..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이 있을 때까지 일어난 일련의 전투들을 포괄하는 전역이다. 연합국의 식민지가 대부분이었던 이 지역에서 일본군 대부분은 대동아공영권을 주장하며 자신들의 식민지 침략 논리를 정당화했으나, 이는 일본군의 모략에 불과했다. 일본은 이 지역에서의 패배로 태평양 전쟁에서의 주도권을...
    도서 위키백과
  • 황국사관 皇国史観, 皇国史观
    순역 인물을 평가하고 천황의 생사에 따라 변경될 "연호"시대를 구분했다. 초등학교에는 천황의 사진 이 배포되고 어진영에 경례했다. 그리고 말기의 1930년대에는 문부성은 "국체의 본의" "신민의 길"을 실행하여 천황에 충의를 강조했다. 황국 황민화 교육 만세일계 신국 쇼와 국가주의 대동아공영권 팔굉일우 임시링크
    도서 위키백과
  • 100인 참수 경쟁 Hundred man killing contest, 百人斬り競争
    다나카 군키치 대위 또한 무카이, 노다 두 소위와 함께 난징에서 재판을 받았다. 이 역시 최후까지 자신도 민간인 학살을 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으나, 결국 육군 중장 다니 히사오와 무카이, 노다 소위와 함께 총살되었다. 일본의 전쟁 범죄 대동아공영권 팔굉일우 신주불멸 국가신도 일본군 난징대학살 중일 전쟁
    도서 위키백과
  • 가야 오키노리 Okinori Kaya, 賀屋興宣
    한 전쟁을 시종 반대하였다. 전시하에는 전시 공채를 남발해 증세에 의한 군사비 중심의 예산을 짰다. 이 예산 편성은 화베이에서의 자원 개발이나, 대동아공영권을 중심으로 한 블록 경제를 상정한 것이며, A급 전범으로 기소된 이유도 이 예산의 책임자였던 일에서 기인된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도서 위키백과
  • 이영개
    관여하다가 1944년에는 금강항공공업주식회사 대표를 지냈다. 모두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동안 사용된 비행기를 제작하는 군수업체였다. 1935년에는 대동아공영권 논리를 내세운 동양협화회 회장에 취임했고, 1941년에는 황민실천협의회의 정치국원을 지내는 등 친일 단체에서도 활동했다. 1942년 일본 중의원 선거에...
    도서 위키백과
  • 후쿠다 독트린 Fukuda Doctrine, 福田ドクトリン
    큰 경제적 영향력을 가진 국가로서, 당시 일본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후원자-수혜자 관계라는 다소 구시대적 관계를 가졌다. 1940년대에 일본제국이 고안한 대동아공영권으로 인해 침략당한 국가들의 상당수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었다. 침략과 식민 지배라는 과거의 경험으로 인해서 1970년대 반일 감정이 고조...
    도서 위키백과
  • 일본 제국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 Japanese invasion of French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도 4개의 나라로 분리되고 말았다. 2차 대전동안, 일본에는 군국주의 정권이 휩쓸려와 슬슬 인도차이나 정치에 간섭하기에 이르었고 대동아 공영권을 주장하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네덜란드령 동인도 등 동아시아와 태평양 제도들을 빼앗았다. 일본 제국 인도차이나 주둔병의 기원 Hsu Long-hsuen...
    도서 위키백과
  • 기동방공자치정부 East Hebei Autonomous Government, 冀東防共自治政府
    목표는 중국과 만주국 간 완충 지대를 설정하는 것이었지만, 친일 협력 정권은 이를 중국 정부와 맺은 평화 협정을 어기는 모욕으로 받아들었다. 지둥방공자치정부는 1937년 12월 중화민국 임시 정부로 흡수되기 전에 1937년 7월 말 퉁저우 반란까지 살아남다가 병합되었다. 화북분리공작 베이징의 역사 대동아공영권 좌표
    도서 위키백과
  • 언론통제 Media blackout, 言論統制
    회화까지 규제될 수 있다. 국기그림 중국공산당에 의해 언론의 자유하는 행위를 관련법에 의해 처벌된다.국기그림 이슬람에 의해 언론 및 출판행위를 처벌된다. 대동아공영권을 의해 조치되었다.국기그림 이탈리아 파시즘을 의해 조치되었다.국기그림 1991년 냉전 이전에 의해 조치되었다. 검열 언론 자유 지수 인터넷 검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1943년 11월 5일 대동아회의에 참가한 각국 수뇌부들. (일본 제국의회 의사당 앞에서 기념 촬영)
만주국이 일본인과 한족, 만주족의 우호 관계를 선전하기 위해 제작한 포스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