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경조선노동동맹회 도쿄조선노동동맹회, 東京朝鮮勞動同盟會
    설립목적 동경조선노동동맹회(東京朝鮮勞動同盟會)는 조선 노동운동을 국제적으로 진출시켜 세계 무산계급의 절대 승리를 기하고, 재일 조선 노동자의 계급의식의 촉진과 직업의 안정을 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22년 여름에 신에츠[信越]전력발전소 공사장에서 일어난 한인 노동자 학살 사건에 분격한...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22년11월
    성격 :
    노동운동 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오사카조선노동동맹회 오사카조선노동조합(大阪朝鮮勞働組合), 大阪朝鮮勞動同盟會
    운동, 동아일보 불매운동, 경성고무여자직공파업 지원), 일본사회운동 참가(메이데이 참가, 3악법 반대운동 참가, 가메이도(龜戶)경찰서사건 규탄대회), 노동운동 전개(노동자 파업 전개 및 지원)를 통해 일본당국에 각성을 촉구하고 민족독립을 주장하였다. 이들이 전개한 운동방법은 연설회 개최나 반대집회 개최...
    시대 :
    현대
    설립 :
    1922년 12월 6일
    성격 :
    노동조합, 사회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27년
    설립자 :
    조선인, 노동자, 사회운동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총, 韓國勞動組合總聯盟
    노조들은 한국노총에 형식적으로 적을 두고 지식인 및 종교계와 연합하여 민주노조운동을 전개했다. 반면 한국노총은 여전히 보수적 노동운동을 전개하여 박정희 정권의 새마을 운동과 유신헌법 등을 지지했다. 이후 1980년대 말 노동관계법 개정으로 인해 노동운동에 대한 제약이 강화되었으나, 1987년 6월 민주화 운동...
    설립 :
    1961년 8월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26
    사이트 :
    http://www.inochong.org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교조, 全國敎職員勞動組合
    연원 및 변천 1960년 4·19혁명 이후 결성된 교원노조의 노동운동은 1961년 5·16군사쿠데타로 맥이 끊기게 되었다가, 1986년 5·10교육민주화선언, 1987년 6월 전국적인 민주화운동의 열기 속에서 결성된 ‘민주교육추진 전국교사협의회’(약칭 전국교사협의회)로 이어지게 되었다. 전교조의 전신인 전국교사협의회는...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82
    설립 :
    1989년 5월 28일
    성격 :
    노동조합
    유형 :
    단체
    설립자 :
    윤영규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조선노동공제회 朝鮮勞動共濟會
    신백우(申伯雨) · 장덕수(張德秀) · 김명식(金明植) 등이 1920년 4월 3일 발기, 같은 달 11일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결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전국적인 노동운동단체이다. 연원 및 변천 ① 조선 노동사회의 지식 계발, ② 저축의 장려, ③ 품성의 향상, ④ 위생 사상의 향상, ⑤ 환난 구제(患難救濟) 및 직업의 소개, ⑥...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미국노동총연맹산업별노동조합회의 AFL-CIO, 美國勞動總聯盟産業..
    노동기사단). 이러한 경향에 반대하여 1886년 새뮤얼 곰퍼스의 주도 아래 AFL이 결성되었다. 느슨한 연합체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AFL은 반세기 동안 미국 노동운동 내의 유일한 연합조직의 구실을 했다. AFL은 처음부터 직업별조합주의 및 자율성의 원칙과 단체교섭의 원칙을 지켜왔다. 각 조합은 조합의 모든 활동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全國民主勞動組合總聯盟, Korean Confederat..
    변천 및 주요 활동 해방 이후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활동으로부터 시작된 민주적, 진보적 노동운동은 1960년대 박정희 군사정권부터 시작된 탄압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었다. 1987년 6월 민주화운동에 이은 7, 8, 9월의 노동자 대투쟁을 통해 한국노총체제에서 친정부적 노동운동을 하던 기존 노조의 민주화와 민주...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22
    설립 :
    1995년 11월 11일
    성격 :
    노동조합
    유형 :
    단체
    설립자 :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등
    분야 :
    사회/사회구조
  • 구로노동연구소 九老勞動硏究所
    1989년 11월 13일 전태일기념사업회 부설 구로노동상담소를 결성해 노동상담 및 노동조합 지원활동을 펼쳤다. 당시 구로지역에는 서울노동운동연구소 등 여러 노동단체들이 만들어져 유사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에 구로노동상담소가 각 단체들에 통합을 제의했으나 동의한 곳은 서울노동운동연구소 뿐이었다. 1992...
    시대 :
    현대
    설립 :
    1992년 11월 13일
    성격 :
    노동운동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봉우, 최규엽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 대한노총, 大韓勞動組合總聯合會
    공동의 힘으로 최후 승리할 때까지 싸운다. 4. 정부에 대하여 노동법의 엄정한 집행 강화를 촉구하며 노동법상의 악조문의 개정을 위하여 투쟁한다. 5. 노동운동의 자주성을 확립하며 노동자의 권익을 해치는 일체의 대내외의 불순세력과 과감하게 싸운다.’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전국노동단체통합...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단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박헌영 朴憲永
    후 1928년 소련으로 탈출했다. 1929년 모스크바의 동방노력자공산대학(東方勞力者共産大學)에서 교육을 받은 후 1932년 12월 상하이로 돌아와 공산주의 운동에 전념하다 1933년 일본경찰에 검거되어 국내로 압송, 6년형을 언도받아 복역했다. 1939년 출옥하여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의 한 조직인 '경성콤그룹'의 책임자로...
    출생 :
    1900, 충남 예산
    사망 :
    1955. 12, 평양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여성 女性
    그러나 3·1운동을 전후한 여성의 구국운동은 일제의 탄압으로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다. 1920∼1930년대에 들어오면서 여성운동은 여성교육운동과 새로 형성된 여성근로자의 노동운동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전개된다. 3·1운동 이후 국내에서는 교육과 산업의 실력양성운동이 다시 일기 시작하였는데, 조선여자교육회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 韓國─勞動靑年會
    노동 형태가 유연해지면서 노동자 인식 또한 희박해졌다. 아울러 다양한 노동운동단체들도 생겨나고 있었다. 이에 가톨릭노동청년회는 운동의 방향을 노동운동 중심에서 생활운동 중심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면서 노동 청년의 복음화와 가톨릭노동청년회의 대중화를 위한 캠페인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 주교회의...
    시대 :
    현대
    설립 :
    1958년 11월 17일
    성격 :
    천주교 청년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노동운동
노동법 개악 반대 궐기대회
전국노동자대표 노동기본권 수호 투쟁대회
YH사건 / 여공 강제해산
노동자 파업 집회
서울노동운동연합 창립 선언문
▲ 저임금 문제를 제기하는 노동 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