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식물성 플랑크톤 Phytoplankton, 植物プランクトン
    바이오매스의 약 1%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광합성 활동의 약 절반과 산소 생산량의 최소 절반을 차지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의 중요한 그룹에는 규조류, 남세균, 와편모충류가 포함되지만, 많은 다른 그룹들도 해당된다. 대부분의 식물성 플랑크톤은 너무 작아서 일일이 맨눈으로 볼 수 없다. 그러나 많은 수가...
    도서 위키백과
  • 바다대벌레과
    일종이다. 실 모양의 가느다란 몸체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해조류, 히드라충강, 선충류의 미세한 섬유 사이에 위장할 수 있다. 보통 약 4cm까지 자라며 규조류, 물에 떠다니는 유기물, 다른 바다대벌레 등을 먹이로 삼는다. 알려진 것만 400종이 넘어가며, 절반 가량이 genus Caprell 군에 속한다. 한국에는 이중 가슴...
    도서 위키백과
  • 해양 미생물 Marine microorganisms
    광합성 유기체로 활발히 활동한다. 조간대에서의 조석의 변화는 해양미생물이 생존 가능한 환경이 생성될 수 있는 기회를 강력하게 제한한다. 유공충과 규조류는 모두 플랑크톤과 저서성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수주(the water column)에서 표류하거나 해저의 퇴적물 위에서 살 수 있다. 어느 쪽이든, 그들의 껍데기는...
    도서 위키백과
  • 백악기 Cretaceous, 白亜紀
    헤엄쳐 물고기를 사냥하였다. 한편 얕은 바다에는 유공충과 불가사리 같은 극피동물들이 있었다. 백악기에는 규조류의 첫 번째 분화가 일어났다. 해양 규조류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담수 규조류는 마이오세 이전에 멸종하였다. 백악기에는 암석에 붙어 사는 조개류 등에 의해 생물학적 침식이 왕성하게 일어나...
    도서 위키백과
  • 고진기 Paleogene, 古第三紀
    초기에 펭귄이 출현하였다. 한편 얕은 바다에는 유공충과 불가사리 같은 극피동물들이 있었다. 고진기에는 규조류의 두 번째 분화가 일어났다. 해양 규조류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담수 규조류는 서서히 쇠퇴하여 올리고세 말기에 멸종하였다. 고진기에는 유공충이나 극피동물 등에 의해 생물학적 침식이 왕성...
    도서 위키백과
  • 와편모충류 Dinoflagellate, 双鞭毛虫门
    담수 환경에서도 발견된다. 분포하는 개체수는 해수면 온도와 염도 또는 수심 등에 의존한다. 모든 와편모충류의 약 절반은 광합성을 하며, 이들은 규조류를 제외하고 해양 진핵생물 조류 중에서 가장 큰 분류군을 형성한다. 현재, 약 1,555종의 자유 생활하는 와편모충류를 기술하고 있다.700종 이상의 해양 종과 220...
    도서 위키백과
  • 짱뚱어 짱동이, Blue-spotted mud hopper
    열린다. 양턱의 길이는 거의 비슷하다. 몸은 회청색, 배는 연한 색을 띠며, 몸 전체와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흰 반점이 흩어져 있다. 전장 약 20cm. 생태 하구나 연안의 개펄에 구멍을 파고 서식하며,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바닥을 기어다닌다. 규조류와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산란기는 6~8월이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망둑어과(Gobiidae)
    학명 :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Linnaeus)
    북한명칭 :
    짱둥어
    분포지역 :
    서해와 남해의 서부 연안, 일본, 중국, 타이완, 미얀마, 말레이 제도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원생생물 原生生物
    유기물을 합성할 수 없어 유기물을 섭취하는 생물] ③종속 영양과 광독립 영양을 조합한 혼합 영양 생물[Mixotroph]로 나뉜다. 대표적인 원생생물로는 규조류, 아메바, 유글레나, 와편모 조류(渦鞭毛藻類), 짚신벌레 등이 있다. 흔히 우리가 볼 수 있는 원생생물의 자연 현상으로는 와편모 조류에 의한 적조(赤潮)가...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 전복 全鰒
    앓은 뒤의 원기 회복과 피로 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생태 및 사육법] 전형적인 초식성 복족류(腹足類)[연체동물의 한 종류]로 바닥의 해조류나 저서 규조류(底棲硅藻類)[민물과 바닷물에 널리 분포하는 플랑크톤이며, 수중 생태계의 생산자로서 어패류의 먹이가 되는 생명체]를 갉아먹는 섭식 형태를 지니고...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실패돌말과 Biddulphiaceae, 盒形藻科
    실패돌말과(Biddulphiaceae)는 실패돌말목에 속하는 돌말류(규조류(硅藻類), Diatom) 과의 일종이다. 실패돌말과는 헛틈눈(pseudocelli) 형태를 보여, 완전히 발달한 틈눈 (ocellus)을 갖고 있는 눈돌말과 (Eupodiscaceae) 종과 구별된다. 두 과는 공통적으로 해안가에 가까운 바다 연안대에 서식한다. col-1-of-3...
    도서 위키백과
  • 전어 전애, 錢魚
    크고 검은 점이 1개 있고, 몸 상반부에 작고 검은 점들이 줄지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진한 노란색을 띤다. 전장 약 25cm. 생태 연근해성 어류로 강 하류에도 출현하고, 주로 규조류나 요각류 등의 플랑크톤을 먹는다. 3~6월에 강 하구에서 산란이 이루어지며, 부화 후 1년이면 어미가 된다. 수명은 약 3년이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청어목(Clupeiformes) > 청어과(Clupeidae)
    학명 :
    Konosirus punctatus (Temminck and Schlegel)
    북한명칭 :
    전어
    분포지역 :
    우리 나라 전 연안, 일본~남중국해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위배선규조류 Fragilariophyceae, 条纹藻目
    위배선규조류(僞背線硅藻類)는 돌말류(또는 규조류) 분류군의 하나이다. 위배선규조강(Fragilariophyceae)저널 인용 또는 위배선규조아강(Fragilariophycidae)으로 분류한다.AlgaeBase 분류 전통적으로 돌말강의 우상규조목가 분류하는 위배선규조아강(Fragilariophycidae) 분류는 아래와 같다. 위배선규조류 또는 위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규조류 (diatom)
식물플랑크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