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라의 관등
    왕 14년)에 지방세력가들을 지배체제 속에 포섭하기 위해서 지방 출신에게도 일률적으로 경위를 주게 됨에 따라 자연히 폐지되었다. 신라의 통용 신분체제인 골품제에는 형식상 왕/귀족 · 6두품 · 5두품 · 4두품 이외 기타(외국인) 신분이 있었다. 왕과 귀족인 성골과 진골과 더불어 두품의 분류에 따라서 신분 규정...
    도서 위키백과
  • 독서삼품과
    일종으로, 관리를 학문적 능력 위주로 채용하기 위한 제도이다. 국학 학생들이 유교 경전을 얼마나 잘 독해하는가에 따라 성적을 3등급으로 나누고 그 성적을 관리 임용 과정에 적용한 것으로 유학의 보급에 기여했다. 그러나 신라 하대로 갈수록 골품제의 폐쇄성과 국학의 중요성이 약해지면서 그 비중이 점차 줄어들었다.
  • 통일 신라 시대의 사회 구조 統一 新羅 時代의 社會 構造
    [골품제와 사회 구조] 통일 신라 시대의 사회 구조는 기본적으로 전제 왕권을 바탕으로 골품제에 기초한 신분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삼국을 통일한 후 신라 사회는 영토 확대와 인구 증대로 인해 통일 이전과는 달리 골품제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즉 성골이 사라지고, 1두품에서 3두품의 두품 구분이 의미가...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통일신라의 교육
    것이었다. 이는 곧 관위가 높은 자가 입학자일수록 그만큼 졸업이 수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학자격과 졸업요건과 관련하여 주목할 점은 당시의 엄격한 골품제사회에서 5두품 출신의 학생들도 진골이나 6두품 출신들만 오를 수 있었던 대나마나 나마 관등에 오를 수 있었다는점이다. 이러한 조치는 신라가 점차 혈통...
    도서 위키백과
  • 독서삼품과
    신라의 국학(國學) 졸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치러졌으며 선발 요건은 학문 능력이었고, 특히 《효경》을 가장 우선하였다. 열조 원성대왕 4년(788년) 종래의 골품제를 기초로 한 벌족(閥族) 본위의 인재 등용을 지양하여 학벌 본위의 관리 채용을 지향하기 위해 독서삼품과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문헌 기록에...
    도서 위키백과
  • 카스트 Caste, カースト
    하던 더러운 자들로 여겨졌던 계층이다. 현재에도 일본에는 부라쿠민들을 비공식적으로 차별하는 관행이 남아 있다. 신라시대의 카스트제는 골품제로 대표된다. 골품제에는 다음과 같은 계층이 있다. : 성골, 진골, 6-1두품 성골 계층은 법흥왕의 직계 일가이다. 선덕, 진덕 두 여왕을 끝으로 사라진다. 이후 진골인...
    도서 위키백과
  • 한국사의 신분제도 Korean nobility
    또는 계급제도는 고조선 시대부터 이미 나타났다. 고조선의 8조법에 따르면 도둑질을 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고 하였다. 이는 노비의 존재를 알게 해준다. 골품제는 진성골과 1∼6두품으로 나눠 관등은 물론 결혼대상, 가옥의 규모, 생활용품의 종류와 수까지 제한했던 계층세습제다. 성골은 부모 모두 왕족, 진골은 왕족...
    도서 위키백과
  • 성 (씨성제) Kabane, カバネ
    있는 어원은 다음과 같다. 가부네, 가부나 등 혈통이나 계보의 의미를 갖는 일본어 아가메나, 즉 고명한 이름이란 뜻을 갖는 일본어의 파생형 신라(新羅)의 골품제(骨品制)에서 귀족성을 나타내는 골(骨) 글자에서 기원한 '뼈'의 일본어 가바네에서 유래 야마토 정권이 수립되기 이전부터 각 지방의 군장들이나 지역...
    도서 위키백과
  • 국학 Gukhak
    만 하되 미숙한 자는 9년을 넘어서도 재학하게 된다. 졸업자는 대나마(大奈麻), 나마(奈麻)의 관위를 주었다. 교수는 박사, 조교 등이 있었다. 결과적으론 골품제의 제약과 진골귀족들의 관리 독점에 의해 큰 실효는 거두지 못하였다. 하지만 국학으로 인해 학문과 유학을 신라 사회에 널리 보급시켜 무치주의의 신라...
    도서 위키백과
  • 귀천상혼 Morganatic marriage, 貴賤結婚
    비왕족 귀족 간의 결혼도 귀천상혼에 해당한다. 귀천상혼한 부부 사이의 자녀는 부모 중 격이 높은 쪽의 작위와 특권을 상속받지 못한다. 동양에서도 신라의 골품제나 일본의 황실전범이 귀천상혼을 따랐지만, 근대 서양의 왕가들 사이에서 가장 엄격하게 지켜졌다. 룩셈부르크의 사례처럼 살리카법보다도 귀천상혼이...
    도서 위키백과
  • 길사
    14등으로 대오(大烏)의 위이며 사지(舍知)의 아래이다. 계지(稽知)·길차(吉次)·당(幢)라고도 한다. 서라벌(徐羅伐)에 거주하는 중앙 귀족에게 수여한 경위(京位) 17관등(十七官等) 중의 제16등이다. 4두품(四頭品) 이상이면 받을 수 있는 관등으로,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신라 신라의 관직 골품제 신라의 관직
    도서 위키백과
  • 사지 (신라)
    17관등(官等) 중 제13등으로 길사(吉士)의 위이며 대사(大舍)의 아래이다. 소사(小舍)라고도 한다. 서라벌(徐羅伐)에 거주하는 중앙 귀족에게 수여한 경위(京位) 17관등(十七官等) 중의 제13등이다. 4두품(四頭品) 이상이면 받을 수 있는 관등으로,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신라 신라의 관직 골품제 신라의 관직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신라의 골품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