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 (성씨) Kang (Korean surname), 姜姓 (朝鮮)
    인 천수강씨에서 분파한 것이다. 염제신농씨의 16세손인 강백이(姜伯夷), 강백이의 37대손이자 세계 강씨의 실질적인 시조로 전하는 강태공(姜太公) 으로 세계가 이어졌다. 강태공의 본명은 강상(姜尙)이고, 본관은 천수강씨(天水姜氏)이며 염제신농씨의 후손이다. 강태공은 주나라 문왕, 무왕을 도와 주나라를 건국한...
    도서 위키백과
  • 고 (중국 성씨) Gao (surname), 高 (姓)
    고(高)는 중국의 성씨이다. 중국의 고씨는 강씨의 강성(姜姓) 계통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중국 고씨중 90%이상) 제나라 왕 강태공의 6세손인 제 문공의 아들 공자고의 이름으로 손자 혜(傒)가 제환공의 명을 받아, 고씨성으로 변경하였고, 이후 제나라의 노현(盧縣)에 봉읍을 받으면서, 후손들이 봉읍의 이름에서 따서...
    도서 위키백과
  • 서주 Western Zhou, 西周 (王朝)
    그를 따랐으나 서백 창은 끝까지 주왕에 대한 충성을 버리지 않다가 고령으로 죽게 된다. 그러나 서백 창의 태자인 희발(무왕)은 아우인 희단과 현자인 강태공 등과 더불어 주왕에 반역할 뜻을 세우고 비밀리에 군사를 모았다. 즉위 9년, 드디어 반역의 준비가 끝난 희발은 반란의 기치를 높이 들고 아버지인 희창의...
    도서 위키백과
  • 백이와 숙제 Boyi and Shuqi, 伯夷・叔斉
    되는 희창이 작은 영주들을 책임지는 서백의 자리에 있었다. 희창이 죽고 그의 아들 희발(서주 무왕)은 군대를 모아 상나라에 반역하려 했다. 희발의 부하 강태공은 뜻을 같이하는 제후들을 모아 전쟁 준비를 시작했다. 이때 백이와 숙제는 무왕을 찾아와 다음과 같이 간언했다.이에 희발은 크게 노하여 백이와 숙제를...
    도서 위키백과
  • 고 (성씨) Ko (Korean surname), 高 (朝鮮人の姓)
    함평로 광녕이다. 2000년 인구는 8가구, 27명에 불과하다. 중국의 고씨는 강씨의 강성(姜姓) 계통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중국 고씨중 90% 이상) 제나라 왕 강태공의 9세손 제 문공의 증손자 강혜(姜傒)가 고혜(高傒)로 고씨 성으로 변경하였고, 이후 제나라의 노현(盧縣)에 봉읍을 받으면서, 후손들이 봉읍의 이름에서...
    도서 위키백과
  • 시 (성씨)
    고 전교하였다. 1793년(정조 17년) 시문용의 자손들을 녹용(錄用)하였다. 시(柴)씨는 중국에서 계출된 성씨로서 춘추시대 제나라의 왕이었던 강태공의 후예이다. 강태공의 후대인 제문공의 후손인 고시의 손자가 이름자인 시를 성으로 삼은 것이 시초이다. 즉, 강씨와는 한 핏줄이다. 인물로는 오대십국시기 중국을 통일...
    도서 위키백과
  • 북제 문선제 Emperor Wenxuan of Northern Qi, 文宣帝
    고양(齊 顯祖 文宣皇帝 高洋, 526년 ~ 559년 11월 25일(음력 10월 10일))은 중국 남북조 시대 북제의 초대 황제로, 자는 자진(子進)이다. 그는 강태공의 후손으로 강태공의 51세손이며, 한족 강성(姜姓) 고씨이다. 발해군 수현(蓨縣; 현재의 하북성 경현) 출신이다. 고환의 둘째 아들로 그는 형 고징의 뒤를 이어 혼란을...
    도서 위키백과
  • 상 (성씨)
    상(尙)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다. 상(尙)은 제나라를 봉지로 받은 여성 강씨 강태공의 후손이 제나라와 인접한 송나라 상(尙)이라는 지역에 살면서 창성한 성이다. 후기 제나라는 전씨 공족이 주도하였으나, 주요 귀족에는 강태공이 후손 공족도 유지되었다. 제나라는 송나라를 멸망시키고 그 지역을 영토로 가졌다...
    도서 위키백과
  • 「사하 방아 소리」 沙下 방아 소리
    충효사상 잊을소냐 [뒷]. 2. 물레방아·연자방아 소리 오호 좋구나 방아야 [뒷소리]오호 좋구나 방아야[이하 ‘뒷’으로 표기]/ 이방아는 뉘방안고 [뒷]/ 강태공에 조작방아 [뒷]/ 첩첩산골 물레방아 [뒷]/ 야산번지 돌구방아 [뒷]/ 빙글빙글 멧돌방아 [뒷]/ 집집마다 디딜방아 [뒷]/ 부자부촌 목매방아 [뒷]/ 삼사월에...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 북제 무성제 Emperor Wucheng of Northern Qi, 武成帝
    왕족 정보 제 세조 무성황제 고담이다.그는 강태공의 후손으로 강태공의 51세손이며, 한족 강성(姜姓) 고씨이다. 신무제의 아홉번째 아들로, 생모는 누비(婁妃)이다. 형제로는 고징(高澄), 고양(高洋), 고연(高演)등이 있었다. 538년 장광군공(長廣郡公)에 봉해졌다. 550년 북제가 건국되면서, 장광왕(長廣王)이 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여 (성씨)
    으로 대표적인 후손인 제(齊) 태공(太公) 강상(姜尙•呂尙)은 주(周)나라 재상(宰相) • 개국원훈공신(開國元勳功臣)이며 전설적인 현인(賢人)인 망( 望, 강태공/강상)의 조상인 강백이(姜伯夷)가 우임금 때 치수의 공을 세우고 여국(呂國) 땅에 봉해졌기에 자손들이 여씨(呂氏)를 씨로 삼았다. 강상/강태공 그의 후손인...
    도서 위키백과
  • 새비지들
    굴 껍질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데, 가덕도 동선만은 전부가 촘촘한 종패 밭이다. 최근에는 새비지들이 여름철 휴양지로 각광을 받고 있어 낚시를 좋아하는 강태공들이나 가족 단위 여행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가덕도 숲길 산행’[가덕도 둘레 길]이라는 갈맷길 코스가 개발되어 새바지들 코스와 함께 사람...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건

강태공 사당
강태공전
강태공전
한파 잊은 강태공
제주 바다 낚는 강태공'
성주굿 / 강태공서목시
바다낚시 즐기는 강태공들
강태공과 문왕의 만남
강태공과 제주의 봄
바다낚시에 빠진 강태공들
「강태공조어도」, 종이에 채색, 90.0×57.0cm, 19세기, 파리 기메동양박물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