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덕종 (조선) Crown Prince Uigyeong, 懿敬世子
    좋지 않아 잔병치레가 잦던 중에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1998) 112페이지 1457년 20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는데, 죽기 전에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혼령에 자주 시달리다가 가위눌림으로 사망하였다고는 하나 사인은 불확실하다. 슬하에 4살된 월산대군이 있었음에도 세손으로 책봉되지 못하고 동생...
    도서 위키백과
  • 현릉지 顯陵誌
    유물설명 문종(文宗)과 비(妃)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 權氏)의 능인 현릉(顯陵)에 대한 능지(陵誌)이다. 필사본으로 장정은 선장(線裝)의 형식이며, 1책이다. 사주쌍변(四周雙邊)에 반곽(半廓)으로 주사란(朱絲欄)이 그어져 있으며, 매반엽(每半葉) 10항20자 주쌍항이다.
    분류 :
    유물 > 전적
    크기 :
    세로: 26.8cm, 가로: 19.6cm
    재질 :
    종이에 먹
  • 동구릉 Donggureung, 東九陵
    동구릉의 지세가 풍수지리설에 의한 명당임을 나타내주는 것이라 하겠다. 동구릉에는 1대 태조의 건원릉을 중심으로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무덤인 현릉, 14대 선조와 의인왕후·계비 인목왕후의 무덤인 목릉, 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무덤인 휘릉,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무덤인 숭릉, 20대 경종의 비 단의왕후의...
    도서 위키백과
  • 남효온 南孝温
    한산군 이손이 남효온의 집안을 보살펴줘서 추강집에 감사함을 기록했다. 세조가 어린 단종을 몰아낸 일이 늘 마음에 걸려 있던 그는 꿈에 단종의 어머니인 현덕왕후가 나타나서 아들을 죽인 것을 책하자, 세조가 물가로 옮기게 한 문종 왕비 현덕왕후 권씨의 소릉(昭陵.문종과 합장되기 전의 능)의 복위를 상소하였다...
    도서 위키백과
  • 정미수
    있던 문서로, 정미수가 정선방에 있는 집과 통진(지금의 경기도 김포시)에 있는 집 등을 물려받는 내용이 담겨있다뉴스 인용. 유자광에 의하면 그가 현덕왕후의 복권 여론을 처음 주장했고, 남효온(南孝溫)과 김일손(金馹孫)을 사주하여 현덕왕후 소릉 복권 상소를 올렸다 한다.중종실록 2권, 중종 2년 2월 2일 병자...
    도서 위키백과
  • 공빈 최씨 Royal Consort Gongbin Choe
    적혀있는 점, 고양에 공빈 최씨의 것으로 전해지는 묘가 있는데, 최씨 족보를 살펴볼 때 실제로 공빈 최씨가 있으며 그 시기가 문종 때로 추정되는 점, 현덕왕후가 죽고 무려 12년이나 세자빈 및 왕비의 자리가 전례 없이 비어있었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이에 영조는 우선 《실록》을 상고하도록 명하였다. 다음날...
    도서 위키백과
  • 숙빈 홍씨 Royal Noble Consort Sukbin Hong, 肅嬪洪氏
    좌의정을 지낸 홍응(洪應)과 남매간이다. 언제 태어났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훗날 문종의 세자빈을 다시 책봉하는 과정에서 1418년(세종 즉위년) 생인 현덕왕후 권씨보다 나이가 조금 어리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그 이후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조선왕조실록》 세종 18년(1436) 12월 28일 1번째 기사. 문종이...
    도서 위키백과
  • 세조 (조선) Sejo of Joseon, 世祖 (朝鮮王)
    대량으로 유포, 확산되었으며, 훈민정음으로 된 책들 중에는 불경, 불서들이 대량으로 시중에 유통되었다. 1457년 음력 6월 갑자기 악몽을 꾸고 형수 현덕왕후의 묘를 파헤쳐 폐서인시켰다. 이를 두고 여러 가지 전설과 야사가 나왔고, 세조 사후 희극 작품의 소재의 하나가 되기도 했다. 야사는 1457년 아들 덕종(의경...
    도서 위키백과
  • 단종 (조선) Danjong of Joseon, 端宗 (朝鮮王)
    뜻의 단종(端宗)으로 묘호가 정해졌으며, 정식 시호는 단종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端宗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이다. 세종의 장남인 문종과 현덕왕후의 외아들이며, 조선 최초의 왕세손이기도 하다. 또한 조선왕조 27명의 임금들 중 유일하게 국장을 제때 치르지 못한 왕이기도 하다. 승하한 지 550년 만인...
    도서 위키백과
  • 권전
    귀족 정보 권전(權專, 1371년 ~ 1441년 음력 윤11월 18일)은 조선의 문신이다. 문종의 장인이자 단종의 외조부로, 문종비 현덕왕후의 아버지이다. 본관은 안동으로 부정공파의 후손이며 1371년(공민왕 20년) 한성부윤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로 태어났다. 태종 때 경력을 지냈으며, 지가산군사로 있던 1431년(세종...
    도서 위키백과
  • 내명부 Naemyeongbu, 內命婦
    되거나, 죽을 경우 왕비는 남편과 함께 폐서인이 되어 쫓겨난다. 조선 초에는 왕비가 사망한 후 간택후궁들에 한해서 중전에 오르곤 했었다. 문종의 비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 權氏, 세자빈 폐출 후 경혜공주를 낳은 공으로 세자빈으로 진봉), 예종의 비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 韓氏, 상왕이 된 세조의 명으로 세자빈...
    도서 위키백과
  • 부원군 府院君, 府院君
    아버지 여흥부원군 민제 - 3대 태종의 정비 원경왕후의 아버지 청천부원군 심온 - 4대 세종의 정비 소헌왕후의 아버지 화산부원군 권전 - 5대 문종의 정비 현덕왕후의 아버지 여량부원군 송현수 - 6대 단종의 정비 정순왕후의 아버지 파평부원군 윤번 - 7대 세조의 정비 정희왕후의 아버지 서원부원군 한확 - 추존왕...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6건

구리 동구릉 중 조선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능침 정면
조선 왕릉의 종가 동구릉(東九陵)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