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왕 안
    전국시대 한의 마지막 군주이다. 시호가 없으며 이름이 안(安)이다. 기원전 238년 즉위하였고, 기원전 230년에 진시황의 침공으로 항복하여 한이 망하였다. 한비자는 한나라의 여러 공자 중 한 명인데, 한왕 안의 동생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228년에 한의 옛 수도인 신정에서 한의 옛 귀족들이 모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도서 위키백과
  • 울요자 Wei Liaozi, 尉繚子
    결의한다. 하지만, 진시황의 요청에 의해 그대로 진나라의 장군이 되었다(사기의 설). 울요자 저작 이전에 유포된 병법서인 손자병법, 오자병법 외에 맹자, 한비자, 상군서 등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 후세 사람들이 위서라고 주장한 이유 중 하나가 되었고, 반대로 울요자가 그전의 선인의 학설을 통합하여...
    도서 위키백과
  • 화씨벽 Mr. He's jade, 和氏の璧
    화씨벽은 고대 중국에서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역사적 중요성을 발휘한 벽(둥근돌 모양으로 비취 원석)이다. 《한비자》에 따르면 초나라 사람 변화(卞和)가 강가에서 원석을 발견하여 문왕이 도장을 만들었다. 처음엔 변화가 초 여왕에게 원석을 바쳤으나 옥세공인이 가짜 돌이라고 판정을 내리자 분노한 여왕은 변화...
    도서 위키백과
  • 주읍 (춘추 전국) 周公, 周邑
    휘 실전, 서주혜공의 아들(?), ? ~ ? 서주문공 구(西周文公 咎), 서주무공의 아들 또는 후손, ? ~ 기원전 256년, 주나라 멸망 동주혜공 반(東周惠公 班), 한비자에 의하면 이름은 근(根), 기년(紀年)에 의하면 이름은 걸(傑)이라 한다., 서주위공 조의 아들이자 서주 혜공 조의 동생, 다른 설에는 또는 서주 위공 손자...
    도서 위키백과
  • 비리법권천 非理法権天
    비리법권천(非理法權天)은 기원전 2세기 중국의 법가학파를 대표하는 사상가 한비자가 군왕에게 고하는 글에서 유래하였다. '비(非)는 이치를 이길 수 없고, 이치는 법을 이길 수 없으며 법은 권력을 이길 수 없고, 권력은 천(민심)을 이길 수 없다.'는 엄한 가르침이다. 근대 일본의 법개념을 나타나는 말이다.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선양 (역사) Abdication system, 禅譲
    처음으로 주목된다. 선양 전설은 전국시대 초기 묵자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임이 기원이라는 학자들의 연구도 존재한다. 또한 한비자나 죽서기년과 같은 선대 고전에서는 이미 선양이 허구이며 순, 우가 각각 요, 순을 폐위, 감금시키고 제위에 올랐음을 폭로하고 있다. 그러나 선양 전설은 유학...
    도서 위키백과
  • 한안국 韓安国, 韩安国
    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장유(長孺)이다. 본래 양국 성안현(成安縣)(지금의 허난성 란카오 현 동쪽) 사람이었는데, 수양현(睢陽縣)으로 이주하였다. 《한비자》를 익혀 양효왕을 섬겼고, 오초칠국의 난 때에 양나라의 장수가 되어 군공을 세웠다. 이후 양효왕은 자국의 대신을 몸소 임명할 권리를 얻었는데, 궁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한비자
한비자
한비자(韓非子)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