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승만 李承晩
    10월 1일 이승만은 휴전 협정을 받아들이는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미군의 한국 주둔과 평화 안전 유지, 집단적 방위를 목적으로 하는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의 체결을 이끌어 냈다. 한미 상호 방위 조약 외에 20개 사단 규모의 군대와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군사·경제 원조도 약속 받았다. 이승만은 6·25 전쟁을 휴전...
    분야 :
    정치·경제·사회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 대한민국-아랍에미리트 비밀협정 체결 논란
    몰렸으며, 제3당 국민의당과 야권공조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김종대 정의당 의원은 'UAE 유사시 군 자동개입'에 대해 “이걸 인계철선이라고 한다. 한미상호방위조약에도 자동개입 조항은 없다”며 “보통 이런 정도의 국군파병이나 이런 상호방위협정을 맺을 때는 이건 헌법에서 중대한 안전보장에 영향이 크기 때문에...
    도서 위키백과
  • 주한 미군의 철수
    및 중공군과 전투를 벌였다.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진행되었던 한국전쟁은 종전이 아닌 정전(휴전)의 형태로 종료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긴 협상 끝에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게 되었고, 이는 주한 미군의 존재에 대한 법적 근거가 되었다. 오늘날까지 미국 육해공군 및 해병대가 한반도 이남에 주둔하게 되는...
    도서 위키백과
  •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GSOMIA, 日韓秘密軍事情報保護協定
    전혀 그렇지 않으며, TISA는 사실상 아무 쓸모가 없다고 말했다. 미국 상원에서는 한국 정부에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연장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발의되었다. 또한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 20명 중 19명이 지소미아 폐기는 한국 정부의 오판이라고 비판했다. 한미상호방위조약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
    도서 위키백과
  • 6.25 전쟁 포로 교환 Operation Big Switch, 朝鲜战争战俘遣返问题
    조치를 취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이 사건은 국제적으로 적지 않은 문제를 일으켰고, 북한 측에서는 포로들을 재수용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미국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 경제원조, 한국군 증강 등을 조건으로 하여 이승만에게 휴전동의를 얻었다.출처 각 군에서 포로 최고위 계급자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도서 위키백과
  • 2016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September 2016 North Ko..
    대통령은 박근혜 대통령과의 15분간 전화 통화에서 "미국은 북한의 도발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 '핵우산'을 포함한 '확장억제'를 비롯해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입각한 모든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16년 9월 11일 한미 군사당국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 다음달인 10월 미 해군이...
    도서 위키백과
  • 2020년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논란
    분담금 논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에 주한미군 방위비를 기존 1조원에서 6조원으로 늘리라고 요구하여 발생한 사건이다.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라 1966년 한미 정부가 체결한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을 근거로 1991년 방위비분담협정을 맺었다. 한국은 1991년부터 주한미군의 주둔 비용 일부를 부담...
    도서 위키백과
  • 군원 물자 軍援物資, Military Aid Material
    소유권이 군원 관계 기관에 넘어갔으나 아직 수원국에 양도되지 않은 물자. 한미 상호 방위 조약에 의하여 미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제공되는 군사 원조 물자를 말하며, 재산의 처리 권한이 미국 측에 있는 물자이다. 군원 물자에는 선박 적송 물자, 항공 화물, 미8군 초과 물자, 우편 화물, 현지 조달 군원 물자, 국제...
    분야 :
    전력지원체계
  • 브라운 각서
    외무부 장관은 브라운 주한미국 대사와 다음과 같이 협상한다. 파병 상한선은 5만명이내 한국군의 현대화 지원 북한의 침공시 미국이 즉각 출병하도록 한미상호방위조약을 개정한다. 남베트남에서 사용할 군수품 공급 등 한국의 남베트남 시장진출을 보장한다. 위와 같은 한국 정부의 요구사항은 1965년 5월 17...
    도서 위키백과
  • 국군의 날 Armed Forces Day (South Korea), 国軍の日
    독립해 창군한 날이다. 1950년 10월 1일, 한국 전쟁 당시 동부전선에서 육군 제3사단이 선봉으로 38선을 돌파한 날이다.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대한민국 외무부장관 변영태와 미국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의 서명으로 체결된 날이다. 1956년 9월 21일 3군 기념일을 통합하고...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헌법 제6조
    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 제2조 제1의 (나)항 위헌제청 청구 소송에서 “이 사건 조약은 그 명칭이 “협정”으로 되어있어 국회의 관여없이 체결되는 행정협정처럼 보이기도 하나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외국군대의 지위에 관한 것이고, 국가에게 재정...
    도서 위키백과
  • 전략물자 Strategic material, 戰略物資
    이래 상호방위원조관리법을 적용해 소련 등의 사회주의 제국에 전략물자를 수출한 국가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원조를 정지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적인 동구사회주의의 여러 나라에 대한 전략물자 수출제한조직으로서 코콤(對共産圈輸出統制委員會)을 들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전략물자의 개념은 중의적...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韓美相互防衛條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