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타이타닉은 어떤 식으로 가라 앉았을까?격벽주1이 있어서 모두 16개의 수밀구획주2으로 나누어진다. 해양 사고가 발생하면 대개 충돌은 국부적인 지점에 한하므로 수밀구획은 한꺼번에 배 전체를 침수시킬 가능성을 낮춘다. 타이타닉호도 최대 4개의 구획이 침수되어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배였다. 그러나 운명의 장난인지 이 배는 빙산과 정면충돌하는...
-
대산평야 大山平野낙동강 변에는 해발고도 약 8m의 자연제방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남쪽과 서쪽 주변의 구릉지 또는 산지 밑에는 고도가 3m 정도인 상습적 침수지역이 넓게 자리한다. 상습적 침수지역은 본래 배후습지였던 곳이다. 대산평야가 오늘날과 같이 개발되기 전에 자연제방은 밭으로 이용되었고, 배후습지에는 자연상태의 ‘늪...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타이타닉 침몰 100년, 선박 침몰 막으려면?폐쇄해서 다른 격실에는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해 배가 가라앉지 않게 하는 것이다. 타이타닉호는 모두 16개의 수밀구획¹?으로 나뉘어졌고 수밀격벽²?에는 침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했으며 자동수밀문을 장착해 선교(船橋, 선장이 항해나 통신 따위를 지휘하는 곳)에서 원격조종이 가능한 배였다. 또...
-
-
-
무안국제공항 MWX, Muan International Airport중단됐던 상하이와의 정기 항공편이 2018년 3월 다시 운항되면서 10여 개월 만에 중국으로 가는 국제선을 운항하게 됐다. 반면 2017년 7월 폭우로 인한 침수로 공항 내부에 물이 새는 등 피해를 받은 이후 2018년 초에 또다시 겨울비로 인해 침수 피해를 입었다. 이용여객수는 2019년 국제선 포함 최고치인 약 90만 명을...
- 위치 :
- 한국 전라남도 무안
- 설립 :
- 2007년
- 대륙 :
- 아시아
- 국가 :
- 한국
- 사이트 :
- https://www.airport.co.kr/muan
-
새우가래 Maack’s pondweed개요 하천과 저수지에 자라는 침수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어긋나며, 자루가 없다. 잎몸은 길이 3-5cm의 선형이고, 잎 끝은 둔하고 가운데가 뭉툭하게 돌출한다. 잎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잎맥은 5-11개다. 턱잎은 막질로 끝이 둥글고 잎의 밑부분과 합쳐져서 줄기를 감싼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에서 나온...
- 분류 :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택사목 > 가래과 > 가래속
- 서식지 :
- 하천, 저수지, 수로
- 학명 :
- Potamogeton maackianus A. Benn.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러시아(극동),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필리핀
-
-
올챙이솔 줄기올챙이자리, Oriental bamboo plant개요 논이나 연못에 자라는 침수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아래쪽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연약하고 가늘며, 길이 10-2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선형, 길이 2-4cm, 폭 2m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흰색이다. 꽃받침잎, 꽃잎은 피침형으로 각각 3장...
- 분류 :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택사목 > 자라풀과 > 올챙이자리속
- 서식지 :
- 연못, 논, 흐름이 느린 얕은 물
- 학명 :
- Blyxa japonica (Miq.) Maxim. ex Asch. & Gürke
- 국내분포 :
- 중부 이남
- 해외분포 :
- 인도, 일본,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