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후쿠시마 원전사고 Fukushima Daiichi nuclear accident
    상실되면 마지막으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발전소상태 감시와 비상설비들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가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이 배터리도 침수되어 전원이 완전히 상실되었다. 다행히 3호기와 5호기에서는 직류배터리가 침수되지 않아 이 전력을 이용해 원자로 냉각을 위한 필수기기들을 작동시킬 수 있었고...
    도서 원자력사전 | 태그 원자력
  • 타이타닉은 어떤 식으로 가라 앉았을까?
    격벽주1이 있어서 모두 16개의 수밀구획주2으로 나누어진다. 해양 사고가 발생하면 대개 충돌은 국부적인 지점에 한하므로 수밀구획은 한꺼번에 배 전체를 침수시킬 가능성을 낮춘다. 타이타닉호도 최대 4개의 구획이 침수되어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배였다. 그러나 운명의 장난인지 이 배는 빙산과 정면충돌하는...
  • 대산평야 大山平野
    낙동강 변에는 해발고도 약 8m의 자연제방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남쪽과 서쪽 주변의 구릉지 또는 산지 밑에는 고도가 3m 정도인 상습적 침수지역이 넓게 자리한다. 상습적 침수지역은 본래 배후습지였던 곳이다. 대산평야가 오늘날과 같이 개발되기 전에 자연제방은 밭으로 이용되었고, 배후습지에는 자연상태의 ‘늪...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물질경이
    기재 일년생, 침수성 수생식물. 줄기는 직립, 괴경상, 단생, 또는 분지함. 잎은 침수성, 근생, 기부는 엽초로 싸임. 엽초의 가장 자리는 전연 또는 거치연. 어린 잎은 선형에서 난형 또는 주걱모양이고 전연 혹은 거치연. 성숙된 잎은 엽병과 엽신으로 분화. 엽병은 50㎝까지 신장한다. 엽신은 얇고 투명질 좁은 타원형...
    분류 :
    자라풀과(Hydrocharitaceae)
    학명 :
    Ottelia alismoides (Linnaeus) Person
    국내분포 :
    낙동강 가락, 산청
    도서 수생식물사전 | 태그 식물
  • 타이타닉 침몰 100년, 선박 침몰 막으려면?
    폐쇄해서 다른 격실에는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해 배가 가라앉지 않게 하는 것이다. 타이타닉호는 모두 16개의 수밀구획¹?으로 나뉘어졌고 수밀격벽²?에는 침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했으며 자동수밀문을 장착해 선교(船橋, 선장이 항해나 통신 따위를 지휘하는 곳)에서 원격조종이 가능한 배였다. 또...
  • 칸탈라 cantala
    재배되고 있다. 열대지역에서 생장률이 높다. 활용 식물에서 섬유를 뽑아내어 활용한다. 섬유를 잎에서 떼어낼 때는 기계를 이용해 박피하거나 침수 처리하는데, 침수 처리는 필리핀 제도에서 흔히 이용하는 것으로 소금물에 담가 적당히 무르고 얼룩진 섬유를 얻는다. 섬유 가닥은 흰색으로 길이가 75~150cm이고 매우...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아스파라거스목 > 용설란과
    원산지 :
    아시아 (필리핀,인도네시아,인도)
    서식지 :
    열대지역
  • 소택지 저습지, 沼澤地
    뿌리의 윗부분이 지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온대 소택지의 나무에서도 편평근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일시적인 소택지에서 자라는 다양한 종들의 나무는 침수로 인한 산소부족에 대한 저항력이 때에 따라 다르다. 침수기에는 심각하지만, 건기에는 적어도 얕은 토양층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북아메리카의 소택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무안국제공항 MWX, Muan International Airport
    중단됐던 상하이와의 정기 항공편이 2018년 3월 다시 운항되면서 10여 개월 만에 중국으로 가는 국제선을 운항하게 됐다. 반면 2017년 7월 폭우로 인한 침수로 공항 내부에 물이 새는 등 피해를 받은 이후 2018년 초에 또다시 겨울비로 인해 침수 피해를 입었다. 이용여객수는 2019년 국제선 포함 최고치인 약 90만 명을...
    위치 :
    한국 전라남도 무안
    설립 :
    2007년
    대륙 :
    아시아
    국가 :
    한국
    사이트 :
    https://www.airport.co.kr/muan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항공 , 교통
  • 새우가래 Maack’s pondweed
    개요 하천과 저수지에 자라는 침수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어긋나며, 자루가 없다. 잎몸은 길이 3-5cm의 선형이고, 잎 끝은 둔하고 가운데가 뭉툭하게 돌출한다. 잎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잎맥은 5-11개다. 턱잎은 막질로 끝이 둥글고 잎의 밑부분과 합쳐져서 줄기를 감싼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에서 나온...
    분류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택사목 > 가래과 > 가래속
    서식지 :
    하천, 저수지, 수로
    학명 :
    Potamogeton maackianus A. Benn.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러시아(극동),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필리핀
  • 중국에서도 평수 또는 제침수(齊針繡)라고 하는데 장사마왕퇴(長沙馬王堆)의 서한묘(西漢墓)에서 유품이 나왔다. 평수를 중국에서는 제침수(齊針繡), 투침수(套針繡)로 나누고 수직 평수를 직평침(直平針), 수평 평수를 횡평침(橫平針), 사선평수를 사평침(斜平針)이라고 한다. 중국의 투침수는 우리 나라에서 가름수라...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애그네스호 태풍 Typhoon Agness
    장흥 547.4㎜, 고흥 487.1㎜, 해남 477.5㎜, 완도 414.3㎜, 목포 394.7㎜ 등이었다. 이로 인해 목포시는 고지대를 제외한 시내 전역이 침수되었으며 가옥·도로·농경지가 침수 및 유실되고 남부 해안지역은 강풍으로 인한 해일이 발생해 큰 피해를 입었다. 한강 상류지역에서도 집중호우로 인한 팔당 댐의 방류로 한강...
  • 올챙이솔 줄기올챙이자리, Oriental bamboo plant
    개요 논이나 연못에 자라는 침수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아래쪽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연약하고 가늘며, 길이 10-2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선형, 길이 2-4cm, 폭 2m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흰색이다. 꽃받침잎, 꽃잎은 피침형으로 각각 3장...
    분류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택사목 > 자라풀과 > 올챙이자리속
    서식지 :
    연못, 논, 흐름이 느린 얕은 물
    학명 :
    Blyxa japonica (Miq.) Maxim. ex Asch. & Gürke
    국내분포 :
    중부 이남
    해외분포 :
    인도, 일본, 중국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침수
침수
침수
침수
한강 유람선 침수
침수된 도시
지하보도 침수 막는 차수판
점보페리호 침수 / 광주일보 특종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