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량해전 露梁海戰개설 임진왜란 중 바다에서의 마지막 싸움이며, 이순신이 승리와 함께 전사한 해전이다. 내용 1597년 재침한 왜군은 그 해 9월 명량해전(鳴梁海戰)에서 패배한 데 뒤이어 육전에서도 계속 고전하였다. 다음 해 8월 도요토미(豊臣秀吉)가 병사하자, 왜군은 순천 등지로 집결하면서 철수작전을 서둘렀다. 이 소식을 접한...
- 시대 :
- 조선
- 발생 :
- 1598년(선조 31) 11월 18일
- 성격 :
- 전투, 전쟁, 해전
- 유형 :
- 사건
- 종결 :
- 1598년(선조 31) 11월 19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이순신, 진린
- 관련 장소 :
- 노량
-
-
금산전투 錦山戰鬪내용 승병장 영규(靈圭)가 거느린 승군과 합세해 8월 1일 청주성을 수복한 조헌의 의병은 근왕(勤王: 싸움에서 군사가 임금을 위해 충성을 다하는 일)을 결의하고, 북행길에 올랐다. 충청도 아산에 이르렀을 때, 충청도순찰사 윤국형(尹國馨)의 권유로, 때마침 금산을 점거하고 이어 호남 지방을 침범하려는 고바야카와...
- 시대 :
- 조선
- 발생 :
- 1592년(선조 25) 7월
- 성격 :
- 전투, 전쟁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고경명, 조헌
- 관련 장소 :
- 금산
-
-
-
-
-
임진왜란의 전개 과정1592년 음력 4월 13일(양력 5월 23일) 고니시가 이끄는 왜군 선봉대 1만 8,700명이 700여 척의 병선에 나누어 타고 쓰시마 섬의 오우라 항을 출항하여 부산포로 쳐들어왔다. 후속 부대가 도착한 왜군의 총병력은 약 20여 만 명에 이르렀다. 동래성을 함락한 왜군은 3로로 나뉘어 서울을 향해 북진하였다. 충주 함락 소식...도서 다음백과
-
오산창의비와 창의사와 묶여 문화재로 확대 지정되었다. 이에 따라 ‘남문 창의비’와 ‘오산창의사’가 ‘오산창의비와 창의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남문 오산창의비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좌랑을 지낸 김경수(金景壽)가 김제민(金齊閔) · 기효간(奇孝諫) · 윤진(尹軫) 등과 함께 전라도 일대에서 의병을 모아 장성 남문(현재의...
- 소재지 :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사남북길 32 (오산창의비)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0-7 (오산창의사)
- 지역 :
- 장성
-
충무공 이순신의 수군 재건1597년 정유년 초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에 대한 재침공을 명령했는데 이를 정유재란이라 부른다. 일본은 조선의 남서해안 바닷길을 장악하지 않으면 조선 전토를 점령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했다. 그런데 조선의 바다에는 이순신이 버티고 있었다. 이에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는 이순신을 제거하기 위해...
-
옥포해전 玉浦海戰내용 임진왜란 당시 부산진과 동래성을 점령한 왜적이 계속 북상하자, 이에 당황해 남해현 앞바다에 피신해 있던 경상우수사 원균(元均)은 율포만호(栗浦萬戶) 이영남(李英男)을 이순신에게 보내어 적의 상황을 알리고 구원을 요청하였다. 전라좌수사 이순신은 휘하 장수와 의논한 끝에 출전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조정에...
- 시대 :
- 조선
- 발생 :
- 1592년(선조 25) 5월
- 성격 :
- 해전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이순신
- 관련 장소 :
- 옥포(玉浦: 지금의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동) 앞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