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마검 驅魔劒
    개설 1908년 4월25일부터 7월 23일까지 『제국신문(帝國新聞)』에 연재된 후, 같은 해 12월 대한서림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된 이해조의 대표적인 소설 중 하나이다. 소설 속에서 함일청이 함진해에게 보낸 첫 번째 편지 내용의 유사성 때문에 중국 만청의 견책소설인 장자의 「소미추」에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해조
    창작/발표시기 :
    1908년
    성격 :
    신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비파성 琵琶聲
    개설 「비파성」은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소설로, 1912년 11월 30일부터 1913년 2월 23일까지 『매일신보』에 64회에 걸쳐 연재되었고, 1913년 10월,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작품은 통속적인 흥미 요소뿐만 아니라 풍속 개량이라는 계몽 의지를 동시에 담았다. 내용 서울 다방골에 사는 김 의관...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이도영 이도영(李鞱穎), 李道榮
    6월 『대한민보(大韓民報)』가 창간되자 1910년 8월 폐간 때까지 1면의 시사만화를 그렸다. 1908년 유원표의 소설 『몽견제갈량(夢見諸葛亮)』을 시작으로 이해조의 『홍도화(紅桃花)』(1908), 최병헌의 『성산명경(聖山明鏡)』(1909), 쥘 베른(Jules Verne, 1828~1905)의 『십오소호걸(十五小豪傑)』(1912) 등의 신소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구의산 九疑山
    김씨열행록」, 「사명당전」 등의 고소설과 개작 등의 영향 관계 아래 있는 작품이다. 애국 계몽기의 작품군에서 식민지 시대의 작품군으로 이행한 이래, 이해조의 작품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일본인 구원자의 등장이나 엽기성의 강화, 신파조의 복수담 등은 이인직(李人稙)이 처음 신소설에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해조
    창작/발표시기 :
    1911년 6월 22일(연재 시작), 1911년 9월 28일(연재 종료)
    성격 :
    소설, 신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이범익 李範益
    1902년 졸업하였다. 1903년에 외국어학교 부교관으로 임명되었고, 1904년 9월 육군 통역으로 발탁되어 노일전쟁 당시 통역을 맡아 참전하였다. 같은 해 이해조 등이 운영하는 보광학교에서 교사로 일하였다. 1905년 10월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학과를 수학하였다. 1906년 3월 탁지부 번역관과 탁지부 건축기사를...
    시대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83년(고종 20) 10월 15일
    사망 :
    미상
    경력 :
    예천군수, 경남 참여관, 강원도지사, 충남지사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본관 :
    전주(全州)
  • 조선문학논고 朝鮮文學論稿
    시대정신, 인민성(人民性)과 애국사상, 국가의 독립과 해방, 애국과 항전 등에 관한 특징을 내세우고 있다. 예를 들어, 「 ‘신소설’ 천론」에서는 이인직, 이해조, 김교제, 안국선 등의 소설 창작경향을 살펴보았는데, 신소설이 자산계급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반봉건, 문명개화, 신교육, 자주독립 등을 앞장서서...
    시대 :
    현대
    저작자 :
    박충록(朴忠祿)
    창작/발표시기 :
    1994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1책
    간행/발행 :
    베이징 베이징대학출판사(北京大學出版社)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한씨보응록 韓氏報應錄
    원고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소설·설화·야담, 그리고 중국 소설에서 화소를 따와서 한 편의 소설을 편집하는 방법을 썼다. 「홍장군전」에 실린 광고에서 이해조가 「홍장군전」과 「한씨보응록」을 ‘특별편집’했다고 하였다. 「홍장군전」에서 홍윤성을 「수호지」 호걸로 연결될 수 있게 서술한 것처럼, 한명회는...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원앙도
    집 교전비로 팔려가는 대목은 명나라 단편소설집 『금고기관(今古奇觀)』 중 「양현령경의혼고녀(兩縣令競義婚孤女)」를 번안하여 덧붙인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해조는 1900년대의 현실을 작품 속에 반영해왔는데 『원앙도』 속 현실은 1890년대 이전으로 후퇴되어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갑오경장을 중심으로 경오...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신소설
    갑오개혁 이후~ 20세기 초까지 봉건 질서의 타파·개화·계몽·자주독립 사상을 주제로 한 소설 이인직이 1906년 <만세보>에 연재한 <혈의 누>를 시작으로 이해조의 <자유종> (1910), 최찬식의 <추월색>(1912) 등이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위험을 조기에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 법제화(부실위험평가제도화), 기업구조조정의 중심주체로서 채권단협의회의 구성 및 역할 규정, 채권 금융기관간의 이해조정제도를 마련하였다. 또한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하여 채권금융기관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상시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회생가능성이 없는 기업은 즉시 퇴출...
  •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企業構造調整促進法
    위험을 조기에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 법제화(부실위험평가제도화), 기업구조조정의 중심주체로서 채권단협의회의 구성 및 역할 규정, 채권 금융기관간의 이해조정제도를 마련하였다. 또한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하여 채권금융기관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상시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회생가능성이 없는 기업은 즉시 퇴출...
  • 기호흥학회월보 畿湖興學會月報
    한 만큼 다양한 성향의 주요 인사들이 모일 수 있었다. 『월보』는 1908년 8월부터 1909년 7월까지 12호가 발행되었고 매호 60면 가량이었다. 편집은 이해조가 담당했고 발행과 편집은 기호학교의 운영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표지에는 전서체로 잡지명 "畿湖興學會月報"을 썼고, 1호의 표지 뒤에는 두 장에 걸쳐...
    성격 :
    문학잡지
    간행/발행 :
    기호흥학회사무소
    창간일-종간일 :
    1908. 8. 25 ~ 1909. 7. 25
    소장/전승 :
    연세대 학술정보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3건

이해조
자유종 / 이해조
홍도화 / 이해조
명암집 / 이해조
빈상설 / 이해조
춘외춘 / 이해조
명암집 / 이해조
이해조의 모란병 중 표지
신문학 운동의 선구자 가운데 한 사람인 〈자유종〉의 작가 이해조
이해조가 편집에 참여하여 작품도 연재한 〈소년한반도〉
악독한 계모를 등장시키는 등 고대 소설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마저 불러일으킨 이해조의 신소설 〈구의산〉
화세계
쌍옥적
철세계
비파성
빈상설 / 이해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