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힌두교란 무엇인가?핵심 교의를 담고 있는 경전은 베다(Veda)로서, 여기에는 베다의 각 부분들 중 가장 중시되는 힌두교의 진리와 교리 및 제의를 대화체로 가르치고 있는 《우파니샤드(Upanishad)》가 포함된다. 그 밖의 경전으로 힌두교가 섬기는 많은 신들에 대한 설화들과 그 신들에 대항하는 악마들에 대한 이야기인 《푸라나(Purana...
-
무상 無常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범어(梵語)로는 아니탸(Anitya), 팔리어(Pali language)로는 아니짜(Anicca)로 인도 힌두교사상의 집약서인『우파니샤드(Upaniṣad)』에서 강조되었던 상주설(常住說)의 반대개념으로서 현상계를 시간적으로 파악한 불교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이다. 연기설(緣起說)은 이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제석도 帝釋圖라고도 하며, 벼락을 신격화한 것이다. 벼락과 쇠갈고리, 인드라망을 무기로 하여 천계(天界)와 지계(地界)를 장악하며 일체의 악마를 정복하는 신으로서, 우파니샤드 시대에 이르러 아수라(阿修羅)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모든 신을 주재하는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였다. 불교가 성립되면서부터 불교 속으로 수용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프라바하나 자이발리 Pravahana Jaivali프라바하나 자이발리는 기원전 8세기 또는 7세기의 판찰라 국왕으로 브리하다아란야카 우파니샤드(Vii.9-13)와 찬도기야 우파니샤드(V.4-8)에 언급되어 있다. 카시의 아자타샤트루 왕이나 마드라의 아스바파티 카이케야 왕처럼, 그는 주요 힌두 철학자-왕으로 묘사된다. 그는 비데하의 자나카 왕과 동시대에 있었고, 캄...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