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냐나데바 Jnanadeva
    이 교파는 판다르푸르에 있는 비탈라(또는 비토바:힌두신 비슈누의 지방 화신) 사원 순례를 중시했기 때문에 이렇게 불렸다(→ 바라카리 판스). 그의 유명한 주석서 〈지냐네슈바리〉는 1290년경에 씌어졌다. 그는 우파니샤드 철학에 관한 저서인 〈암리타누바바 Amṛtānubhava〉와 신애를 주제로 하는 다수의 찬가도...
    출생 :
    1275, 인도 야다바스 알란디
    사망 :
    1296, 알란디
    국적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시바교
    없으나 후에 시바 신과 동일화된 폭풍의 신 루드라는 산에 거주하며 검은색의 두려운 존재로서 시바 신과 유사한 속성을 갖고 있다.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에서 시바('상서로움')는 처음에는 유일신 루드라의 속성이었으나 나중에는 그의 이름이 된다. 여기서 처음으로 비인격적인 브라만이 속성을 가진 인격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베다교와 브라만교
    그 힘을 통제할 수 있는 사제를 뜻하기에 이르렀다. 제사의 본질이 브라만이므로 브라만은 동시에 제사와 대응관계에 있는 우주의 본질이기도 했다. 〈우파니샤드〉에서는 실제의 제사보다도 제사의 기저에 놓인 우주적 연관에 대한 지식이 더욱 강조되었고, 브라만을 아는 자는 곧 브라만이 된다고 믿기에 이르렀다. 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상키야 철학 Samkhya
    입장에서 보면 해탈은 은총과 같은 신의 도움을 통해서가 아니라 전적으로 자신의 올바른 지식을 통해 얻어진다. 이처럼 푸루샤와 프라크리티라는 이원적 실재를 바탕으로 구성된 상키야 철학은 초기 《우파니샤드》의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후에 인도의 철학에 있어서 세계전개 이론에 필수적인 토대를...
    시대 :
    굽타 왕조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타트트밤아시 tat tvam asi
    이 표현은 〈찬도기아 우파니샤드 Chandogya Upanisad〉(BC 600경)의 제6장, 곧 스승 우달라카 아루니가 최고의 실재의 본성을 아들에게 가르치는 부분에서 자주 등장한다. 정통 베단타 철학의 여러 학파에서는 이 명제와 표현된 동일성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했다. 그중에서 8~9세기 불이일원론 학파의 사상가였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힌두교 , 종교
  • 야즈나 Yajna
    봉헌물과 제물을 성화로 바치던 전통에서 성화(아그니) 앞에서 상징적인 제물을 바치는 것으로 진화했다. 야즈나 의식과 관련된 텍스트는 베다 우파니샤드에 포함된 즈나나-칸다 (지식) 부분과 대조적으로 베다 문헌의 카르마-칸다 (의례 행위) 부분이라고 불린다. 야즈나와 같은 의식의 적절한 완료는 힌두 철학의 학파...
    도서 위키백과
  • 힌두교란 무엇인가?
    핵심 교의를 담고 있는 경전은 베다(Veda)로서, 여기에는 베다의 각 부분들 중 가장 중시되는 힌두교의 진리와 교리 및 제의를 대화체로 가르치고 있는 《우파니샤드(Upanishad)》가 포함된다. 그 밖의 경전으로 힌두교가 섬기는 많은 신들에 대한 설화들과 그 신들에 대항하는 악마들에 대한 이야기인 《푸라나(Purana...
  • 무상 無常
    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범어(梵語)로는 아니탸(Anitya), 팔리어(Pali language)로는 아니짜(Anicca)로 인도 힌두교사상의 집약서인『우파니샤드(Upaniṣad)』에서 강조되었던 상주설(常住說)의 반대개념으로서 현상계를 시간적으로 파악한 불교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이다. 연기설(緣起說)은 이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가우디야 비슈누파 Gaudiya Vaishnavism
    바가바드 기타와 바가바드 푸라나를 주된 기본으로 삼고 푸라나 경전들과 이샤 우파니샤드, 고팔라 타파니 우파니샤드, 칼리 산따라나 우파니샤드 이샤 우파니샤드, 고팔라 타파니 우파니샤드, 칼리 산타라나 우파니샤드와 같은 우파니샤드들에도 근거한다. 가우디야 비슈누파는 라다와 크리슈나를 향한 헌신적인 봉헌...
    도서 위키백과
  • 제석도 帝釋圖
    라고도 하며, 벼락을 신격화한 것이다. 벼락과 쇠갈고리, 인드라망을 무기로 하여 천계(天界)와 지계(地界)를 장악하며 일체의 악마를 정복하는 신으로서, 우파니샤드 시대에 이르러 아수라(阿修羅)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모든 신을 주재하는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였다. 불교가 성립되면서부터 불교 속으로 수용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프라바하나 자이발리 Pravahana Jaivali
    프라바하나 자이발리는 기원전 8세기 또는 7세기의 판찰라 국왕으로 브리하다아란야카 우파니샤드(Vii.9-13)와 찬도기야 우파니샤드(V.4-8)에 언급되어 있다. 카시의 아자타샤트루 왕이나 마드라의 아스바파티 카이케야 왕처럼, 그는 주요 힌두 철학자-왕으로 묘사된다. 그는 비데하의 자나카 왕과 동시대에 있었고, 캄...
    도서 위키백과
  • 옴 (만트라) Om, オーム (聖音)
    세계의 본질을 의미한다. 인도 전통에서 옴은 신의 음파 표현, 베다 권위의 표준 및 구원론적 교리와 관행의 중심 측면으로 사용된다. 음절은 종종 베다, 우파니샤드 및 기타 힌두교 경전에서 각 장의 시작과 끝에서 발견된다. 옴은 Omkara, Pranava라고도 부른다. 옴은 우파니샤드에서 처음 언급된다. 그것은 "우주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우파니샤드(Upanishad)
우파니샤드 (Upanishad)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