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한민국의 우주 개발 South Korean space program1992년 8월에 대한민국 소유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가, 1993년 9월 26일에 우리별 2호가 프랑스령인 기아나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우리별 1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가 주축이 되어 지난 1989년부터 총 69억 4천여만원의 연구비를 들여 제작된 무게 50kg의 소형 위성이다. 고해상도...도서 위키백과
-
서울천년타임캡슐광장주요 작물 씨앗, 피임기구, 인공심장, 상품권, 공무원 급여명세서, 자동차 면허증, 초중고 시험지, 무선전화기, 화투, 각종 복권 등이며 축소모형은 우리별 1호, 94년도 시판 승용차, 전동차, 퍼스널 컴퓨터, 굴착기 등이 매장되어 있다. 또한 CD롬이나 마이크로필름에 담은 내용은 당시 많이 소비되었던 서울시민의...
- 위치 :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필동2가)
-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 KAIST Satellite Technology Resear..양성기관이다. 1989년 8월 설립되었다. 1992년 8월 최초 국적위성인 우리별 1호, 1993년 최초 국내제작위성인 우리별 2호, 1999년 최초 독자위성인 우리별 3호 등을 발사하였다. 우리별 1호 - 1992년 8월 우리별 2호 - 1993년 우리별 3호 - 1999년 우리새 2호 - 2017년 차세대소형위성 1호 - 2018년 차세대소형위성 2호...도서 위키백과
-
제2의 지구 인간이 살 수 있는 다른 행성이 있을까?하더라도 지름이 10만 광년이다. 지금 성간공간을 달리고 있는 보이저 1호가 우리은하를 온전히 가로지는 데는 얼마나 걸릴까? 1광년이 약 10조 킬로미터니까...가능한 우주에만도 2천억 개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우주에 있는 별의 총수는 얼마나 될까? 이 엄청난 수를 계산한 사람들이 있다. 바로 호주...
-
우주개발 2026년 화성 관광 시대 도래범위를 확장시켰고, 우리 우주가 빅뱅이라는 대폭발로 탄생했으며, 우주의 나이가 137억 살에 이른다는 사실까지 밝혀내기에 이르렀다. 인공위성에서 우주왕복선...것이었다. 옛 사람에게 지구 바깥은 오로지 신들만의 세상이어서 달과 별이 있는 우주로 나아간다는 것은 꿈속에서나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20세기에...
-
인공위성 人工衛星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하였다. 그 후 1965년 프랑스, 1970년 2월 일본, 4월 중국, 1971년 영국에서 각각 위성을 발사하였다. 1980년에는 인도에서, 그리고 1988년에는 세계에서 8번째로 이스라엘에서 자국의 로켓을 이용해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데 성공하였다. 1989년에는 이라크에서, 1997년에는 브라질, 그리고 1998년...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지구와 닮은 행성 ‘프록시마 b’에는 바다가 있다?!보이저 1호는 지구로부터 약 61억km 떨어진 우주 공간을 지날 때 한 장의 사진을 촬영해 전송했다. 태양빛이 반사돼 생긴 사진 속의 주황색 줄 가운데에는 희미한 푸른 점 하나가 찍혀 있었다. 불과 0.12화소밖에 되지 않는 그 작은 점이 바로 지구의 모습이었다.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그 사진을 보고 감명을...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목록위성명 발사일(UTC) 개발기관 발사체 발사장소 궤도 임무 운용기관 비고 우리별1호 1992년 8월11일 SaTReC 아리안 4 (아리안스페이스) 기아나 우주 센터 저궤도 위성제작기술습득 SaTReC 임무종료 우리별2호 (KITSAT-2) 1993년 9월26일 SaTReC 아리안 4 (아리안스페이스) 기아나 우주센터 저궤도 소형위성기술습득...도서 위키백과
-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서울의 석촌호수를 대상으로 습지 물 여행을 시작해 보자. 아래에 언급된 습지별 주요 관전 포인트를 기억하며 말이다. 사례 1. 4,5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의해 발견된 용늪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1977년 우리나라 람사르 습지 제1호로 등록됐다. 여기서 우리는 용늪을 습원이라 부르는데 주목해야 한다. 습원(濕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