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리온과 능금 Orion과 능금한 그릇의 밥과 한 개의 능금이라고 말한다. 능금을 들고 거리를 내려다보는 그녀의 모습에서 이브를 연상한 ‘나’는 성스럽고 신비로운 한 폭의 그림처럼 그녀를 대한다. 하지만 이내 코카서스 지방에서 결혼할 때 능금을 쪼개 나눠 먹는다면서 한 쪽을 건네는 그녀의 모습을 속되고 평범한 지상적 풍경이라고 여기게...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조왕제 竈王祭歲時記)』에는 12월 8일인 납팔절(臘八節)에 돼지와 술로써 조신에게 제사를 지낸다고 하였다. [절차] 조왕제의 신체는 부엌의 큰솥 뒷벽에 모셔진 조그만 오지그릇[또는 우멍주발]의 정화수이거나 건궁이다. 조왕제를 지내기 전에 안주인이 제의에 쓸 정화수를 길어 오는데, 새벽에 목욕재계를 하고 옷을 갈아입은 뒤...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과식, 어떻게 피할까?연구자들이 그릇의 크기를12인치에서 10인치로 줄여보니 22% 적게 먹었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하루에 간식을 여러 번 먹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리 또는 책상에서 최소한 1m 80cm 떨어진 곳에 간식을 두어야 한다. 그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면 간식을 한 입 더 먹기 전에 생각을 하게 만든다고 한다. 완씽크 교수...
-
타지크족의 종교 신앙과 상 · 장례때 남은 차와 남은 밥을 바닥에 버리는 것을 금하며, 주인이 상에서 일어나 그릇을 정리하지 않으면 손님들은 함부로 움직여서는 안 된다. 또 발로 식용 소금과...채무를 상환하지 않으며, 외부사람들도 가축을 팔거나, 채무를 상환하러 오지 않는다. 일상생활에서 두 사람이 대화할 때 모자를 벗지 않으며, 특별한 사유...
- 분류 :
- 이란어족 민족 > 타지크족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토기 장군(1) 釜山廣域市立博物館 所藏 土器 장군(一)없지만 백제 토기의 영향 아래 신라·가야 지역에서 만들어진 토기일 가능성이 높다. [의의와 평가] 장군은 물·술·간장 등을 담아 옮길 때 쓰는 오지 또는 나무로 만든 그릇으로 중두리를 뉘어 놓은 것 같은 모양으로 한쪽 바닥 마구리는 평평하고 한쪽은 반구형이며 몸통의 중간 부분에 작은 입구가 부착되어 있다...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남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프러데인섬의 13대 비보 Thirteen Treasures of the Island of..입으면 땅에 끌릴 정도로 길어지지만, 부정한 여자가 입으면 무릎까지밖에 오지 않는다. 성자 엘루네드의 돌과 반지: 반지를 끼면 몸이 투명해진다고 한다. 멀린...15번이 들어갈 경우 목록에서 한 개가 빠지고, 러게너스 어스골하이그의 그릇과 접시가 한 항목으로 합쳐진다. 투어허 데 다넌의 4대 비보 웨일스 신화도서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