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동 만휴정 원림 安東 晩休亭 園林유입된다. 주변의 하천으로는 북서쪽에 위치한 현하리의 현하천, 남서쪽에 위치한 백자리의 백자천이 모여 길안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안동시 길안면의 구성암류는 중생대 백악기의 일직층, 중생대 쥬라기 흑운모화강암으로 구성된다. 만휴정이 위치하고 있는 안동시의 서남지역은 비교적 평탄하나 동북은...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안동 오류헌고택 오류헌, 安東 五柳軒古宅공간분리 전통을 잘 이행하고 있는 좋은 예로, 주택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라 하겠다.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당시 명칭은 지례동 오류헌(知禮洞 五柳軒)이었다. 명칭변경 요청에 따라, 국가유산 성격과 소재지를 적시하기 위해 2009년 6월 16일 안동 오류헌 고택(安東 五柳軒 古宅)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안동 진성이씨 종택 안동 주하동 경류정 종택(安東 周下洞 慶流亭 宗宅), 安..건립 경위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진성이씨(眞城李氏) 송안군파(松安君派)의 대종가(大宗家)로, 고려 말 문신 송안군 이자수(李子脩)가 종택의 현 위치인 두루마을에 터를 잡아 노년을 보냈으며, 7대손 이훈(李壎, 1457~1538)에 의해 이건되어 대대적인 중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형태와 특징 가옥은 본채, 별당...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생활/주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국립안동대학교 ANU, 國立安東大學校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에 소재했던 국립 종합대학. 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고 성실하며 창조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이념으로 삼았다. 교육에 기반한 연구와 산학이 균형잡힌 대학을 발전 목표로 하여, 사회를 선도하는 역량과 인성을 갖춘 인재양성이 목표였다. 교훈은 '진리·성실·창조...
- 설립 :
- 1947년 7월 21일
- 유형 :
- 국립 종합대학
- 폐지일 :
- 2025년 2월 28일(국립경국대학교로 통합, 3월 1일 출범)
- 소재지 :
-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 사이트 :
- http://www.andong.ac.kr
-
안동 하회마을 화경당 고택 安東 河回마을 和敬堂 古宅내용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하회마을은 남촌과 북촌으로 나뉘는데, 양진당(養眞堂)과 더불어 북촌을 대표하는 집이다. 마을 중심부 북촌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유도성(柳道性)이 1864년(고종 1)에 건축하여 수차례의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남향한 一자형 대문간채와...
- 시대 :
- 현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안동 권태응 가옥 安東 權泰應 家屋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현 소유자인 권태응(權泰應)이 원래의 세거자(世居者: 한 고장에서 대대로 살아온 사람)가 아니어서 그 유래 · 연혁을 자세히 알 수 없다. 완벽한 ㅁ자형 주택으로 안채는 길이가 7칸이고 너비가 2칸이며, 안방과 상방 앞에만 전퇴(前退)를 두었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안동서삼동벽화고분 安東西三洞壁畵古墳개설 돌방무덤으로 돌방의 네 벽과 천장에 채색벽화가 그려져 있다. 내용 고분의 외형은 지표면에 지대석(支臺石)을 동서 290㎝, 남북 410㎝의 장방형으로 돌리고, 그 위에 50∼60㎝의 봉토를 올린 방형봉토분(方形封土墳)의 형태이다. 봉분은 남쪽을 제외한 3면이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지표면에 얇고 넓적한...
- 시대 :
- 고려
- 건립시기 :
- 고려시대(12세기)
- 성격 :
- 벽화무덤, 석실분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서삼리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안동영명학교 安東永明學校연원 및 변천 ‘밝음이 영원한 곳’이라는 뜻의 안동영명학교는 1972년 3월 16일에 개교한 발달장애 사립특수학교이다. 교훈은 ‘맑고 밝게 자라자’이며 영명교육을 통해 학생, 학부모, 교직원, 지역사회 주민들을 가슴 뛰게 하고 설레게 하는 ‘설레임 교육’ 철학을 추구한다. 유 · 초 · 중 · 고 · 전공과 학생들...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
-
안동 안동권씨 능동재사 安東 安東權氏 陵洞齋舍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고려 삼태사(三太師) 중의 한 사람인 권행(權幸)의 재사이다. 초창(初創)은 1653년(효종 4) 관찰사 권우(權堣)가 종인(宗人)들과 논의하여 마루 · 방 · 곳간 등 16칸을 건립하였고, 그 뒤 1683년(숙종 9) 관찰사 권시경(權是經)이 누각 7칸을 추가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내용 196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태사묘는 고려 건국 때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토벌한 공로로 대광태사(大匡太師)의 벼슬이 하사된 3공신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정필(張貞弼)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1541년(중종 36)에 지어졌으나 한국전쟁 때 전소되어 1958년에 복원되었다. 이곳에 소장된 3공신의 일괄유물...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안동 마동 고분군 안동마리고분군, 安東 馬洞 古墳群현, 국가유산청)에서 조사한 곳이다. 삼국시대 무덤 19기와 고려시대 무덤 1기 등 총 20기의 무덤이 발굴되었으며 현재는 모두 물속에 잠긴 상태이다. 안동시 마동은 원래 월곡면(月谷面)이었으나 지금은 임동면(臨東面)에 편입되었다. 무덤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 산등성이에서 북쪽과 동쪽으로 이어지는 산등성이 3곳...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 분야 :
- 역사/선사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