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일형 鄭一亨
    1980년 복권되었다. 1950년 국회외무위원장으로 활약했으며 대한통신사 사장을 지내기도 했다. 1960년 외무부장관을 지냈고, 1966년 신한당 고문, 1967년 신민당 부총재에 취임했다. 1969년 국제연합(UN) 총회 한국대표로 활약했고, 국토통일원 고문에 추대되었다. 1973년 신민당 정무회의 부의장 겸 당수권한대행을...
    출생 :
    1904, 평남 용강
    사망 :
    1982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영삼 거산(巨山), 金泳三
    제4대 총선에서 부산 서구에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4 · 19혁명 후 실시된 7 · 29 총선에서 당선되었다. 장면(張勉) 정부 출범 후 민주당 구파가 신민당을 창당하자 여기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곧 5 · 16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여 정치활동을 금지당하였고, 1963년 3월에는 군정 연장 반대 시위를 벌여 서대문...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현대사
  • 남조선노동당 남로당, 南朝鮮勞動黨
    거의 붕괴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 주요 간부들은 북한에서 간첩 혐의로 처형되었다. 창당 배경 남로당은 해방과 함께 결성, 창당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 등 3당이 합당하여 결성된 정당이다. 조선공산당은 1945년 8월 20일 박헌영(朴憲永)을 중심으로 발족한 조선공산당재건준비위원회에 의해 9월 11일...
  • 삼선개헌반대투쟁 삼선개헌반대운동, 三選改憲反對鬪爭
    공화당은 부정적 여론을 무릅쓰고 준비한 개헌안을 1969년 9월 13일 국회 본회의에 회부했다. 14일 오전 2시 50분 민주공화당 및 무소속 의원 122명은 신민당 의원들이 농성을 벌이고 있는 국회 본회의장이 아닌 국회 제3별관 특별위원회실에 모여 개헌안을 25분 만에 날치기 통과시켰다. 3선 개헌 반대투쟁은 1969...
    시대 :
    현대
    발생 :
    1969년 6월
    성격 :
    민주화운동
    유형 :
    사건
    종결 :
    1969년 12월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공화당, 신민당, 삼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
  • 김형일 金炯一
    1961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 뒤 민정당 경기 10지구당 위원장, 민정당 당무위원, 6대 국회의원(전국구), 7대 국회의원(경기도 화성, 신민당), 신민당 당무위원, 당기위원장, 8대 국회의원(경기도 화성, 신민), 신민당 사무총장, 73년 9대 국회의원 등을 지냈다. 1965년 한일회담 비준 반대투쟁을 전개하던...
    시대 :
    현대
    출생 :
    1923년
    사망 :
    1978년
    경력 :
    합참모본부장, 육군참모차장, 국방부장관특별보좌관, 제6·7·8·9대 국회의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1967년 6·8총선거
    직업 :
    군인, 정치인
    성별 :
    분야 :
    역사/현대사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민통련, 民主統一民衆運動聯合
    명망가들의 조직이었던 후자는 상호 보완적인 면이 강했기 때문에 곧 통합논의가 진행되었다. 1985년 2·12총선 이후 강력한 야당으로 신한민주당(약칭 신민당)이 부상하자, 이에 상응하여 강력한 재야 통합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결국 1985년 3월 29일 두 단체가 통합하여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약칭 민통련)’이...
    시대 :
    현대
    설립 :
    1985년 3월 29일
    성격 :
    민주화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89년 1월 21일
    설립자 :
    민중민주운동협의회, 민주통일국민회의
    분야 :
    역사/현대사
  • 197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YH무역 근로자 호소문
    생기는 지금에 저희 3백20명마저 직장을 잃고 거리에 내동댕이쳐진다면 약하고 먹을 것 없는 저희들은 죽으란 말입니까.······ 저희 근로자들이 신민당에 올 수밖에 없었던 것은 회사, 노동청, 은행이 모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기에 오갈 데 없었기 때문입니다. 악덕한 기업주는 기숙사를 철폐하고 밥은 물론...
    시기 :
    1979년
  • 윤제술 尹濟述
    국회문교위원장, 민정당부총재를 지냈다. 1963년에 6대 국회는 민정당 소속으로 서대문구에서, 1967, 1971년 제7·8대 국회는 신민당 소속으로 역시 서대문구에서 당선되었다. 1967년 신민당정책위원, 1968년 국회부의장, 1971년 신민당정무위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1973년 통일당최고위원에 선출되었으며 1977년 통일당...
    출생 :
    1904, 전북 김제
    사망 :
    1986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YH무역농성사건 YH무역농성사건
    187명의 여성 노동자들로 시작된 농성은 3일째인 8월 11일 새벽 2시 2,000여 명의 경찰이 농성장에 투입되면서 23분 만에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신민당 의원과 취재기자, 농성 노동자 등 다수가 부상을 당했고, 22세 여성 노동자 김경숙이 숨진 채 발견됐다. 이 사건은 이후 신민당의 무기한 농성과 김영삼 당시...
  • 채문식 蔡汶植
    1961년 〈민국일보〉 도쿄[東京] 특파원을 지냈다. 1963년 국민의 당 재정부장과, 1964년 총무부장으로 활동하면서 정치에 입문했다. 1971년 제8대 국회에서 신민당 전국구의원으로 국회에 진출한 이후 1973~80년 문경·예천 지역에서 신민당 후보로 제9·10대 국회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75년 신민당 대변인을...
    출생 :
    1925. 1. 16, 경북 문경
    사망 :
    2010. 6. 26,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유진오 현민, 兪鎭午
    본부장, 1961~63년 국제연합(UN) 한국협회장 등을 역임했다. 한편 1965년 고려대학교 총장에서 물러나 정치계에 입문한 뒤로 1966년 민중당 입당, 1967~70년 신민당 총재, 1967~71년 국회의원, 1970~72년 신민당 고문, 1980~87년 국정자문위원, 1982~87년 옥계유진산선생기념회장 등을 지냈다. 1955년 연세대학교에서...
    출생 :
    1906. 5. 13, 서울
    사망 :
    1987. 8. 30,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이재형 李載瀅
    53년 상공부장관, 1958년 제4대 민의원, 1960년 국회부의장, 제5대 민의원, 1964년 민주당과 민중당의 지도위원, 1966년 신한당 정책위의장 등을 지냈다. 1967년 신민당 소속으로 전국구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1968년 신민당 부총재, 1970년 신민당 고문을 지냈다. 1980~88년 제헌동지회장, 1981~83년 민주정의당 대표...
    출생 :
    1914. 11. 7, 서울
    사망 :
    1992. 1. 30,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신민당
신민당 의원총회
신민당 창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