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속공예 金屬工藝대부분 삼국시대 고분에서의 출토품들이다. 그 중에는 안교(鞍橋)·등자(鐙子)·행엽(杏葉)·운주(雲珠)·마탁(馬鐸) 등이 있고, 청동 혹은 금동제의 호사로운 것도 있다. 안교에는 전면에 당초문을 투각하였고, 경주 금관총 출토의 등자는 당초문을 투각하고 그 밑에 비단벌레껍질을 깔아서 색을 반사하게 한 것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한국 韓國편성된 한국의 국가체제는 이른바 삼국시대였다. 삼국은 각기 폐쇄적인 국가적 차원의 통로로 선진문물을 받아들여 국가체제를 정비해나갔다. 이 시기의 과학기술은 국가적 차원에서 통제되는 가운데 체계적으로 발전하였다. 전문적인 기술인이 육성되어 국가의 요구에 부응한 여러 물질문화를 창조해냈다. 고구려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현대사
-
-
솜씨조형은 사실 고도로 세련된 미술품으로서 한국미의 본보기에 속하는 것들이다.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석조(石造) 미술품의 경우만 하더라도 그 시대의 뛰어난...추정된다. 돌을 다루는 석공(石工)만이 아니라 조각을 위한 기본적 데생력, 건축을 위한 구조역학에 관한 지식, 그리고 종교적으로 필수적인 의궤(儀軌) 등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불상 佛像의미에 한국적인 독특한 수용태세를 찾아볼 수 있다. 삼국시대의 말기, 즉 7세기 중엽에 가까워지면 불상의 표현에는 얼굴이나 불신의 묘사에 입체감이 강조되고 법의 표현도 자연스러워진다. 그리고 상의 전면뿐 아니라 측면이나 뒷면의 묘사에도 관심을 두는 그야말로 입체 조각으로서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7세기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장식미술 裝飾美術장식 한국건축 장식의 대부분 의장수법(意匠手法)에 따라 자연스럽게 장식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문헌상에서 건축장식에 관하여 언급한 것으로는 『삼국사기』 잡지(雜志) 옥사조(屋舍條)와 조선시대 세종실록과 『경국대전』, 『대전회통(大典會通)』의 가사규제(家舍規制)가 있다. ① 석축(石築) : 전국토의 75%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배흘림기둥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신전에서도 나타나는 오랜 역사가 있는 건축기법으로 엔타시스(entasis)라고 하며, 다만 최대 직경의 위치에서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두드러진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건축도에서도 배흘림기둥이 묘사되어 있음을 볼 때 삼국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조선시대 말까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여자모양집자리 여자형주거지, 呂字形住居址고고자료이다. 그러나 주거지 평면형태의 육각형으로의 변이, 쪽구들의 구조, 출토유물 등 세부적인 면에서 일부 지역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여자모양집자리의 독특한 출입구와 내부시설인 화덕, 벽체, 상부가구구조 등의 비약적인 발전은 삼국시대 주거건축 기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기술교육 技術敎育있다. 한국기술교육사 삼국시대의 기술교육 단편적으로 전해 오는 기록이나 유물들을 중심으로 미루어 보건대, 삼국시대 이전의 생활에도 그 시대 특유의 의도적이며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산출되던 제작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부여를 비롯한 고대국가가 농경사회로 전환되면서, 농업 경영기술에 뛰어난 자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돌것이다. 삼국시대의 석비는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 ·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만 기록적 가치가 있을 뿐 조형적 가치는 별로 없다. 통일신라시대부터는 이러한 고비(古碑)의 단순성을 벗어나 비신을 중심으로 밑에는 비좌(碑座), 위에는 개석의 구조를 갖추게 되어 귀부(龜趺)와 이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오산수청동유적 烏山水淸洞遺蹟지구 조성 당시에 문화재보호법에 명시된 사전지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건축공사 진행 후에 수습발굴을 하게 되었다. 지표조사 결과 원삼국시대 생활유적의...발굴조사 결과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목관묘 7기와 고려시대 기와 가마 1기, 조선시대 목관묘 1기 등 총 9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내용...
- 성격 :
- 복합유적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기단 基壇모습과 요동성총(遼東城塚)의 성곽도(城廓圖)에 그려진 누각의 기단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와 같이 삼국시대부터 뚜렷하게 축조되어 온 기단은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건축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기단의 종류는 쌓는 재료에 따라 흙으로 쌓은 토단(土壇), 벽돌로 쌓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