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52년 대한민국 1952 in South Korea
    폭동사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공산포로들이 폭동을 일으키다. 5월 25일 - 부산,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계엄령이 발효되었다. 5월 26일 - 부산 정치 파동(개헌파동)이 일어나다. 6월 16일 - 한국항공대학교 설립. 7월 18일 - 중석불 사건(重石弗事件)이 국회에 비화(飛火)되어 조사위가 구성되다. 8월 5일...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 South Korean legislative el..
    차지하여 이승만 정부를 위협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이승만으로 하여금 자신에게 불리한 간선제에서 직선제 개헌운동을 전개하게 만들었으며, 결국 부산정치파동을 거쳐 발췌개헌을 하기에 이르도록 하였다. 색 상자색 상자색 상자색 상자색 상자색 상자 시·도 선거구 / 당선자 서울특별시 종로구 갑 종로구 을...
    도서 위키백과
  • 이종찬 (1916년) 李鍾賛 (1916年生)
    했다. 그 뒤 제병협동본부(육군보병학교의 전신) 본부장을 거쳐 1951년 6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면서 바로 육군 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1952년 5월 부산 정치 파동 때 대통령 이승만의 군부대 동원 명령을 거부하여 곧바로 해임되었다. 1952년 5월 이승만 대통령이 직선제 개헌을 관철시키려고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도서 위키백과
  • 유진산 옥계(玉溪), 柳珍山
    1952년 부산 국제구락부에서 조병옥 등과 호헌구국선언대회를 주도하다가 계엄군에 체포되어 2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1954년 무소속으로 제3대 민의원 의원에 당선, 그 해 4사5입개헌 때에는 신익희(申翼熙) · 조병옥 등과 호헌동지회를 발족시켰다. 1955년 신당발기추진8인위원회 위원, 1956년 민주당 대통령후보...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김영삼 거산(巨山), 金泳三
    총선에서 부산 서구에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4 · 19혁명 후 실시된 7 · 29 총선에서 당선되었다. 장면(張勉) 정부 출범 후 민주당 구파가 신민당을 창당하자 여기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곧 5 · 16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여 정치활동을 금지당하였고, 1963년 3월에는 군정 연장 반대 시위를 벌여 서대문형무소에...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현대사
  • 금정산 공비 사건
    치고 작업 중이던 미군 공병분대를 습격해 수 명을 죽인 사건이다. 당시 공비들은 남해주와 부산을 뚫기 위하여 창녕도를 건너서 밀양 경부철도를 끊고 남해주로 들어온 사람들과 합쳐서 포항을 장악하려고 시도하였다. 이후 정부에서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부산 정치파동까지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민국의 공안 사건
    도서 위키백과
  • 이용문 (군인) 李龍文
    동향을 분석하였다. 1951년 6월 준장으로 육군본부 작전교육국장이 되었고, 이 당시 박정희를 차장으로 발탁했다. 전쟁 중 발생한 부산 정치 파동 때는 신태영 국방장관이 "병력을 부산으로 보내 원용덕 장군을 도와주라"고 지시하는 전화를 받자 단호하게 "제가 작전국장으로 있는 한 절대로 파병은 못합니다. 전쟁 중...
    도서 위키백과
  • 보수당 保守黨
    당’파동 직후 재야정당의 소장정치인이 중심이 되어 정의실현에 적극적이며 전통 위에 창조를, 질서 속에 진보를 달성한다는 이념하에 1963년 10월 28일 창당...일체의 ‘보스시스템’을 지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 시스템으로 정치 풍토를 혁신”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당의 노선으로는 혁신적 보수주의 노선...
    시대 :
    현대
    설립 :
    1963년 10월 28일
    성격 :
    정당
    유형 :
    단체
    해체 :
    1966년 2월 28일
    설립자 :
    김명윤, 고담룡, 김창수, 서유석 외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국민복지연구회 사건 國民福祉硏究會 事件
    부산에 예춘호(芮春浩) 등 주로 주류파 중진급 인사들을 본인의 의사에 관계없이 내정하였다. 이 때 제명처분을 당한 사람은 국회의원 김용태(당무위원)와 최영두(6대 국회 문공위원장), 송상남(중앙위원)이었고, 제명 사유는 이들이 활동해 온 한국국민복지연구회는 당초의 목적과 달리 포섭대상을 주로 당내 청년...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성득환 成得煥
    있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이 되었고, 민주국민당 중앙집행위원을 지냈다. 또한 영동석유판매조합장, 영동양곡도정(擣精)조합장, 공영사(共榮社) 상무를 지냈다. 부산 정치 파동 중 발췌개헌안 표결 때 출석하지 않은 5명 중 한 사람이다. 선거기록/KR/개인 한국근현대인물자료 (국사편찬위원회)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이석기 (1907년)
    등을 역임했다. 1949년 2월 8일에는 서울특별시 행정참사관에 임명되고, 7월 31일 전격 경질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가, 1952년 부산 정치 파동 때 국제공산당 관련 혐의로 구속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으로 재선되었으며, 1960년 제5대 국회의원(민의원)에 당선되어 3선 의원이 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권중돈
    정치인이다.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8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일본 와세다 대학 정경학부를 나온 그는, 경상북도 노동국장을 지냈으며 부산 정치 파동 시 투옥되었다. 1960년에는 잠시 국방부장관을 맡기도 하였으며 신민당 지도위원을 역임했다. 선거기록/KR/개인선거기록/KR/개인선거기록/KR/개인선거기록...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부산 정치파동 / 데모대
부산 정치파동 / 데모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