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휜 부분을 위로 하고, 양옆을 따서 장방형에 가깝도록 한다. 고려시대 말기에 지어졌던 부석사 무량수전, 봉정사 극락전 등의 보는 속칭 항아리보라 하여 단면이 항아리의 옆모습처럼 만들고 있다. 항아리보의 밑면은 그 폭을 장혀의 두께에 맞추어서 다듬어 기둥 위의 공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고려 후기의 문화
    현존하는 장가는 동동, 청산별곡, 가시리, 상화점 등이 있다. 역사서로는 일연의 <삼국유사>, 이승휴의 <제왕운기> 등이 있다. 목조 건축물로는 봉정사극락전,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조사당, 수덕사의 대웅전을 들 수 있다. 도자기는 몽골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대중적인 형태의 분청사기의 모습으로 바뀌어 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의 건축물
    한다. 고려는 남송의 새로운 주심포 양식을 받아들여 독자적인 양식으로 발전시켰고 후기에 들어 다심포 양식의 건축물들도 세우게 되었다.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한국에서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1363년 지붕을 수리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기와 지붕은 집을 짓고 대략 150년 정도가 지나 보수...
    도서 위키백과
  • 통도사 양산시 기념물 제289호, 通度寺
    영산전·극락전·약사전·만세루(萬歲樓)·영각(影閣) 등의 하로전(下爐殿)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가람구조는 금강계단 중심에서 점차 대웅전 중심의 공간배치로 변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건물들은 모두 조선시대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주위에 회랑을 돌리지 않고 삼문(三門)을 두어 구분했는데 일주문(一柱門)은...
    문화재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201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적 , 사찰 , 신라
  • 주심포식 柱心包式
    그리고 주심포 양식은 간략화된 익공(翼工) 양식으로 변화되어 궁궐의 침전(寢殿), 사찰의 부속건물, 향교와 서원 등의 유교적 건물, 이밖에 개인 건물 등에 사용되었다.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축물인 안동 봉정사(鳳停寺) 극락전(極樂殿),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대웅전, 등이 대표적인 주심포 형식의 문화재이다...
    도서 다음백과
  • 닫집 당가
    대웅전, 봉선사 금당에서 볼 수 있다. 보개형은 천장 일부를 감실처럼 속으로 밀어 넣은 형태인데 고대 불전에서 많이 보인다. 대표적으로 무위사 극락전봉정사 대웅전에서 볼 수 있다. 보개형은 닫집이라고 하기보다는 보개천장으로 불리며 천장의 한 종류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의미와 역할은 닫집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영암 도갑사 해탈문
    종도리 하단 양측을 받치도록 하여 견고하고 합리적으로 처리되었다. 도갑사 해탈문의 공포 및 가구세부를 고려시대 건물들의 양식과 비교하면 우선 봉정사 극락전(鳳停寺 極樂殿)과의 공포구성 공통점에서 출목(出目)밑에 행공첨차가 없고 최하단(最下端) 살미첨차(해탈문에서는 헛첨차) 외부의 하단이 쌍S자형 문양...
    도서 위키백과
  • 안동시의 문화재
    안동시의 문화재에서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문화재를 다룬다. 국보 제15호 봉정사 극락전 국보 제16호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 국보 제121호 하회탈 및 병산탈 국보 제132호 징비록 국보 제311호 봉정사 대웅전 보물 제56호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 보물 제57호 안동 조탑동 오층전탑 보물 제58호 안동 안기동...
    도서 위키백과
  • 안정사 석조 여래 좌상 安定寺 石造 如來 坐像
    원래 안동시 미질동의 이재용가(李在用家)에 있던 것을 일제 강점기에 안정사로 옮겼다. 다시 안동 댐 조성에 의해 1973년 지금의 소장처인 봉정사(鳳停寺)로 이장하여 극락전에 별도로 안치되어 있다. 안정사에 있을 당시 개금을 하여 원래의 화강암 석질이 주는 중후한 맛은 느낄 수 없다. 특히 얼굴과 손 부분은 개금...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문화재 정보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榮州 浮石寺 無量壽殿)은 1376년에 중수된 목조 건축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18호이다. 대한민국 경북 안동의 봉정사 극락전과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정확한 건조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 중기 후반경의 건축물로 추측된다.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도서 위키백과
  • 조선시대의 한국 건축
    주로 배흘림으로 되어 있다. 주심포계 건축은 다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차이를 보이므로 초기·중기·말기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의 건물로는 무위사 극락전(1476 이전), 강화 정수사 법당, 송광사 하사당, 도갑사 해탈문 등이 있으며, 중기의 건물로는 도동서원 중정당, 봉정사 화엄강당·고금당, 나주향교 대성전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거조사
    모두 다른 걸로 유명하다. 1805년 스님이 영산전 오백나한상에 각각에 모두 이름을 붙였다. 현재 남은 고려시대 건축물은 거조사 영산전, 부석사 무량수전과 조사당, 봉정사 극락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 뿐이다. 거조암 영산전 앞에 있고,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추정된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졌고, 전체 높이는 360cm...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5건

안동 봉정사 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부분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부분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부분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불단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불단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불단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불단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불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