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분산 모의 시뮬레이터 分散模擬simulator, Distributed Sim..팀 훈련 혹은 연구 개발을 위해서 개별 모의 실험(simulation)을 연합적으로 구성하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대규모 모의 실험을 구현하는 장치. 대표적인 분산 시뮬레이터에는 1982년에 미 DARPA에서 개발된 SIMNET이 있다. SIMNET은 전차 시뮬레이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훈련용으로 활용한 세계 최초의 분산...
-
전투 근무 지원 훈련 모의 훈련 체계 CSSTSS, 戰鬪勤務支援訓練模擬訓練體系증원(RSOI) 연습 시 사용되는 전투 근무 지원 훈련 모델. 전투 근무 지원 부대 지휘관 및 참모의 조치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미군에 의해 최초 개발된 훈련 모의 체계이다. 2001년부터 한국군에도 도입하였으며 CBS모델과 연동하여 운영한다. 각 기능(의무, 정비, 보급, 수송, 인사, 유류, 영현, 탄약)을 묘사할 수 있다.
- 분야 :
- 지휘 ・ 통제 ・ 통신
-
에이전트 행동 모의 기술 agent行動模擬技術객체 기반 모델링 기법으로 구현된 각각의 에이전트(commander, individuals, groups 등)가 입력 받은 사건에 대한 행동 양식(전장 계획, 이동 계획, 반응 결정, 정보 분석 등)을 기술하는 행동 모델링(behavioral modeling) 기술. 체계 종합 기술을 구성하는 체계 M&S 기술 중 하나이다.
- 분야 :
- 국방정보체계
-
비제약 모의 실험 ASAP 모의 실험, 非制約模擬實驗벽시계 시간과 시간 진행 비율 사이에 명확한 관계가 없는 모의 실험(simulation). 이 모의 실험은 ASAP(as soon as possible) 모의 실험이라고도 불린다. 분석 모의 실험 모델과 다수의 구성 전투 게임 모의 실험은 종종 비제약 모의 실험을 적용한다.
-
모의 실험 지원 개체 模擬實驗支援個體, Simulation Support E..모의 실험 환경을 지원 ・ 통제 ・ 감시하는 데 사용되지만 전장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처리 모듈. 모의 실험 지원 개체는 스텔스 기체, 작전 관찰 디스플레이, 활동 검토 시스템과 시뮬레이션 통제 시스템 등 통제자 또는 훈련 관찰자를 위한 전장 관찰 장치들을 포함한다.
- 분야 :
- 국방정보체계
-
모의 전자 기만 IED, 模擬電子欺瞞아군의 통신 체계 및 전자 체계에 대하여 허위 장소, 허위 부대 및 허위 노력으로 위장하거나 또는 실제 부대, 실제 능력으로 위장함으로써 아군 부대의 구성, 배치 및 능력에 대하여 적이 오판(誤判)하도록 하여 적이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데 혼란을 일으키고 오류를 범하게 하는 기만 행위.
-
분산 대화형 모의 실험 규약 데이터 장치 分散對話型模擬實驗規約data裝置, ..자료가 구성될 형식과 구조를 정의하는 표준. 일반적인 목적은 기관 간의 소프트웨어와 함께 자료의 전송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특히 분산 대화형 모의 실험 규약 데이터 장치는 다른 종류의 시뮬레이터, 모의 실험 및 모델 사이에서 통신되도록 설계되었다.
-
몬테카를로 모의 실험 MC, Monte Carlo模擬實驗알 수 없는 값의 추정 등, 무작위 통계적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는 모의 실험. 시뮬레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확률론적 모델들에 모두 난수를 발생시켜 얻은 수 차례의 반복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합하여 실세계에서의 오차 범위를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기법.
-
분산 대화형 모의 실험 통신망 관리자 分散對話型模擬實驗通信網管理者, Dist..분산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물리적 통신망을 관리하는 책임을 가진 특정 기관. 책임이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통신망 보안의 보증, 사용 스케줄의 설정, 통신망 우선순위의 설정, 예정된 사용의 실행 감시, 사용자 공동체의 통신망 요구 사항 조정 등.
-
국립 모의 센터 NSC, 國立模擬center미국 육군에서 운영하는 장병 및 부대 훈련 시스템을 개발하는 센터. 육군 훈련 시뮬레이션, 육군 게임 및 통합 훈련 환경을 개발하며 군인의 훈련에 적합한 기능을 문서화하고 개발한다. 군단 ・ 사단 ・ 여단 단위 및 전체의 공동 작전 훈련도 지원한다.
-
공지 전투 모의 훈련 ALBS, 空地戰鬪模擬訓練재래전에서 핵 ・ 화학 ・ 전자전 등의 가용 전투력을 최대로 통합하여, 제대별 종심 공격으로 전장을 확대하여 적의 선두 및 후속 제대를 동시에 타격함으로써 조기에 주도권을 장악하여 승전의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공세적 기동전의 모의 훈련.
- 분야 :
- 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