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예술종합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韓国芸術総..
    조선왕조실록편 발간 2014년 6월 학술자료집: 2 선진악론집요 발간 2014년 6월 학술자료집: 3 양한악론집요 발간 석학 초청 특강 2006년 10월 김지하 석좌교수 특강 「브랜드로서의 한류」 2006년 11월 김지하 석좌교수 특강 「정신적 항체: 문화자본주의」 2006년 12월 김지하 석좌교수 특강 「한류: 리얼리즘」 2007년 3월...
    도서 위키백과
  • 이진희 李進熙
    이진희는 대학 교수로서의 학자, 문필가였지만 정치에도 관심이 높았다. 1974년 박정희 군사 정권은 긴급 조치 위반 등 반정부 운동을 하였다는 이유로 시인 김지하(金芝河)에게 사형을 구형하였다. 이에 이진희는 김지하의 석방을 요구하는 단식 투쟁을 두 차례에 걸쳐 결행하였다. 『계간 삼천리』의 창간 특집을...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 분신정국
    노태우 대통령은 직선제로 선출된 대통령이긴 하나 선거 과정에서 직선제라고 볼 수 없는 엄청난 비리가 있어서 독재자로 평가하는 이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김지하 등의 저항시인들이 칼럼을 내며 도가 지나친 운동을 자제하라고 했으나 오히려 그 시인들을 조리돌림 하면서 김지하 작가를 우경화시키는 데 영향을...
    도서 위키백과
  • 지금도 마로니에는
    이 시리즈는 한국의 시대적 분위기를 알 수 있게 하는 교양 드라마로, 3편인 이 드라마에서는 동숭동 시절 서울대학교를 중심 무대로 하여 문학가 김지하와 김승옥, 학생운동가 김중태 등의 젊은 시절과 가정 배경, 그리고 사회적 분위기와 대학가 풍경을 그렸다. 드라마와 해설이 교차하는 학습보조 작품의 성향이...
    도서 위키백과
  • 이산문학상 怡山文学賞
    문 소설 1991 3회 황동규 몰운대행(行) 시 1991 3회 박완서 미망(未忘) 소설 1992 4회 정현종 한 꽃송이 시 1992 4회 홍성원 먼동 소설 1993 5회 김지하 결정본 김지하 시전집 시 1994 6회 최인훈 화두 소설 1995 7회 오규원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 시 1996 8회 김주영 화척(禾尺) 소설 1997 9회 마종기 이슬의...
    도서 위키백과
  • 사상계 Sasanggye
    2005년 장준하의 장남 장호권이 복간했고, 그는 2008년 현재까지 발행인과 사장을 겸하고 있다. 오적 필화 사건(五賊筆禍事件)은 1970년 《사상계》에 실린 김지하의 담시(譚詩) 〈오적〉(五賊)으로 인해 관련자들이 옥고를 치른 사건이다. "사상계 필화 사건"이라고도 한다. 〈오적〉은 재벌과 국회의원, 고급공무원...
    도서 위키백과
  • 부완혁 夫琓爀
    534호) 그러나 강원용에 의하면 전임자인 장준하와 갈등했다고 한다. 부완혁이 사상계 발행인을 맡아 경영하던 중, 1970년에 박정희 정권의 부패를 비판한 김지하의 담시 〈오적〉으로 인해 사상계가 폐간되었다. 1976년에는 맏사위 신선호가 설립한 율산그룹 회장을 맡아 경영인으로의 변신을 꾀했으나 회사가 해체되어...
    도서 위키백과
  • 박경리 Pak Kyongni, 朴景利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하기로 결정하였다. 김행도와 결혼하여 딸 김영주와 아들 김철수를 두었다. 김철수는 어린 나이에 사고사하였다. 김영주는 1973년 시인 김지하와 결혼하였으며, 강원도 원주시의 토지문화관 관장직을 맡아 일하였고, 2019년 9월 작고했다. 작품 〈계산〉 〈흑흑백백〉 〈불신시대(不信時代)〉 〈암흑...
    도서 위키백과
  • 윤노빈
    은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월북한 사람이다. 부산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82년 가족과 함께 월북했다. 1941년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났다. 시인 김지하와 강원도 원주중학교와 서울대 문리대 (철학과) 동창이며, 서로 깊이 교류했다. 이 인연으로 김지하는 2008년 10월 부산대 철학과 개설 60주년 기념식에...
    도서 위키백과
  • 정현종 Chong Hyon-jong, 鄭玄宗
    자기동일성 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규진, 〈정현종 시 연구 : 생태의식을 중심으로〉. 경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김수림, 〈김지하·정현종 초기 서정시의 물질적 상상력과 문체〉.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권계영, 〈정현종의 시의 시간의식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
    도서 위키백과
  • 양심선언 良心宣言, declaration of conscience
    박정희(朴正熙) 정권은 1974년 1.8 긴급조치로 많은 성직자, 지식인, 학생들을 구속하였고, 특히 1970년 5월 당시 <오적>(五賊)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킨 김지하(金芝河)가 재수감되었는데, 이에 따라 한국 천주교사상 일찍이 볼 수 없었던 사회참여의 거센 파도를 몰고 오게 하였다. 원주(原州) 교구장 지 주교는 학생...
  • 김민기 (가수) Kim Min-ki, 金珉基
    아이〉 등을 부르다 경찰서 연행되었으며, 그의 앨범 및 노래를 모든 방송에서 금지했다. 이후 김민기는 시인이자 서울대학교 동문인 김지하와 조우했고, 야학 활동을 했다. 1973년 김지하의 희곡 〈금관의 예수〉를 노동자들과 함께 공연했던 그는 국악인들과 교류하여 다음해 〈아구>를 무대에 올렸다. 1974년 군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9건

김지하(金芝河)
김지하의 육필
2002년 제10회 대산문학상 수상 작가 '김지하'
담시 〈오적〉을 내놓아 반체제 저항 시인의 면모를 분명히 보여준 김지하
1970년 9월 8일 서울구치소에서 보석으로 출감하는 김지하(두루마기 차림)
김지하의 담시 〈비어〉를 실었다가 판매 금지 조치를 받은 바 있는 가톨릭계 월간지 〈창조〉의 창간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긴 노래체의 율문에 풍자와 해학을 섞은 담시 형태로 선보인 김지하의 〈오적〉
민주주의에 대한 간절한 염원을 담은 〈타는 목마름으로〉와 본문 속의 표제시
〈황톳길〉을 비롯해 32편의 시가 수록된 첫 시집 〈황토〉
대학 때 세느다방에서 개인 시화전을 가지며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
1970년 ‘오적 사건’ 재판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