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폐부종 肺浮腫, pulmonary edema
    폐모세혈관압의 상승이나 폐혈관의 투과성 항진 또는 양자의 합병에 의해 발생한다. 증상으로 천명, 기침, 가슴 답답함, 심한 호흡곤란, 포상도색장액의 다량 객혈 등이 나타나며, 중증인 경우는 청색증이 생긴다. 강심제나 이뇨제를 투여하여 증상을 호전시킨 후에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증상 , 호흡기
  • 맥문동 동사이, 麥門冬
    중에 무·마늘· 파·오이풀을 금한다. 효능 주로 호흡기·순환계 질환을 다스리고, 건강 생활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가슴답답증, 각기, 각혈, 감기, 강심제, 강장보호, 건뇌, 건위, 건해, 근육통, 기관지염, 기울증, 담, 당뇨병, 두통, 명목, 번열, 변비, 보로, 보양, 보폐·청폐, 불로장생, 불면증, 비만증, 서증...
    학명 :
    Liriope platyphylla
    분포지역 :
    중부 이남
    자생지역 :
    산지의 나무 그늘
    번식 :
    분주·씨
    약효 부위 :
    덩이뿌리
    생약명 :
    맥문동(麥門冬)
    키 :
    30~50cm
    과 :
    백합과
    생활사 :
    상록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4~5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고 약간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덩이뿌리 7~10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개맥문동·소엽맥문동
  • 중심정맥관 삽입술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준비사항 시술 전 4-6시간 금식합니다. 검사시기 손이나 발 등의 말초 정맥을 확보할 수 없을 때, 고농도 정맥주사약 또는 승압제 및 강심제 투약, 응급용 정맥주입로 확보, 빈번한 채혈이나 중심정맥압 등 혈역학적인 측정을 위해 안정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검사방법 1. 시술 과정...
    관련 질환 :
    패혈증, 위장관출혈, 폐암, 천식, 공기 가슴증
    관련 인체 :
    정맥, 경정맥
    관련 검사 :
    비중격 교정술, 초음파 검사
  • 유영딜티아젬정 30mg (수출용) Yooyoung Diltiazem Tab. 30mg
    고도의 방실블록이 고정적인 경우에는 심박동(pacing)과 함께 치료해야 한다. 3) 심부전 : 근변력성 약물(도파민 또는 도부타민)과 이뇨제를 병용투여한다. 강심제, 혈압상승제, 수액 등의 투여와 보조순환을 적용할 수 있다. 4) 저혈압 : 혈관수축제(도파민 또는 주석산노르에피네프린)를 투여한다. 강심제, 혈압상승제...
    식약처 분류 :
    [02170]혈관확장제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약효 분류 :
    심혈관계 작용약 > 혈압 강하제 > 칼슘채널 길항제 > Non Dihydropyridine
    제조/수입사 :
    (주)유영제약
    성상 :
    흰색의 원형정제
    제형 :
    정제, 저작정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FDA 임산부 금기 :
    C - 해당 약물이 임부에게 투여될 경우 태아에게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나, 약물투여로 인한 치료적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큰조롱 산백(山伯)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비경(卑經)과 심경을 다스리고, 신경(腎經)에도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간기능회복, 강근골, 강심제, 강장보호, 나력, 배한, 보신·보익, 보혈, 복랭, 불임증, 빈혈증, 신경쇠약, 양기부족, 옹종, 요슬산통, 원기부족, 유정증, 자양강장, 장출혈, 종독, 중독...
    학명 :
    Cynanchum wilfordii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기슭의 풀밭, 경사진 바닷가
    번식 :
    약효 부위 :
    뿌리
    생약명 :
    백하수오(白何首烏)
    키 :
    1~3m
    과 :
    박주가릿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 덩굴풀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달고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4~8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약모밀 어성초(魚腥草), 藥모밀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산제로 하며 술에 타서 복용한다. 효능 주로 운동계·비뇨기·부인과·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간염, 강심제, 개창, 거담,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관절염, 기관지염, 냉병, 대하증, 동맥경화, 매독, 무좀, 방광염, 부종, 산후부종, 수종, 악창, 암(식도암...
    학명 :
    Houttuynia cordata
    분포지역 :
    중남부 지방(제주도·거제도· 안면도·울릉도)
    자생지역 :
    그늘진 습지
    번식 :
    씨·땅속줄기
    약효 부위 :
    뿌리(땅속줄기)
    생약명 :
    중약(重藥)
    키 :
    20~50cm
    과 :
    삼백초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여름~가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맵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뿌리 6~10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무릇 물구지, Chinese squill
    물엿처럼 먹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고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순환계·피부과 질환을 다스리고, 건강 생활에 유익하다. 관련질병: 강심제, 강장보호, 건위, 근골동통, 근골무력증(근골(跟骨)을 못 펼 때), 근육통, 안신, 옹종, 요통, 위염, 유방염, 유종, 자양강장, 장염, 젖몸살, 종독, 중독, 진통...
    학명 :
    Scilla scilloide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약간 습기가 있는 들판
    번식 :
    분근·씨
    약효 부위 :
    비늘줄기
    생약명 :
    면조아(綿棗兒)
    키 :
    30~50cm
    과 :
    백합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3~4월, 10~11월
    취급요령 :
    날것 또는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맵고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비늘줄기 10~25g
    주의사항 :
    많이 오래 써도 무방하다.
  • 사람유두종바이러스검사 Human papilloma virus test
    필요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한 번의 검사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정기 검사가 필요합니다. ▶ 월경으로 인한 혈액, 감염, 강심제 등의 약물은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건강 팁 ▶ 미국질병관리센터의 예방접종 자문위원회에서는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는 사람유두종...
    관련 질환 :
    구강암, 사마귀, 외음부암,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염
    관련 인체 :
    자궁경부, 자궁
    관련 검사 :
    성병 검사, 매독 검사
  • 프리엘서방캡슐 120mg Free L SR Cap. 120mg
    고도의 방실블록이 고정적인 경우에는 심박동(pacing)과 함께 치료해야 한다. 3) 심부전 : 근변력성 약물(도파민 또는 도부타민)과 이뇨제를 병용투여한다. 강심제, 혈압상승제, 수액 등의 투여와 보조순환을 적용할 수 있다. 4) 저혈압 : 혈관수축제(도파민 또는 주석산노르에피네프린)를 투여한다. 강심제, 혈압상승제...
    식약처 분류 :
    [02170]혈관확장제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약효 분류 :
    심혈관계 작용약 > 혈압 강하제 > 칼슘채널 길항제 > Non Dihydropyridine
    제조/수입사 :
    에이프로젠제약(주)
    성상 :
    적색의 구형입자가 충진된 하늘색과 무색투명한 경질캅셀제
    제형 :
    서방캡슐제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실온보관
    FDA 임산부 금기 :
    C - 해당 약물이 임부에게 투여될 경우 태아에게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나, 약물투여로 인한 치료적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산뽕나무 山뽕나무
    복용 중에 도라지·복령·지네를 금하며, 쇠붙이(철) 도구를 쓰지 않는다. 효능 주로 소화기·순환계·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감기, 강심제, 고혈압, 곽란, 당뇨병, 몽설, 변혈증, 보간·청간, 보폐·청폐, 부종, 불면증, 비만증, 신경통, 심장병, 아구창, 중풍, 천식, 토혈, 폐결핵, 폐렴 소아질환...
    분류 :
    낙엽 활엽 소교목
    학명 :
    Morus bombyci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과 들, 마을 부근, 논밭둑
    번식 :
    약효 부위 :
    뿌리의 속껍질
    생약명 :
    상백피(桑白皮)
    키 :
    7~8m
    과 :
    뽕나뭇과
    채취기간 :
    가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뿌리의 속껍질 2~7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가시뽕나무·뽕나무·왕뽕나무
  • 산국 개국화, 山菊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효능 주로 호흡기와 소화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감기, 강심제, 강장보호, 고혈압, 구내염, 기관지염, 담, 두통, 명목, 목적동통, 발열(신열), 비색출수, 소종양, 식적창만, 온신, 옹종, 위염, 음랭, 임파선염, 장염...
    학명 :
    Chrysanthemum boreale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지
    번식 :
    실생·꺾꽂이·분주
    약효 부위 :
    생약명 :
    야국(野菊)
    키 :
    1m 정도
    과 :
    국화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개화기)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서늘하며, 쓰고 맵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6~9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감국의 두상화(頭狀花)
  • 왕바곳 초오두(草烏頭), 王바곳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효능 주로 간장과 비장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심제, 개창(옴), 경련, 관절염, 냉리, 독충해독, 두통, 복랭, 소종, 수렴제, 수종, 신경통, 옹창, 음종(남성외음부부종), 임파선염, 종기, 진경, 진통, 풍한
    학명 :
    Aconitum fischeri var. leiogynum
    분포지역 :
    북부 지방
    자생지역 :
    깊은 산 숲 속
    번식 :
    분주·씨
    약효 부위 :
    덩이뿌리
    생약명 :
    초오(草烏)
    키 :
    60~120cm
    과 :
    미나리아재빗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10월
    취급요령 :
    햇볕이나 불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맵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1~3g
    동속약초 :
    투구꽃·놋젓가락나물·이삭바꽃의 덩이뿌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