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국의 철학자 목록 List of Chinese philosophers, 中国哲学家列表
    고자 (사상가) 맹자 왕망 순자 안회 증자 (사상가) 정현 (후한) 자사 주희 갈홍 노자 열자 양웅 장도릉 장각 추연 묵자 노반 관중 (춘추) 조조 (전한) 한비자 이회 (법가) 이사 (진나라) 상앙 신불해 신도 (사상가) 자산 (춘추) 양주 (사상가) 혜시 공손룡 허행 소진 (전국) 장의 (전국) 악의 (장군) 역이기 손무 손빈...
    도서 위키백과
  • 조로쿠 Chōroku, 長禄
    막부의 아시카가 요시마사 고쇼 3년 9월 28일(율리우스력 1457년 10월 16일), 개원. 조로쿠 4년 12월 21일(율리우스력 1461년 2월 1일), 간쇼로 개원된다. 『한비자』의 「其建生也長、持祿也久」. 원년 4월 8일 : 오타 도칸이 무사시 에바라 군 사쿠라다(桜田郷)에 에도 성을 짓다. 12월 2일(양력 12월 18일) - 조로쿠...
    도서 위키백과
  • 임동석
    중국사상(林東錫中國思想) 100'(동서문화사)이라는 이름으로 꾸준히 인문고전을 번역하였다.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춘추좌전 등의 유교경전은 물론, 사기열전, 전국책 등의 역사서, 손자, 오자, 육도, 삼략 등의 병학서, 한비자, 정관정요 등의 경세서(經世書)까지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수인 (중국 신화) Suiren, 燧人氏
    한비자에...
    도서 위키백과
  • 노 목공 穆公 (魯), 魯穆公
    증삼의 아들 증신)에게 물었다. 공자들을 진나라와 초나라에 보내 섬기게 하니, 이는 이웃 제나라의 위협에 대해 진나라와 초나라의 도움을 받아 대항하려는 것이었다. 이서(犁鉏)는 진나라와 초나라가 제나라에 비해 너무 멀어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목공에게 간했다.한비 : 《한비자》 제22편 설림 상 노나라의 군주
    도서 위키백과
  • 양주 (사상가) Yang Zhu, 楊朱
    蘭)은 도가 사상 묵자(墨子) 이후에 출현하였다고 생각하여 양주(楊朱)를 그 시초를 삼으나 아직 불확실하다. 양주의 학설은 《맹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 《회남자》에 보인다. 양주(楊朱)는 하나의 생명이야말로 가장 귀중하다고 생각하여 생활의 일체는 이 하나의 생명을 기르고자...
    도서 위키백과
  • 인간혐오 Misanthropy, 人間不信
    대한 흥미, 관심을 잃고 자기주관적 세계에 갇히는 자폐증과 개념이 중복되는 부분은 있다. 그러나 모든 정신질환자가 인간혐오라고 보기는 어렵다. Col-2 표현의 자유 사상의 자유 현실주의 합리주의 남성혐오증 여성혐오증 비관론 객관주의 니힐리즘 심층생태주의 한비자 마키아밸리 위키공용분류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백마비마 When a white horse is not a horse, 白馬非馬
    합쳐진 "백마"와 형태라는 하나의 개념으로만 된 "말"은 별개다. 아설은 이 논변으로 당시 자기가 소속되어 있던 직하학당의 학사들을 항복시켰다고 한다. 『한비자』에 따르면 아설은 백마를 타고 관문을 지나갈 때 말 통행세를 걷자 백마비마설을 주장해 세금을 면제받으려 했으나 관리에게 먹히지 않아 세금을...
    도서 위키백과
  • 신도 (사상가) Shen Dao, 慎到
    전 315년)은 중국의 철학자였다. 그는 조나라 출신으로 제나라의 직하학궁(稷下學宮)에서 봉사하였다. 그의 42편의 수필 중 현재 전하는 것은 모두 7편이며, 한비자와 장자의 기록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신도 철학의 가장 큰 특징은 도교와 법가의 합성을 대표한다는 사실이다. 그들 두 학파는 상반되는 듯하게 보이지만...
    도서 위키백과
  • 유소 (신화) Youchao, 有巣氏
    건물을 발명한 사람이다. 삼황오제의 하나로 여겨진다. 대소(大巢)라고도 알려진 모호한 인물이다. 전통에 따르면 그가 200년 동안 중국을 통치했다고 한다. 한비자에 따르면 사람들은 유소가 가르친 나무로 만든 건물의 도움으로 동물의 해를 피할 수 있었다. 천하 창조에 참여한 사씨(四氏)의 전설이 있다. 4명의 멤버...
    도서 위키백과
  • 모순 Contradiction, 矛盾
    있다고 선전하는 창으로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다고 선전하는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됩니까?”하고 질문을 던지자 상인은 아무 대답도 하지 못했다. 《한비자 난(難)1》 그런데 엄밀히 말해서 이 고사의 창과 방패 이야기는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대당 사각형에서 말하는 모순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 창은 모든...
    도서 위키백과
  • 송 척성군 剔成君, 宋剔成君
    이는 상실된 고본죽서기년을 죽서기년을 인용한 서적들을 통해 복원하는 과정에서 사기색은에 간접적으로 인용된 죽서기년의 문장을 가져온 것이다). 《한비자》에서는 대환(戴歡)과 황희(皇喜)가 총애를 다투다가 마침내 황희가 임금을 죽이고 정권을 빼앗았다고 한다. 또 사성(司城) 자한(子罕)이 송군을 대신하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한비자
한비자
한비자(韓非子)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