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실주의 寫實主義
    침묵 등을 거쳐 광복을 맞은 리얼리즘 논의는, 김남천 · 이원조 · 임화 중심의 문학건설 총본부(1945.8.16.)와, 한효 · 이기영 · 한설야 중심의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1945.9.17.)으로의 양분된 발족과 당(남로당)과의 연결로, 당시의 건국 이데올로기에 상응하는 진보적 리얼리즘(인민연대독재에 의한 진보적...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인민민주주의 People's democracy (Marxism–Leninism), 人民民..
    1979년1979년 ~ 1989년 국기나라 그림 헝가리 인민공화국 1949년 ~ 1972년 1972년 ~ 1989년 민주사회주의 표면단체 인민공화국 사회민주주의 일당우위제 국민통일전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베트남 조국전선 민중 민중민주주의 프롤레타리아 프롤레타리아 혁명 프롤레타리아 독재 해방신학 민중신학 민중사학 좌파 민족주의
    도서 위키백과
  • 노동계급 Working class, 労働者階級
    일용직 노동자, 노숙자들이 계급의식이 결여돼 있다고 여겼다. 공산주의 선언 에서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자본주의 체제를 프롤레타리아 독재 ("부르주아지 독재와 반대되는 다수의 지배 )로 대체하는 것이 노동계급의 운명이라고 주장했다. 계급 제도를 뒷받침하는 사회적 관계를 폐지하고 "각자의 자유...
    도서 위키백과
  • 멘셰비키 Mensheviki
    마르토프와 그의 추종자들은 멘셰비키가 되었다. 1903년 당대회 뒤부터 두 당파 사이의 의견 차이는 점점 커졌다. 멘셰비키는 고도로 중앙집권화한 당의 독재적 역할을 강조하는 레닌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더욱이 프롤레타리아는 부르주아 혁명을 지도할 수 없고 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멘셰비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노농동맹
    공산주의 형성의 주체 인정 퇴보 토지공유제(土地公有制) 원시적 농업 공동체를 사회주의/공산주의의 기반이라고 평가 소비에트 정부 성립 이후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노농정부인가?"라는 논쟁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정부가 노농동맹에 입각한 프롤레타리아 독재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노농정부라고 불릴 수...
    도서 위키백과
  • 사회당 좌파 Left Socialist Party of Japan, 社会党左派
    결성했으며 정치적으로는 사회당 우파와 이념적으로 대립했다. 사회당 좌파는 사회민주주의와 중도 좌파 노선를 비판하고 각종 급진적인 사회개혁과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주장했다. 또한 평화혁명론을 펼치며 산촌공작대를 동원해 강경한 무장투쟁을 벌이던 일본공산당과 차별화했으나, 한편으로는 일본공산당과의 연대...
    도서 위키백과
  • PT PT
    체력단련(Physical Training)을 뜻하는 약어 체육(Physical education) 또는 피트니스 판디트(Pandit)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프롤레타리아(Proletariat)의 약어 - 예를 들어, 프롤레타리아 독재(PT 독재) 액체침투탐상검사(Penetrant 'Test)의 약어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Pokemon Platinum Giratina)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고타 강령 비판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me, ゴータ綱領批判
    정당인 독일 사회민주당이 창당하게 된다. 고타 강령 비판은 마르크스가 혁명 전략의 조직론을 상세하게 제시한 선언이며 프롤레타리아 독재, 자본주의에서 공산주의로 전환하는 과도기,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노동자 계급 정당에 대한 논의를 담은 문서로 여겨졌다. 이 문서는 자본주의의 이행 직후의 공산주의 사회...
    도서 위키백과
  • 공산주의 Communism, 共産主義
    사회주의와 확실히 다른 개념이다.'라고 선언한 이후부터 마르크스주의자 사이에서 사회주의는 ‘낮은 단계의 공산주의’를 의미하는 용어로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등치됐다. 유럽 내 비(非)마르크스주의 집단 사이에서 공산주의는 주로 계급 투쟁, 무신론, 유물론에 기초한 반신론(反神論)적 폭력 혁명 사상으로 여겨...
    도서 위키백과
  • 최소강령론 Minimum programme
    이 시기 각국 공산주의 정당은 이 최소 강령적 요구를, 민족민주혁명을 통한 민족민주주의/인민민주주의 정권의 수립 또는 사회주의 혁명을 통한 프롤레타리아 독재 정권의 수립이라는 최대 강령적 요구와 항상 통일시켜 선전함으로써 양자의 중요성을 동시에 강조하였다. 마르크스-레닌주의 제 정당에서 최소 강령적...
    도서 위키백과
  • 민중 Minjung
    근대적 가치관을 수용한 사례로도 볼 수 있다. 현재까지도 민중사학 등을 불쾌하게 여기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일베의 민주화나 언더도그마와 같은 유행어 역시 그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 인민 평민 대중 군중 프롤레타리아 프롤레타리아 혁명 프롤레타리아 독재 해방신학 민중신학 민중사학 민중민주주의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저우양 (평론가) Zhou Yang (literary theorist), 周扬 (政治人物)
    이양 출신이다. 상하이의 대하(大夏) 대학(현 화둥사범대학 위치)을 졸업하였으며 1927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일본에서 유학 뒤 귀국 후 프롤레타리아 독재 혁명의 상하이 지하 좌익작가연맹에 간부로 참여하였고 주로 문학 평론과 소비에트 혁명 문학 작품의 번역 활동을 했는데, 이른바 뒤이은 국방문학 논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