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성 용대기놀이 洪城 龍大旗놀이개설 마을 주민들이 농사철에 용대기를 들판에 꽂아놓고 풍물을 치며 노는 놀이로, 이웃마을의 두레패를 만났을 때 서로의 깃발을 넘어뜨리는 두레싸움의 일종이다. 용대기(龍大旗)는 용의 형상을 그려놓은 기(旗)로서 1982년 충청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연원 및 변천 홍석모가 쓴 『동국...
- 시대 :
- 현대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나주세시풍속놀이한마당잔치 羅州歲時風俗─민속놀이들을 세시풍속놀이라는 행사로 거행하게 되었다. 행사내용 이 행사는 전통문화의 계승적 측면에서 부럼깨기, 마을공동체의 동제(洞祭), 석전(石戰)이나 풍물경연대회, 장대놀이, 줄다리기, 연날리기 등 많은 종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풍물경연대회가 끝나면 나주시립국악단의 공연도 펼쳐지곤 한다. 또한 가족...
- 시대 :
- 현대
- 성격 :
- 마을축제, 지역축제, 세시풍속
- 유형 :
- 의식행사
- 행사시기 :
- 정월 대보름
- 장소 :
- 전라남도 나주시 영산강 둔치 체육공원
- 주관처 :
- 나주문화원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농기 農旗위하여 동제를 지내거나 두레 때 마을의 상징으로 농기를 세워두며, 이웃마을과 화합 또는 싸울 때에도 농기를 내세운다. 두렛일을 할 때는 이 기를 옮겨가며 풍물을 치고 모심기^논매기를 한다. 농기는 흰색의 천에다 먹글씨로 ‘神農遺業(신농유업)’ 또는 ‘黃帝神農氏遺業(황제신농씨유업)’·‘農者天下之大本(농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
농악의 절차와 놀이사람들이 모이고 일렬횡대로 늘어서 쇳가락에 맞추고 서낭신에게 절을 올린다. 당에서 굿이 끝나면 서낭대를 높이 세우며 마을로 돌아와 구석구석을 돌면서 풍물을 울리는데, 이를 '돌돌이' 또는 '집돌이'라고 한다. 돌돌이는 관가나 우물 등 공공시설로부터 시작해서 각 집을 방문하여 '마당밟기'를 한다. 이것은 지방...
-
밀양 백중놀이 密陽 百中놀이행세를 하면서 살았던 아전(衙前)출신들의 모임인 보본계원(報本契員)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밀양은 양반과 천민의 차별이 심한 곳으로 천민들이 풍물에 의지하여 신명나게 놀면서 울분을 해소하였던 것 또한 지금의 백중놀이를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백중놀이가 벌어지게 되면 행사의...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
-
태평소 화려하고 강렬하면서도 애처로운, 太平簫예사롭지 않은 태평소 소리로 세상을 두루 평안하게 풍물굿에서 화려하고 강렬하면서도 애처로운 소리를 내는 국악기, 태평소(太平簫)를 아시나요? 태평소는 풍물악기 가운데 유일하게 가락을 부는 악기입니다. 국악기 가운데 목부(木部) 에 속하는 관악기인데 새납, 쇄납(瑣呐), 호적(胡笛), 날라리, 대평소, 소눌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