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성 용대기놀이 洪城 龍大旗놀이
    개설 마을 주민들이 농사철에 용대기를 들판에 꽂아놓고 풍물을 치며 노는 놀이로, 이웃마을의 두레패를 만났을 때 서로의 깃발을 넘어뜨리는 두레싸움의 일종이다. 용대기(龍大旗)는 용의 형상을 그려놓은 기(旗)로서 1982년 충청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연원 및 변천 홍석모가 쓴 『동국...
    시대 :
    현대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나주세시풍속놀이한마당잔치 羅州歲時風俗─
    민속놀이들을 세시풍속놀이라는 행사로 거행하게 되었다. 행사내용 이 행사는 전통문화의 계승적 측면에서 부럼깨기, 마을공동체의 동제(洞祭), 석전(石戰)이나 풍물경연대회, 장대놀이, 줄다리기, 연날리기 등 많은 종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풍물경연대회가 끝나면 나주시립국악단의 공연도 펼쳐지곤 한다. 또한 가족...
    시대 :
    현대
    성격 :
    마을축제, 지역축제, 세시풍속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정월 대보름
    장소 :
    전라남도 나주시 영산강 둔치 체육공원
    주관처 :
    나주문화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농기 農旗
    위하여 동제를 지내거나 두레 때 마을의 상징으로 농기를 세워두며, 이웃마을과 화합 또는 싸울 때에도 농기를 내세운다. 두렛일을 할 때는 이 기를 옮겨가며 풍물을 치고 모심기^논매기를 한다. 농기는 흰색의 천에다 먹글씨로 ‘神農遺業(신농유업)’ 또는 ‘黃帝神農氏遺業(황제신농씨유업)’·‘農者天下之大本(농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사물놀이
    4가지 의물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사물놀이의 4가지 악기를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었다. 농악·짝두름·설장구놀이·비나리·판굿·칠채굿 등의 풍물음악이었으나, 이 풍물음악에서 음악만 심화·발전되어 사물놀이가 되었다. 주로 앉아서 치는데 각 악기의 잡이들이 뛰어난 기량을 발휘한다. 같은 가락을 치면서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한국음악 , 음악
  • 농악의 절차와 놀이
    사람들이 모이고 일렬횡대로 늘어서 쇳가락에 맞추고 서낭신에게 절을 올린다. 당에서 굿이 끝나면 서낭대를 높이 세우며 마을로 돌아와 구석구석을 돌면서 풍물을 울리는데, 이를 '돌돌이' 또는 '집돌이'라고 한다. 돌돌이는 관가나 우물 등 공공시설로부터 시작해서 각 집을 방문하여 '마당밟기'를 한다. 이것은 지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밀양 백중놀이 密陽 百中놀이
    행세를 하면서 살았던 아전(衙前)출신들의 모임인 보본계원(報本契員)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밀양은 양반과 천민의 차별이 심한 곳으로 천민들이 풍물에 의지하여 신명나게 놀면서 울분을 해소하였던 것 또한 지금의 백중놀이를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백중놀이가 벌어지게 되면 행사의...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농악 農樂
    등으로 민중의 생활 깊이 스며들어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행하던 민속종합예술. 원래는 굿을 가리키는 말로 전통시대의 민간사회에서는 굿·매구(매귀)·풍장·풍물·두레 등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렀다. 농악이라는 용어는 원각사의 협률사라는 단체에서 처음 사용했고 '농악'이라고 통칭하게 된 것은 8·15...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1-1~6호 (진주삼천포농악·평택농악·이리농악·강릉농악·임실필봉농악·구례잔수농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한국음악 , 농악
  • 장구
    만들었으나, 오늘날에는 북편은 쇠가죽으로 채편은 말가죽으로 만든다. 민속악에는 왼편은 개가죽으로, 오른편은 노루가죽을 쓰기도 한다. 크게 정악장구와 풍물이나 무악(巫樂) 등 민속악에서 쓰는 장구로 나눌 수 있는데, 정악 장구는 왼편 가죽을 북편이라 하여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다듬은 채를 들고 친다. 채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마당극
    위해 사용되며, 공연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걸개그림과 야간공연에는 횃불도 사용된다. 마당극은 풍물패를 앞세운 길놀이로 관객을 끌어모으거나 판을 푸는 풍물연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풍물패는 공연이 이루어지는 동안 마치 탈춤에서처럼 판 가장자리 객석 한쪽에 앉아서 극의 흐름에 따라 적절한 음향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태평소 화려하고 강렬하면서도 애처로운, 太平簫
    예사롭지 않은 태평소 소리로 세상을 두루 평안하게 풍물굿에서 화려하고 강렬하면서도 애처로운 소리를 내는 국악기, 태평소(太平簫)를 아시나요? 태평소는 풍물악기 가운데 유일하게 가락을 부는 악기입니다. 국악기 가운데 목부(木部) 에 속하는 관악기인데 새납, 쇄납(瑣呐), 호적(胡笛), 날라리, 대평소, 소눌이...
  • 신광수 성연, 申光洙
    시인 〈금마별가 金馬別歌〉도 이 시기에 지어졌다. 1763년 사옹봉사(司瓮奉事)가 되었고, 다음해에 금부도사로 제주에 가서 45일간 머물면서 제주민의 고충과 풍물을 노래한 〈탐라록 耽羅錄〉을 지었으며, 4월에는 선공봉사(繕工奉事)가 되었다. 1765년에 예빈직장(禮賓直長)이 되고 1767년에는 연천(連川) 현감이...
    출생 :
    1712(숙종 38), 서울
    사망 :
    1775(영조 15), 경기 교하
    국적 :
    조선, 한국
  • 비나리패
    걸립패 연행종목의 주종이 비나리이기 때문에 '비나리패'라는 별칭이 붙었다. 비나리패가 마을에 들어가면 우선 집주인의 허락을 얻어서 풍물놀이를 시작한다. 토지 귀신을 밟아주는 터굿부터 시작하여 집안 웃어른을 모시는 성주굿, 부엌의 조왕굿, 맑은 물이 솟기를 비는 우물굿, 장맛이 나게 부탁드리는 철륭굿...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7건

남사당놀이 - 풍물
이탈리아 풍물 거리
이탈리아 풍물 거리
팔도풍물시집
서울풍물시장
팔도풍물시집
남사당놀이 풍물놀이
안성 남사당풍물놀이
안성 남사당풍물놀이
안성 남사당풍물놀이
안성 남사당풍물놀이
안성 남사당풍물놀이
안성남사당풍물놀이
러시아 풍물 거리(俄罗斯风情街)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풍물놀이
남사당놀이 꼭두각시놀음 꼭두각시와 풍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