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우트풀 사운드 Doubtful Sound / Patea, ダウトフル・サウンド
    제임스 쿡은 다우트풀 사운드를 "다우트풀 하버"라고 명명했다. 그는 항해를 하면서 항해하는 능력 불명확했기 때문에 이 후미까지는 들어가지 않았다. 다음 포경선이나 바다표범 사냥꾼에 의해 다우트풀 사운드로 개명되었다. 알레산도로 말라스피나가 지휘하는 스페인의 과학 조사대가 새로운 미터법을 확립하기 위한...
    도서 위키백과
  • 롱보트 Launch (boat), ランチ (船)
    바람쪽으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는 이 단어가 1515년부터 1867년까지 사용됐다고 기록되어 있다. 후에, 특히 영국 해군에서 롱보트는 포경선으로 교체되는 움직임이 있었다. 커터는 1950년대까지 사용됐지만 후에 모터 커터로 교체되었다. 트리스탄 다 쿠냐 제도나 핏케언 제도에서는 서프 보트...
    도서 위키백과
  • 로버트 팰컨 스콧 Robert Falcon Scott, ロバート・スコット
    결국 그들은 마지막 3월의 귀환길에서 체력이 고갈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아문센의 경우도 식량이 부족하긴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아문센은 자기 대원 중에 포경선 사수를 고용하여 바다표범이 보이는 대로 사냥해서 식량을 보충했지만 스콧은 탐험기간 내내 단 한 번도 사냥을 시도하지 않았다. 심지어 부하 대원 중...
    도서 위키백과
  • 이현대
    아닌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고 믿고 직접 실천하는 작가였다. 「하늘로 간 고래」를 쓰기 위해 이현대는 고래잡이의 본고장이었던 장생포까지 찾아가 포경선의 포장을 직접 만나서 창작하고, 「덜구 소리」는 경상북도 예천 지역까지 찾아가 장례 풍습을 현지 취재한 뒤에 작품을 썼다. 이현대의 대표 작품이...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 향유고래 향고래, sperm whale
    가을에 새끼를 낳는다. 바닷속 깊은 곳에는 정체불명의 많은 생물 종이 살고 있다. '대왕오징어'도 그중의 하나인데, 길이 10m에 이르는 '대왕오징어'는 포경선에서 잡은 '향유고래'의 위를 해부하면서 발견되었다. '대왕오징어'는 심해에 사는 동물로, '향유고래'가 '대왕오징어'를 잡아먹기 위해 심해로 잠수한다는...
    분류 :
    포유류 > 고래목 > 향유고래과
    먹이 :
    오징어와 문어 등의 두족류, 물고기
    크기 :
    전체 길이 암컷 12m, 수컷 18m. 몸무게 최대 57t. 태어날 때의 전체 길이 3.5~4.5m
    학명 :
    Physeter macrocephalus
    분포지역 :
    전 세계 남북 40도 이하 해역
  • 뿌리 (음반)
    Foundation) 마차 (Skit) 남자기 때문에 Fist Of Fury (때려부셔!) 엄지 손가락 Can't Act (어색함) (Skit) 내 손을 잡고 (Feat. 요조) 아라디호 비 내리는 포경선 How Long Is A Chinese Man (Skit) One 한 토요일밤 우리 그리고 너 하나 슬픈 기타줄 굽혀진 9자로 Rhyme Sharks (Feat. Lowd, MQ, Roscoe Umali...
    도서 위키백과
  • 그레나딘 제도 Grenadines, グレナディーン諸島
    세인트 빈센트(Petit St Vincent), 팜 아일랜드(Palm Island) 및 메이로(Mayreau), 모두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 있다. 그레나딘의 주목할만한 무인도에는 포경선이 사용하는 페티트 네비스(Petit Nevis)와 2000년대 초반에 두드러진 부동산 사기의 중심지였던 페티트 무스티크(Petit Mustique)가 있다. 약 32개의 섬과...
    도서 위키백과
  • USS 피닉스 USS 피닉스
    구입한 함선. 두 번째 USS 피닉스 (1841년) : 1841년 건조된 90 톤 스쿠너. 세 번째 USS 피닉스 (1861년) : 1861년 해군이 구입한 404 톤 함선, 이전에는 포경선. 네 번째 USS 피닉스 (CL-46) : 제2차 세계 대전에 사용한 브루클린급 경순양함, 나중에 아르헨티나에 매각한 후 포클랜드 전쟁에서 침몰. 다섯 번째 USS...
    도서 위키백과
  • 라르센 빙붕 Larsen Ice Shelf, ラーセン棚氷
    반도 동해안의 캐이프 로깅부터 스미스 반도까지 쭉 이어져 있는 빙붕이다. 2005년 기준 면적이 약 78500 km2이며 바다 위를 덮고 있다. 이 빙붕은 노르웨이 포경선 요손의 선장인 카를 안톤 라르센이 1983년 12월 남위 68도 10분 지역까지 해빙을 따라 항해하던 도중 발견했다. 자세히 봤을 때 라르센 빙붕은 남극 반도...
    도서 위키백과
  • 혹부리고래 블랑빌부리고래, Blainville’s beaked whale
    있는 것이 특징이다. 수컷은 편평한 송곳니가 밖에서 관찰될 정도로 길게 자라나 있다. 생태 깊은 바다에 산다. 3~7마리가 무리 지어 이동하고, 1~2마리가 관찰되기도 한다. 45분 이상 잠수한다. 북태평양의 타이완에서 포경선이 소량 포획하고 있으며, 일본의 참치 어선이 인도양에서 다른 어종과 함께 잡은 적이 있다.
    분류 :
    포유류 > 고래목 > 부리고래과
    먹이 :
    오징어, 물고기
    크기 :
    전체 길이 암수 모두 최대 약 4.7m. 몸무게 최대 1033kg. 태어날 때의 전체 길이 2~2.5m
    학명 :
    Mesoplodon densirostris
    분포지역 :
    전 세계 온대 ・ 열대 해역
  • 모카 딕 Mocha Dick, モカ・ディック
    고래가 아니었음은 자명하다. 1859년 스웨덴인 고래잡이가 브라질 해안에서 매우 늙은 흰색 고래를 보았다고 주장했다.에는 토머스 맥켄지 선장의 바크급 포경선 플라티나 호가 대서양의 아조레스 근교에서 폭발형 작살을 이용해 알비노 향유고래를 한 마리 잡았다. 당시 작살을 잡았던 아모스 스몰리(Amos Smalley)라는...
    도서 위키백과
  • 플로레아나섬 Floreana Island, 弗洛雷安納島
    민물과 동식물이 공급되었기 때문에 갈라파고스를 방문하는 포경선원이나 다른 방문자들에게 있기 있는 장소였다. 1819년까지 〈찰스 섬〉으로 알려졌고, 포경선 에섹스 호의 선원들이 하선을 했다. 1년 후 똑 같은 항해에서 이 배는 거대한 향유고래에 의해 침몰했다. 1835년 비글호의 두 번째 항해에서 찰스 다윈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포경선 진양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