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상경 자장(子章), 趙尙絅
    유배되었다가 아산에 이배되었다. 1725년(영조 1) 풀려나서 다음해 함경도관찰사로 부임하고, 북관군병(北關軍兵)에 조총을 복습하게 하였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노론인 정호(鄭湖)·민진원(閔鎭遠) 등이 탄핵당하자 이를 변호하다 파직되었다. 1729년 다시 기용되어 한성부좌윤·대사헌·경기관찰사·이조참판을 역임...
    시대 :
    조선
    출생 :
    1681년(숙종 7)
    사망 :
    1746년(영조 22)
    경력 :
    판서, 한성부판윤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임사화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양(豊壤)
  • 조진희 천우(天佑), 趙鎭禧
    배척하는 데 가담하였다. 1724년 교리·부수찬·정언·부교리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 영조의 등극으로 노론이 집권하자 삭직당하였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부수찬에 복직되어 검토관을 겸하였고, 사은진주사(謝恩陳奏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발탁되어 청나라에 가서 이듬해 돌아왔다. 이 후 수찬·부수찬·집...
    시대 :
    조선
    출생 :
    1678년(숙종 4)
    사망 :
    1747년(영조 23)
    경력 :
    승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한양(漢陽)
  • 신만 여성(汝成), 성백(成伯), 申晩
    李揆一)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26년 (영조 2) 알성 문과에 별과로 급제하여 정자가 되고 이듬해 실록청도청낭청(實錄廳都廳郎廳)이 되었으나 이해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득세할 때 파직당하였다. 1729년 검열로 다시 등용되어 헌납·지평·정언·이조참의·대사성·부제학·도승지·이조참판 등을 거쳐 1741...
    시대 :
    조선
    출생 :
    1703년(숙종 29)
    사망 :
    1765년(영조 41)
    경력 :
    영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천의소감(闡義昭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산(平山)
  • 정석오 유호(攸好), 鄭錫五
    더불어 소론계열로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을 탄핵, 신임사화를 주도하였으나 1725년 영조 즉위로 노론이 득세하자 관직에서 삭출당하였다. 2년 후 정미환국으로 세자시강원사서로 다시 기용된 뒤, 응교·승지·동지의금부사·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1736년(영조 12) 등극진하사(登極進賀使)의 부사로서 정사 함평...
    시대 :
    조선
    출생 :
    1691년(숙종 17)
    사망 :
    1748년(영조 24)
    경력 :
    좌의정, 영돈녕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동래(東萊)
  • 신사철 명서(明敍), 申思喆
    대사성·대사헌을 역임한 뒤 신임옥사로 노론이 숙청될 때 파직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노론이 집권하자 대사헌과 호조판서가 되었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다시 노론이 추방되자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등용되어 강화유수·예조판서·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745년 판중추부사로 기로소에 들어갔다. 두 아들이...
    시대 :
    조선
    출생 :
    1671년(현종 12)
    사망 :
    1759년(영조 35)
    경력 :
    호조판서, 판중추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정미환국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산(平山: 지금의 황해도)
  • 홍상용 대유(大有), 洪尙容
    상순(上旬)의 윤차과제(輪次課製)가 설행(設行)되자 수석하여 직부회시(直赴會試)하는 행운을 얻어 그 해 정시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소론이 집권하게 되자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으로 제수되어 이미 처형된 목호룡(睦虎龍) 이하의 잔존 세력들을 국안(鞫案)으로 처리...
    시대 :
    조선
    출생 :
    1667년(현종 8)
    사망 :
    1730년(영조 6)
    경력 :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헌납(獻納), 장령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강박 자순(子淳), 姜樸
    수찬이 되었으며, 이듬해 부수찬이 되었다. 1727년 부교리를 거쳐 다시 수찬이 되어 경연(經筵)에서 윤지술(尹志述)을 탄핵하다가 파직당하였다. 그해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집권하자 기용되어 수찬·부교리·교리·필선·함종부사(咸從府使)·장례원판결사 등을 역임하였다. 당대의 이름난 문장가로서, 특히 오상렴(吳尙...
    시대 :
    조선
    출생 :
    1690년(숙종 16)
    사망 :
    1742년(영조 18)
    경력 :
    부교리, 교리, 필선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국포집, 국포쇄록(菊圃瑣錄)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진주(晉州)
  • 조문명 숙장(叔章), 趙文命
    해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동부승지에 승진되어 파붕당(破朋黨)의 설을 제창하다가 민진원(閔鎭遠)의 배척을 받았다. 이어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재진출하면서 이조참의에 특별히 임명되었다. 그 해 딸이 왕세자(영조의 제1자, 사후에 孝章世子라 불림)의 빈(嬪)이 되자 호조참판과...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정택하 자중(子中), 鄭宅河
    鏡) 일파를 소론(疏論)하다가 도리어 노론 4대신과 함께 신임사화 때 파직되었다. 영조가 즉위하면서 다시 기용되어 헌납·사간이 되었다가,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다시 등장하자 성주 임지에서 삭직되어 구금되었고, 1729년 광주(光州)로 찬배(竄配)되었다가 2년 뒤 풀려나 향리인 평창으로 돌아갔다. 그...
    시대 :
    조선
    출생 :
    1693년(숙종 19)
    사망 :
    1741년(영조 17)
    경력 :
    승지, 돈녕부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연일(延日)
  • 박태항 사심(士心), 朴泰恒
    입장에서 세제(世弟: 뒤의 영조)책봉을 주장하는 노론을 적극 탄핵하였고, 이듬해 경기도관찰사·형조판서·우참찬·공조판서·대사헌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영조가 즉위하자 삭탈관직되었다가 1727년 정미환국으로 다시 기용되어 형조판서·좌참찬·좌찬성·예조판서·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47년(인조 25)
    사망 :
    1737년(영조 13)
    경력 :
    경기도관찰사, 형조판서, 우참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 이집
    탄핵을 받아 사퇴했다. 1711년 승지가 된 후 황해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경상도관찰사·대사성·도승지·경기감사·상주목사 등을 역임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대거 등용되었을 때 예조판서로 발탁되었고, 이후 이조판서를 거쳐 1729년 우의정으로 같은 소론인 이태좌(李台佐)와 노론인 홍치중과 함께 3정승...
    출생 :
    1664(현종 5)
    사망 :
    1733(영조 9)
    국적 :
    조선, 한국
  • 목천임 대숙(大叔), 睦天任
    1725년(영조 1) 김일경(金一鏡)·목호룡의 옥사에 연루되어 평안도 벽동군으로 유배당하였으며, 다음 해 친상을 당하여 잠시 귀향이 허락되었고, 이듬해 정미환국으로 석방되었다. 그러나 곧이어 무신난(戊申亂)이 일어나자 모의가담자로 연루되어 1730년에 붙잡혔고, 국옥에서 가노(家奴)들의 불리한 진술로 매를 맞아...
    시대 :
    조선
    출생 :
    1673년(현종 14)
    사망 :
    1730년(영조 6)
    경력 :
    직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무신의 난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사천(泗川)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영조(英祖)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