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화림 李華林
    미국인 선교사가 운영하는 평양의 유치원 교원학교에서 수학하였다. 평양의 학생들로 조직된 역사문학연구회에서 활동하였으며, 1927년에는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성진·안주 등지에서 학생운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 상해로 망명하여 김구(金九)가 이끄는 애국단(愛國團)에 가담하여 활동하였으며, 1932년에는 중국...
    시대 :
    근대
    출생 :
    1906년
    사망 :
    미상
    경력 :
    조선의용대 여자복무단 부대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노동당 조선로동당, 朝鮮勞動黨
    확장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당원 수의 대폭적인 증가는 김정일의 권력기반을 공고화하기 위한 ‘3대혁명 소조원’ 등 전후 세대의 대거 입당과 산업구조 및 업무의 다양화로 각급 기관과 공장 · 기업소에 대한 당의 지도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당원 증가의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박형병 朴衡秉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집행위원이 되었다. 1925년 4월 조선사회운동자동맹 발기위원으로 참여하고 연구부 상무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27년 7월 조선공산당에 입당했다. 12월 조공 제3차 대회(춘경원당)에 참석하여 선전부 담당 중앙집행위원, 고려공산청년회 재조직 책임자로 선임되었다. 1928년 4월 신의주경찰서에...
    시대 :
    근대
    출생 :
    1897년(고종 34)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유청 은석, 柳靑
    鄭一亨), 윤제술(尹濟述), 김대중(金大中) 등 민주당 신파들과도 교류를 쌓아 나갔다. 1971년 신민당 전당대회 의장을 지내고 1972년에는 양일동(梁一東)의 통일당에 입당하였으며, 1997년에는 김대중의 국민신당에 입당하였다. 만년에 전주고등학교 총동창회장으로서 모교 기숙사를 짓고 장학재단을 조성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정헌주 鄭憲株
    경남 사천에서 제2대 민의원에 당선되고, 이듬해부터 남양학원(남양중)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52년 국회에서 헌법기초위원에 선임되었으며, 민주당에 입당해 경남도당 부위원장 겸 사천군당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58년부터 1960년까지 민주당 소속으로 제4대 민의원이 되고, 1960년 내각책임제개헌안 기초위원장을...
    시대 :
    현대
    출생 :
    1915년
    사망 :
    1999년
    경력 :
    국회의원, 국제의원연맹 한국대표, 교통부장관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마준 마준(馬俊), 마문현(馬文賢), 마철(馬哲), 馬駿
    학교(明東學校)를 졸업하였다. 1923년 블라디보스토크에 체류하면서 사회주의사상을 받아들였다. 1927년 3월 연길현(延吉縣) 봉림동에서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에 입당하였다. 10월 연길현 옹성랍자(甕聲磖子)에서 동만구역국 제13야체이까 소속원으로 활동하였다. 1927년 10월 ‘제1차 간도공산당 검거사건’을 피한 마준...
    시대 :
    근대
    출생 :
    1904년(고종 41)
    사망 :
    1945년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린뱌오 임표, 林彪
    어린 시절 소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중학교에 진학하여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처음 접했다. 그가 사회주의청년단, 곧 공산당에 입당한 것은 중학교를 졸업한 1925년으로, 그는 입당과 동시에 광둥에 있는 황푸군관학교에 진학했다. 장제스가 교장으로 있던 황푸군관학교는 쑨원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현대식 군사...
    출생 :
    1907년
    사망 :
    1971년
  • 홍남표 洪南杓
    기자로 재직중 김재봉(金在鳳) 등의 코르뷰로[高麗局] 국내부 조직과 연결되어 〈시대일보〉 야체이카 책임자로 활동했다. 1925년 결성된 제1차 조선공산당에 입당했고, 그해 12월 당 간부들이 검거되자 강달영(姜達永)을 책임비서로 하는 2차 당을 결성, 5인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1926년 6·10만세 시위...
    출생 :
    1888(고종 25)
    사망 :
    1960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치정 김치정(金致程), 김철(金鐵), 김철수(金鐵秀), 한명수(韓明洙), 이명수(李明洙..
    1월 이후 국민정부 직할 상해비행공장에서 육군 중위로 근무하였다. 이 무렵 재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 중국공산당 상해시위원회에 가입했고,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상해 야체이카에 배속되었다. 그후 조선공산당재건운동을 위해 동경으로 건너갔다. 1930년 3월 무산자사(無産者社)에 가입, 『무산자』 발행에 관여...
    시대 :
    근대
    출생 :
    1906년(고종 43)
    사망 :
    1936년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공산당만주총국 朝鮮共産黨滿洲總局
    총국을 결성하고 경쟁하였다. 1929년부터 1국1당원칙(一國一黨原則)에 따라 중국과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 사회주의자는 각각 중국공산당과 일본공산당에 입당해야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1930년대 들어 중국공산당에 개별적으로 입당해야 한다는 지침이 확고하게 정착하면서 ML파는 3월에, 화요파는 6월에 만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26년 5월
    성격 :
    사회주의 운동 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30년
    설립자 :
    조봉암(曺奉岩), 최원택(崔元澤), 김동명(金東明), 김철훈(金哲勳), 윤자영(尹滋瑛), 김하구(金河球)
    분야 :
    역사/근대사
  • 김만흥 김동만, 박봉남(朴鳳男), 강철산(姜鐵山), 오만복, 金萬興
    1923년용정(龍井)의 동흥(東興)중학에 입학하였다. 동흥중학에 재학 중 평강 일대에서 청년회를 조직하는 활동을 전개했으며, 1927년 4월 무렵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27년 10월 제1차 간도공산당검거사건 당시 소련으로 피신하였다. 1928년 북간도에 돌아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화요파)을 재건하는 데 참여...
    시대 :
    근대
    출생 :
    1907년
    사망 :
    1936년
    경력 :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집행위원,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 남만도위원회 책임비서, 중국공산당 밀산현위 서기
    유형 :
    인물
    직업 :
    지도자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박병배 朴炳培
    1968년에는 신민당 충남도당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71년 8대 총선에서도 재선되었다. 1973년 1월 30일 유진산에 반대하여 신민당을 탈당하고 통일당에 입당했다. 같은해 9대 총선에서 통일당후보로 대전에 출마하여 낙선했으나 선거무효소송을 제기하여 재검표를 실시한 결과 24표차로 당선되었다. 1977년부터 통일당...
    시대 :
    현대
    출생 :
    1917년
    사망 :
    2001년
    경력 :
    서울시 경찰국장, 국회의원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경찰, 정치인
    성별 :
    분야 :
    역사/현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포레의 〈레퀴엠〉 중 ‘입당송과 키리에’ 자필악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