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새가 울지 않으면 울 때까지 기다린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동조대권현, 徳川家康
    히데요시의 철저한 감시를 받으면서 간토 지역에서 자신의 세력을 다지는 데 주력했다. 전국을 통일한 히데요시는 유력 다이묘들을 약화시키기 위해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켰다. 이에야스를 비롯해 소 요시토시, 고니시 유키나가 등 모든 가신이 만류했으나 히데요시는 전쟁을 강행했다. 이에야스는 풍토병과 황무지...
    출생 :
    1543년
    사망 :
    1616년
    국적 :
    일본
  •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은 2005년 수안역 건설 현장에서 임진왜란 당시 해자(성벽 방어시설)가 발견되면서 발굴조사를 하여, 임진왜란 당시 희생된 인골, 각종 무기류 등이 발굴되었고, 현장의 역사를 기리기 위하여 수안역 역사 내 박물관을 조성하여 유물을 전시 하였다. 역사관에는 동래부 순절도, 철갑, 투구, 칼...
    위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지하223 (수안동)
  • 정렬사비 旌烈祠碑
    정렬사비(旌烈祠碑)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김천일(金千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626년(인조 4) 나주지역 유림에서 김천일의 사우 정렬사에 세운 비석이다. ‘창의사 김공 정렬사비(倡義使金公旌烈祠碑)’라고 새겨져 있다. 김천일의 의병활동을 기록한 비문은 1626년 나주목사를 지낸 당대의 석학 신풍군...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정렬사길 57 (대호동 646-1)
    지역 :
    나주
  • 판목? 철갑? 거북선의 정체는?!
    대전과 함께 유럽인들의 가슴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 뼈아픈 사건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역사적인 전쟁 두 가지를 묻는다면 6.25 한국전쟁 그리고 임진왜란을 꼽을 것이다. 올해로 발발 420주년을 맞은 임진왜란은 아주 오래 전의 일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나 일상에서 여전히 반복적으로 이야기되는 비극적...
  • 곽재우 홍의장군, 의병을 일으키다
    임진왜란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곽재우 곽재우(郭再祐)는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한가로이 시를 읊고 술과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시골 선비였다. 학문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공부했고, 그 인연으로 조식의 외손녀와 혼인했다. 1585년(선조 18)에는 34세의 나이로 정시문과에 응시해 뽑히기도...
    시대 :
    조선
    출생 :
    1552년(명종 7)
    사망 :
    1617년(광해 9)
    본관 :
    현풍(玄風)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암자 옥천사를 분리하여 이전하고 담장을 둘러 오늘의 경관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곳은 정유재란 이후 이충무공의 최대의 삼도 수군통제영이며 노량해전 전승 및 임진왜란 종전 제공지이다(이하 생략). 출처: 고금도 충무사 안내 자료. 고금도 전적 고금도는 왜란 당시에는 강진에 속해 있었으나 현재의 행정구역은 완도...
    소재지 :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세동84번길 86-31 (덕동리)
    지역 :
    완도
  • 임란 북천 전적지
    이르렀다. 1587년 명나라에 서장관으로 가서 조선왕 가계의 잘못된 기록을 바로 잡은 대명회전(大明會典)을 입수한 공으로 광국공신에 훈록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일이 순변사가 되고 공의 친구가 종사관으로 나가게 되었으나 그에게는 노모가 있고 형제가 없어 공이 대신 가겠다고 자원했는데 마침 공의...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3123
    지역 :
    상주
  • 조선사절단의 상반된 보고와 임진왜란의 발발
    조선 조정이 당쟁을 벌이는 동안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국시대를 종식시키고 일본 통일을 목전에 두고 있었다. 선조 임금은 1590년 황윤길을 정사, 김성일을 부사로 하는 사절단을 일본에 보내 조선에 대해 위압적인 태도를 보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일본 내 상황을 살피도록 했다. 1591년 3월 귀국한...
  • 훈련도감 삼수군, 訓鍊都監
    임진왜란중인 1593년(선조 26) 임시군영으로 설치되었다가,뒤에 상설기구가 되었다. 임진왜란 초기 조선이 내륙전투에서 패배한 원인은 일본군의 조총(鳥銃)에 대응하지 못한 점과 전술상의 문제점에서도 기인했지만, 무엇보다도 대립·방군수포 등과 같은 피역(避役) 현상으로 말미암은 군역제의 동요로 군사력이 크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칠천량해전 漆川梁海戰
    일본은 명나라와의 화의가 결렬되자 1597년 1월에 조선을 재침입했다. 이때 조선에서는 이순신(李舜臣)이 무고로 하옥되고, 대신 원균이 전라좌수사 겸 통제사로 임명되었다. 그해 7월 8일 일본 전선 600여 척이 부산앞바다에 정박했으며, 일본수장인 도도[藤堂高虎]·가토[加藤嘉明]·와키자키[協坂安治] 등이 가덕도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명량대첩기념공원
    右水營)으로 편제했다. 전라도 서남해안이 광범위한 탓에 효율적인 왜구 방비를 위해 여수에 좌수영, 이곳 해남에는 우수영을 설치한 것이다. 우수영은 임진왜란 때 전라우도 연해지역 14관을 관할했을 만큼 군사적인 기능과 역할이 중요시되던 곳이다. 우수영의 군비로는 내아 제승당 등 20여 개의 각종 시설과 누정이...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산 36
    지역 :
    해남
  •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제승당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에 소재하는 제승당(制勝堂) 일원의 넓은 부지에 조성된 지상 건물, 각종 비석, 문화재 광장, 조경물을 통칭한다. 제승당 제승당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삼도 수군을 지휘하던 곳으로 지금의 해군작전사령부와 같은 기능을 하던 곳이다. 제승당은 1592년 이순신이 창건하고 전라좌수영을 설치...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한산일주로 70
    지역 :
    통영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37건

임진왜란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이순신 난중일기
고양 행주대첩비 중 재건비와 구비각 전경
임진왜란 해전 경로
평양성 탈환도
남원 만인의총 전경
금산 칠백의총 전경
부산진 순절도
임란일기 / 이언춘
동래부순절도
곽재우 기록화
비격진천뢰
충주 탄금대
승자총통
징비록
대완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