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트루부리고래 True's beaked whale, アカボウモドキ
    생물 분류 트루부리고래(Mesoplodon mirus)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보통 크기의 고래이다. 이 고래의 이름은 미국국립박물관(현재의 스미스소미언박물관) 관장이었던 트루(Frederick W. True)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열대 지방을 제외한 대서양과 인도양에 서식하는 2개의 개체군이 존재하며, 이들을...
    도서 위키백과
  • 꼬마부리고래 Pygmy beaked whale, ピグミーオウギハクジラ
    생물 분류 꼬마부리고래 또는 피그미부리고래(Mesoplodon peruvianus)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가장 작은 고래이자 가장 최근에 발견된 고래의 일종이다. 반돌레로부리고래, 페루부리고래, 작은부리고래 등으로도 불린다. 초기 분류 전에 Mesoplodon sp. A로 명명된 미확인 부리고래가 최소 20여 마리가...
    도서 위키백과
  • 허브부리고래 Hubbs' beaked whale, ハッブスオウギハクジラ
    생물 분류 허브부리고래(Mesoplodon carlhubbsi)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고래의 일종이다.MSW3 Cetacea 어류학자 허브(Carl Hubbs)가 처음 발견했을 당시에는 앤드류부리고래의 일종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신종으로 등록되면서 허브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고래류의 종 목록 참고 자료 시작...
    도서 위키백과
  • 그레이부리고래 Gray's beaked whale, ミナミオウギハクジラ
    생물 분류 그레이부리고래(Mesoplodon grayi)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고래의 일종이다. 남방부리고래(southern beaked whale) 등으로도 불린다. 학명은 대영 박물관의 동물학자 존 에드워드 그레이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고래류의 종 목록 참고 자료 시작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Edited by...
    도서 위키백과
  • 페린부리고래 Perrin's beaked whale, ペリンオウギハクジラ
    생물 분류 페린부리고래(Perrin's beaked whale, Mesoplodon perrini)는 가장 최근에 기술된 이빨부리고래이다. 1975년 캘리포니아주 해안에 좌초한 고래로부터 2개의 표본을 처음 발견했으며, 1978년과 1979년에 2점 그리고 1997년 9월에 마지막으로 수집했다. 가장 마지막에 수집한 표본은 퀴비에부리고래의 새끼로...
    도서 위키백과
  • 헥터부리고래 Hector's beaked whale, ニュージーランドオウギハ..
    생물 분류 헥터부리고래(Mesoplodon hectori)는 남반구에 서식하는 작은 이빨부리고래이다.MSW3 Cetacea 학명은 뉴질랜드 웰링턴에 있는 콜로니얼 박물관을 만든 제임스 헥터 경(Sir James Hector)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고래류의 종 목록 참고 자료 시작 dolphins and porpoises. HarperCollins, London. London...
    도서 위키백과
  • 고대고래아목 Archaeoceti, 古鯨類
    속 (Saghacetus) 지고르히자속 (Zygorhiza) 케케노돈아과 (Kekenodontinae) 케케노돈속 (Kekenodon) 포코케투스속 (Phococetus) 스트로메리우스아과 (Stromeriinae) 스트로메리우스속 (Stromerius)저널 인용 수염고래소목 (Mysticeti) 이빨고래소목 (Odontoceti) 고래목의 진화 고래하목 메소닉스아목 경우제목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라마리부리고래 Ramari's beaked whale
    생물 분류 라마리부리고래(Mesoplodon eueu)는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중간 크기의 고래이다. 남반구의 차가운 바다에서 발견된다. 이 고래의 종 이름인 eueu는 "큰 물고기"를 뜻하는 퀘이어에서 유래했는데, 이 고래의 좌초가 대부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코이산 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름은 마오리족의...
    도서 위키백과
  • 메갈로돈 Megalodon
    다양한 개체를 사냥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주로 사냥하는 먹이는 중소형 고래류와 바다소, 바다거북 등 해양 포유류다.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고래 화석에서는 메갈로돈 이빨에 물린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종종 발견된다. 새끼를 기를 때는 위협이 적고 식량이 풍부한 해양 연안 지역을 선호했다. 중부 아메리카의...
    분류 :
    동물계 > 척삭동물문 > 연골어강 > 악상어목 > 악상어과 > 카르카로클레스속
    연대 :
    신생대 제3기(2,300만 년 전~260만 년 전)
    크기 :
    12m~20m
    학명 :
    카르카로클레스 메갈로돈( Carcharocles megalodon)
  • 상어 이빨 Shark tooth
    이러한 이빨을 가진 상어 가운데 유명한 것이 백상아리로 바다사자, 돌고래, 다른 상어, 심지어 작은 고래도 잡아 먹는다. 돌묵상어나 고래상어 같이 플랑크톤을 먹는 상어들은 이빨을 쓸 이유가 없다. 그 결과 이빨이 점점 작아지는 쪽으로 진화하였다. 이 상어들은 입을 벌려 물과 먹이를 함께 빨아들인 다음 아가미로...
    도서 위키백과
  • 고양이고래 Melon-headed whale
    형태 '들고양이고래'에 비해 가슴지느러미의 끝이 뾰족하고, 작은 이빨이 많다. 머리는 삼각형에 가깝다. 암컷과 새끼는 길이가 짧거나 거의 눈에 띄지 않을 정도의 주둥이가 있다. 몸 색깔은 보통 짙은 회색 또는 검은색이고, 입술은 희다. 생식 홈 주위로 흰 반점 무늬가 있다. 검은색 가면을 쓴 듯한 얼굴 모양이...
    분류 :
    포유류 > 고래목 > 돌고래과
    먹이 :
    오징어, 작은 물고기
    크기 :
    전체 길이 최대 2.75m. 몸무게 최대 275kg. 태어날 때의 전체 길이 약 1m 또는 그 이하
    무게 :
    150∼170㎏
    학명 :
    Peponocephala electra
    분포지역 :
    열대와 아열대의 대양 해역. 우리나라에서는 남해, 동해 남부 해역
  • 고래 낙하 Whale fall, 鯨骨生物群集
    발견되었다. 유기 조직이 완전히 사라진 사체의 골격은 온전한 상태로 해저면에 평평하게 쓰러져 있었다. 잠수정은 턱뼈와 지골을 수거했다. 이 고래는 뼈와 골격의 크기, 이빨이 없다는 점, 산타카탈리나 서쪽이라는 위치를 고려할 때 귀신고래로 추정되었다. 고래 뼈 속 유기물의 혐기성 분해 과정에서 살아가는 화학...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