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퍼스널 브로드밴드 personal broadband
    빠르게 이동하면서도 현재의 유선 초고속인터넷 수준 이상의 초고속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 통신의 중심이 개인 환경화 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말.와이브로의 등장으로 현실화 된 모바일 브로드밴드가 서비스를 공급하는 네트워크 중심의 개념이라고 한다면 퍼스널 브로드밴드는 네트워크가 유비쿼터스 환경의...
  • 통방융합 환경
    지상파, 케이블, 위성, DMB 등 방송망과 인터넷, 무선랜, 와이브로, CDMA/HSDPA 등 통신망이 연동 가능한 서비스 환경. 즉, 사용자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망에 상관없이 방송망 및 통신망에서 가능한 서비스 또는 방송-통신망 연동을 통한 통방융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통신단말에서...
  • 휴대용 와이맥스-와이파이 라우터 携帶用-, portable WiMAX Wi-Fi router
    모바일 와이맥스(WiMAX, 와이브로) 신호를 와이파이(Wi-Fi)로 변환해 단말로 보내주는 라우터. 노트북, 아이팟터치, 닌텐도, PSP, 스마트폰, VoIP 폰 같은 와이파이(Wi-Fi) 기능이 있는 기기들은 와이브로망에서 휴대 라우터를 사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대표적인 휴대 라우터로 한국통신...
  • 연료전지
    수소, 메탄올 등이 산화하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2차전지처럼 별도의 전원 충전은 필요없이 연료 카트리지만 새로 바꾸면 사용가능하다. 연료전지는 저공해·고효율의 에너지원으로 2008~2010년 본격 상용화되었고, 와이브로와 DMB 등 모바일 서비스에도 사용될 수 있다.
  • 디지털 융합 -融合, Digital Convergence
    디지털화되고 통신이 고속, 대용량화되면서 그 동안 개별적으로 서비스되어 오던 전화, 인터넷, 방송이 하나로 융합되고 나아가 무선과 통합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과 유선의 광대역성과 무선의 이동성이 융합한 와이브로, 방송과 통신 인터넷이 융합된 IPTV 등이 있다.
  • 버티컬 핸드오버 Vertical Handover/Handoff
    지역으로 이동해도 통화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으로, 주로 동일한 망 내에서 적용되는 방식이나 버티컬 핸드오버는 이기종 망 간에도 통화 기능이 유지되게 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2세대 이동 통신(2G) 망과 3세대 이동 통신(3G) 망 간 핸드오버나 와이브로 망과 공중 무선 랜(WLAN) 서비스 망 간 핸드오버 등이 있다.
  • Yard Area Network YAN
    건조 현장인 야드에 구축한 네트워크. 조선소 안에 야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블록 구조물의 운반, 공정 관리를 실시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조선소 블록 구조물의 추적이나 통합 관리를 통해 생산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야드에 설치한 네트워크이다. YAN은 기반 기술로 와이브로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 GaN 트랜지스터 Gallium Nitride Transistor
    질화 갈륨 트랜지스터. 기존의 실리콘 계열의 트랜지스터보다 효율이 높고 전력 소모가 적은 차세대 트랜지스터로 이동 통신이나 와이브로 같은 모바일 기지국 증폭기용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가격이 높은 것이 단점이다.
  •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다양한 보안 플랫폼을 통해 보안성도 높아져, 최근 대기업, 유통기업, IT기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VoIT를 전면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향후 와이브로 또는 LTE 등 IP를 기반으로 하는 제4세대 이동통신에서는 VoIP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 컴퓨터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 사업은...
  • 사물 간 이동통신 서비스 M2M
    사물 간 이동통신(M2M) 서비스는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의 지능형통신서비스를 말한다. 휴대폰으로 버스요금을 결제하는 등 기기 간 데이터 송 ・ 수신이 가능하며, 이동통신망과 와이브로 등 통신기술을 활용해 원거리에서 사물을 조작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4세대 이동 통신 4G, 第4世代移動通信システム
    4G LTE라고 흔히 광고하는 기술은 약 3.9G이다. 그러나 4G를 정의한 ITU에서는 발표 초기 4G 선정 후보로 LTE를 개선한 LTE-Advanced와 와이브로를 개선한 와이브로-에볼루션(Wibro-Evolution, 와이맥스2)을 지칭하였지만, 2010년 12월 ITU에서 LTE, 나 HSPA+ 등도 4G라고 부를 수 있다는 보도자료를 내게되었다. 이에...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인터넷 Internet in South Korea, 韓国のインターネット
    2012년 9월, 모바일을 통한 인터넷 사용이 PC를 통한 인터넷 사용의 30%에 근접했다. 고속 무선 규격 와이맥스에 포함된 대한민국 중심으로 한 확장 규격인 와이브로의 개발과 국토의 좁음으로 인해 투자비용이 필요없는 TV의 지상파 디지털화 등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와이브로 도입으로부터 1년 반 경과한 2009...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와이브로? 시나브로? 그게 뭐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