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나 라(羅), 羅것으로 알려진 마름무늬[耳杯紋]의 4경교 나이다. 그 외 4~6세기의 가야 고분과 무령왕릉, 부여 왕릉원(6~7세기경), 경주 불국사 석가탑(8~10세기경),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아미타불복장(1302), 장곡사 약사여래불복장(1346) 등 나 유물은 주로 삼국시대의 고분과 고려시대의 불복장물 등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4경교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
보현사 목조여래좌상 普賢寺 木造如來坐像자형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18세기 중·후반경에 조성된 불상에서 확인된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1755년에 조성된 양주 회암사 목조여래좌상, 1779년의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790년의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의 목조석가여래좌상 등을 들 수 있다. 불상의 손 부분은 별도로 조성하여 팔목에 끼워...
- 문화재 지정 :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3호
- 성격 :
- 불상
- 유형 :
- 유물
- 제작시기 :
- 조선시대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소장/전승 :
-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산17, 대전광역시 동구 신상로 77-55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교하동 고인돌 산림욕장제대로 남아 있지 않지만, 탁자식으로 추정된다. 고인돌 주변에서 나온 유물로는 작은 토기 조각 등이 있다. 일부의 고인돌은 현재 경기도청, 통일로, 온양민속박물관 등에 이전 복원되었다. 발굴된 당하동 고인돌의 대부분도 제자리를 벗어난 것들이다. 고인돌 가운데는 하부구조가 타원형의 적석으로 이루어진 것도...
- 위치 :
- 경기도 파주시 교하로1290번길 91 (당하동)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