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카스기 신사쿠 Takasugi Shinsaku, 高杉晋作
    낼 수가 없었다. 조슈 번은 막부와 타협하기 위해 다카스기를 번에서 내보냈다. 다카스기는 추종자 10여명을 데리고 (이들 중 훗날 일본의 지도자가 되는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토 히로부미, 이노우에 가오루 등도 끼어있었다) 규슈로 갔다. 여기에서 다카스기는 조슈에 주둔한 막부군을 타도하기 위한 준비를 하였다...
    도서 위키백과
  • 헌정당 Kenseitō, 憲政党
    된 호시는 야마가타와 유착했다. 이를 통해 지조증징을 이루어냈는데 이후 호시가 헌정당원들을 각 성청 차관과 국장에 임명할 것을 요구해오자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문관임용령을 개정하여 고시에 합격한 경우에 한해서만 차관과 국장에 임용될 수 있다고 규정해버렸다. 이에 화가 난 호시는 야당의 입장으로 돌아서...
    도서 위키백과
  • 게이엔 시대 桂園時代
    松方正義)나 야마모토 곤노효에(山本権兵衛), 히라타 도스케(平田東助) 등을 총리대신으로 만들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무위에 그쳤다. 가쓰라는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県有朋)의 파벌에 속하면서 군부를 대표하는 인물이었고 그가 조직한 내각도 야마가타 파벌에 속하는 인물에 대다수였기에 '야마가타 2세'라는 비판에...
    도서 위키백과
  • 원수 (일본) Gensui (Imperial Japanese Army), 元帥 (日本)
    탁월한 공을 세운 자를 군무 고문으로서 원수 칭호를 부여하기로 했다.Efn 조례 제정 직후 원수 칭호를 부여받은 자는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야마가타 아리토모·오야마 이와오 육군 대장과 사이고 주도 해군 대장 등 총 4명이었다. 같은 해에 칙령 제96호 「원수 휘장의 제식 및 장착에 관한 건」을 통해 원수...
    도서 위키백과
  • 사이온지 긴모치 Saionji Kinmochi, 西園寺公望
    탓인지 친유럽적인 면을 보여 군부등에서 국가주의에 반하는 사람으로 세계주의자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에게 정치력이 없다는 견해도 있지만 야마가타 아리토모 사후의 일본에서 사이온지만큼의 정치력을 가진 자는 존재하지 않았다. 궁중 재계와의 인척관계를 배경으로, 그는 원로로서 궁중과 국무, 군부의 조정...
    도서 위키백과
  • 메이지 14년 정변 明治十四年の政変
    헌법을 제정하고 국회를 개설하는 문제를 의논하기 시작했다. 원로원은 이미 1876년부터 헌법 초안 작성 문제를 논의하고 있었다. 1879년 12월 참의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입헌 정체에 관한 의견서를 제출하자 태정대신 산조 사네토미와 이와쿠라는 다른 참의에게도 입헌 정체에 관한 참의의 의견을 메이지 천황에게 전달...
    도서 위키백과
  • 성 (씨성제) Kabane, カバネ
    大村益次郎), 후지와라 아손 도시미치(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利通), 스가하라 아손 시게노부(오쿠마 시게노부-大隈重信), 미나모토 아손 아리토모(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등의 '아손', 엣지 스쿠네 히로부미(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등의 스쿠네(宿禰) 등이 있다. 근현대 일본인들의 성 호칭에는 사실 여부가...
    도서 위키백과
  • 오무라 마스지로 Ōmura Masujirō, 大村益次郎
    사망한 직후, 야스쿠니 신사 입구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이는 일본에서 첫 번째로 만들어진 서양식 동상이었다. 오무라의 일본 군제 근대화 구상은 야마가타 아리토모, 기도 다카요시, 사이고 주도, 야마다 아키요시와 같은 그의 동지들에 의해서 이후에 실행되었다. 야마다는 오무라의 구상에 따라 사관학교를 설치...
    도서 위키백과
  • 미우라 고로 Miura Gorō, 三浦梧楼
    시로산 전투). 메이지 11년(1878년) 중장이 되어 서부감군부장을 맡았다. 조슈 출신이었지만 번벌정치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고, 특히 군부의 수장인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기병대 시절부터 사이가 좋지 않았다. 하여 다니 다테키・토리오 코야타・소가 스케노리 등과 함께 반주류파를 형성하고 야마가타・오오야마...
    도서 위키백과
  • 번사 藩士, 藩士
    이와오 사이고 주도 즈쇼 히로사토 고마쓰 기요카도 고다이 도모아쓰 이노우에 가오루 다카스기 신사쿠 요시다 쇼인 기도 다카요시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다 아키요시 기지마 마타베 후쿠바라 모토타케 스우 마사노스케 구사카 겐즈이 구니시 지카스케 이타가키 다이스케 고토 쇼지로 모치즈키 가메야타...
    도서 위키백과
  • 압록강 전투 Battle of Jiuliancheng, 鴨緑江作戦
    해전이 벌어져 혼동하기도 하며 줄리엔창 다리(구련성교)에서 전투가 벌어져 줄리엔창 전투 또는 구련성 전투라고 불리기도 한다. 1894년 9월 17일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지휘하는 일본군 1만 명은 황해 해전에서 청군의 북양함대를 격파하고 압록강 유역에 상륙해 남만주로 건너간다. 조선의 국경 지대인 의주의 맞은편...
    도서 위키백과
  • 지정학 Geopolitics, 地政学
    아프리카 - 주로 적도 기니와 모로코내 서사하라 지역 에너지 지정학(geopolitics of energy, energy geopolitics) 구단선 레벤스라움 대동아공영권 야마가타 아리토모 의견서 - 독일 유학후 '주권선'(主權線, line of sovereignty)과 '이익선'(利益線, line of advantage/interest)에 대한 개념 제시 후구계획(복어계획...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아리토모(Yamagata Aritomo)
야마가타 아리토모(Yamagata Aritom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