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어사 御史
    그러나 실제로는 어사라는 용례는 더욱 확대되어 조선 후기에는 초기의 경차관에 해당하는 많은 사신들도 어사로 부르게 되었다. 그 종류로는 순무(巡撫)·안집(安集)·균전·시재(試才)·감진·안핵(按覈)·감시(監市)·독운(督運) 어사 등이 있다. 이외 한정수괄(閑丁搜括)이나 호패(號牌) 점검, 구황과 재상(災傷...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정역별감 程驛別監
    지적하면서 주군을 정상적으로 운영케 하기 위해서는 먼저 역을 구휼하여야 하는데 정역별감은 도당(都堂)이 보낸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업신여겨 역의 안집(安集)이 어려웠음을 지적하고는, 역마다 수령(守令)의 예와 같이 천거하여 5·6품의 역승(驛丞)을 두어 역호와 역마(驛馬)를 충실하게 하여 역제(驛制)를 정비...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관직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우즈베크족의 경제생활
    거느리고 신강과 중아시아 사이에서 물건을 운반하였다. 신강의 카스갈이(喀什噶尔), 엽이강(叶尔羌), 아극소(阿克苏), 이리(伊犁) 등 도시와 중아시아의 안집연(安集延), 호한(浩罕), 카스간(喀什干) 등 도시 및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족(柯尔克孜族) 목축구는 그들의 주요한 상업 시장이었다. 이후 이들은 신강에 점포...
    분류 :
    돌궐어족 민족 > 우즈베크족
  • 순무사 巡撫使짞
    〈고려사〉 백관지에 의하면, 지방에 민란과 같은 변란이 있을 때 왕명을 받고 파견되어 백성을 안집(安集)하는 안무사가 1276년(충렬왕 2)에 순무사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후의 기록에도 안무사라는 임시관직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확실치 않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나주 김효병 가옥 羅州 金孝炳 家屋
    놓았다. 네모기둥을 세운 평5량 구조이며 홑처마를 가진 초와(草瓦) 우진각지붕 건물이다. 남도지방의 살림집들이 대개의 경우는 一자형인데 본 가옥은 일자형 사랑채에 H자형 안집이 앞뒤로 위치하고 있어 일견 개방적인 사랑마당의 공간과 다소 폐쇄성을 보인 안마당 공간이 이루는 조화는 특이한 예라 하겠다. 참고문헌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안주 범씨
    고려 우왕(禑王) 때 문화안집사(文化安集使)를 지낸 범영부(凡永富)이다. 시조는 고려 우왕(禑王) 때 문화안집사(文化安集使)를 지낸 범영부(凡永富)이다. 안집사는 고려 때 함경도 일대의 행정을 관할하며 그 밑의 수령의 치적을 감독하던 벼슬로 안찰사가 겸임한다. 안주(安州)는 평안남도 서북쪽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도서 위키백과
  • 가평 현등사 삼층석탑
    유산포털 - - 현등사삼층석탑 - 가평군 홈페이지 현등사삼층석탑 웹아카이브 - 경기문화재연구원 - 웹아카이브 현등사 삼층석탑 - 경기도메모리 『문화재안내문안집』인천직할시·경기도 편(문화재관리국,1986) 「조선 초기 가평 현등사 삼층석탑에 관한 연구」(이순영,『아시아문화연구』18,경원대아시아문화연구소...
    도서 위키백과
  • 호재 胡才, 胡才
    모두 음력), 장안을 나와 동쪽으로 향하던 헌제 일행은 여러 사건으로 인해 이각, 곽사, 장제의 습격을 받았다. 이를 호위하던 흥의장군(興義將軍) 양봉과 안집장군(安集將軍) 동승은 큰 피해 끝에 간신히 조양간(曹陽澗)에 닿아서는 하동군에 있던 옛 백파적 이락, 한섬, 호재, 그리고 남흉노의 거비(去卑)에게 구원을...
    도서 위키백과
  • 양정 (삼국지) 楊定 (後漢), 楊定 (東漢)
    홍농에 모시자고 제안하였다. 헌제도 거듭 간청하므로 이각이 허락하였다. 7월, 곽사가 거기장군에, 양정이 후장군에, 양봉이 흥의장군(興義將軍)에, 동승이 안집장군(安集將軍)에 임명되어 헌제를 호위하였다. 장제는 표기장군이 되어 먼저 섬현으로 돌아갔다. 8월, 경조윤 신풍현(新豊縣)을 지나는데 곽사가 헌제를...
    도서 위키백과
  • 이락 李楽
    모두 음력), 장안을 나와 동쪽으로 향하던 헌제 일행은 여러 사건으로 인해 이각, 곽사, 장제의 습격을 받았다. 이를 호위하던 흥의장군(興義將軍) 양봉과 안집장군(安集將軍) 동승은 큰 피해 끝에 간신히 조양간(曹陽澗)에 닿아서는 하동군에 있던 옛 백파적 이락, 한섬, 호재, 그리고 남흉노의 거비(去卑)에게 구원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명현화상 중 안집 초상
안집 영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