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역별감 程驛別監지적하면서 주군을 정상적으로 운영케 하기 위해서는 먼저 역을 구휼하여야 하는데 정역별감은 도당(都堂)이 보낸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업신여겨 역의 안집(安集)이 어려웠음을 지적하고는, 역마다 수령(守令)의 예와 같이 천거하여 5·6품의 역승(驛丞)을 두어 역호와 역마(驛馬)를 충실하게 하여 역제(驛制)를 정비...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관직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우즈베크족의 경제생활거느리고 신강과 중아시아 사이에서 물건을 운반하였다. 신강의 카스갈이(喀什噶尔), 엽이강(叶尔羌), 아극소(阿克苏), 이리(伊犁) 등 도시와 중아시아의 안집연(安集延), 호한(浩罕), 카스간(喀什干) 등 도시 및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족(柯尔克孜族) 목축구는 그들의 주요한 상업 시장이었다. 이후 이들은 신강에 점포...
- 분류 :
- 돌궐어족 민족 > 우즈베크족
-
나주 김효병 가옥 羅州 金孝炳 家屋놓았다. 네모기둥을 세운 평5량 구조이며 홑처마를 가진 초와(草瓦) 우진각지붕 건물이다. 남도지방의 살림집들이 대개의 경우는 一자형인데 본 가옥은 일자형 사랑채에 H자형 안집이 앞뒤로 위치하고 있어 일견 개방적인 사랑마당의 공간과 다소 폐쇄성을 보인 안마당 공간이 이루는 조화는 특이한 예라 하겠다. 참고문헌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가평 현등사 삼층석탑유산포털 - - 현등사삼층석탑 - 가평군 홈페이지 현등사삼층석탑 웹아카이브 - 경기문화재연구원 - 웹아카이브 현등사 삼층석탑 - 경기도메모리 『문화재안내문안집』인천직할시·경기도 편(문화재관리국,1986) 「조선 초기 가평 현등사 삼층석탑에 관한 연구」(이순영,『아시아문화연구』18,경원대아시아문화연구소...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