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쌍대문제 雙對問題, dual problem
    선형계획법의 최소(최대) 문제에서 이끌리는 최대 (최소)문제를 주문제의 쌍대문제라 한다. 예를 들면, 주문제가 표준형에서 제약식은 ai1x1 + … +a 목적함수 y=c1x1 + … + cnxn으로 하면, 쌍대 문제는 제약식을 aijwi+ … +amjwm ≦ Cj(j = 1, …, n)로 하는 목적함수 z=b1w1+ …+ … bmwm의 최대회문제가 된다...
  • OR법 operational research, operations research
    OR에 의해 답을 구하는 수속은 ① 문제의 정식화, ② 모형의 작성 및 답의 탐색 ③ 모형과 답을 시험하는 일, ④ 답을 관리해서 실시하는 일로 성립되어 있다. 수학 모형으로서는 배분 모형, 대기 모형, 생산 모형 등이 사용된다. 또 그 수법으로서는 선형 계획법(linear programming), 게임의 이론 등이 대표적인 것...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P대 NP 문제 다항문제 대 비결정 다항문제, P대 NP 문제
    알고리듬으로, 다항시간 내에 추측하고 입증할 수 있다면 NP라고 불린다. 비결정성이라는 의미는 추측하는 데 있어 특정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선형계획법 문제들은 오랫동안 NP 문제라고 생각되어왔다. 1947년 미국의 수학자 조지 댄지그가 발명한 단체법(simplex method)에서 단계의 횟수는 입력의 크기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수학적 최적화 Mathematical optimization, 数理最適化
    0 in A such that f(x0) ≤ f(x) for all x in A ("minimization") or such that f(x0) ≥ f(x) for all x in A ("maximization"). 위와 같은 공식은 선형 계획법 (linear programming)이라 한다. 실생활 및 이론적 문제 모두가 이와 같은 보편적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함수 f의 값이 최소이거나 최대인 값을 찾으면...
    도서 위키백과
  • 시스템 설계(소프트웨어의) system design
    실현하기 위한 상세화 작업. 시스템 분석에서 얻어진 수단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상세화라 한다. 예를 들면 생산 계획의 수단을 선형계획법에 의해서 실현하는 것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 많은 상용 시스템에서 시스템 설계는 입출력 데이터로 어떤 파일이나 데이터 베이스의 기술, 기능단위로서의...
    분야 :
    소프트웨어 기초
  • 배분 설계 배분법, apportion design
    목적함수(일차함수)를 최대의 값으로 구하는 것. [2] 한정된 자원이 각종 용도에 최고 능률로 배분되도록 배치나 생산 계획의 문제 등을 취급하는 선형 계획법 등을 말하며, 배분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배분법이라고도, 한다. [3] 많은 활동 방법에 제한이 있을 때 전체의 유효도가 가장 적합하도록 방법을 각 활동에...
    분야 :
    소프트웨어 설계법, 소프트웨어 기초
  • 어젠더 agenda
    [1] 문제해결의 경로 또는 컴퓨터 라인의 절차를 기술하기 위한 제어문의 집합. 문제의 해를 구하거나 컴퓨터를 작동하기 위한 절차를 구성하는 주요한 조작의 순서이다. [2] 선형계획법에서 문제 행렬을 취급하는데 이용되는 일련의 조작. 1쌍의 절차조작으로 되어 있다.
    분야 :
    인공지능
  • 쌍대 문제 雙對問題, dual problem
    선형 계획법(線形計劃法)의 최소(최대) 문제로부터 유도한 최대(최소) 문제를 주(主)문제에 대하여 이르는 말. 예를 들면, 주문제가 표준형으로 제약식(制約式)은 ai1x1+…+ainxn=bi(i=1, 2, …, m), xj≥0(j=1, 2, …, n), 최소로 해야 할 목적 함수를 y=c1x1+…+cnxn라 하면 쌍대 문제는 제약식을 aijw1...
  • 운용 연구 OR, 運用硏究
    것. 그 목적은 정확한 예측과 결정을 위한 좀 더 논리적인 기반을 가진 경영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운용 연구(OR)에 사용되는 과학 기술은 선형 계획법, 확률 이론, 정보 이론, 게임 이론, 몬테카를로법(Monte carlo method), 대기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원래 ‘operation’이란 작전을 의미하는 단어인데, 제...
  • 쌍대변수 雙帶變數, dual variable
    선형계획법의 상대문제에서 변수를 쌍대 변수라 한다. 주문제의 변수가 비부(非負)에서 모든 제약식이 같은 방향의 부등호를 갖을 때는 쌍대변수도 비부가 되지만 주문제가 표준형으로 주어질 때의 쌍대변수는 비부라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 조지 댄치그 George Dantzig, ジョージ・ダンツィーグ
    조지 버나드 댄치그는 미국의 수학자로, 선형 계획법의 정립에 큰 기여를 하여, 흔히 "선형 계획법의 아버지"로 부른다. 댄치그가 고안한 단체법은 선형 계획법을 푸는 방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댄치그에 관하여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댄치그가 버클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과정 중에 있을 당시, 한 통계학...
    도서 위키백과
  • 추계 프로그래밍 stochastic programming
    특수 형태의 선형 계획법으로 단가나 제약 조건식의 계수가 어떤 확률 분포의 확률 변수에 따르는 경우를 말한다. 이 프로그래밍의 목적은 기대값을 극소화하는 변수값의 순위를 결정하는데 있다.
    분야 :
    프로그래밍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