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카고의 역사
    비슷한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그러나 건물들은 한결 현대적이었고, 새로운 화재예방 법규에 맞추어 건설되었다. 중앙의 상업지구에는 대형 백화점들, 대규모 은행들, 상업회의소, 신흥공사의 지국, 상업 중심지, 법률 중심지, 행정본부 등이 들어섰다. 최초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 이 지역에 건축되었다(마천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박승직 朴承稷
    12월 성진감리서 주사, 1905년 4월 중추원 의관을 지내며 짧게 관직생활을 하였다. 1905년 7월 광장주식회사 발기인과 취체역을 맡았다. 같은 달 한성상업회의소 설립 발기인으로 참여해서 1906년 1월 상의원, 1909년 상임위원을 맡았다. 1906년 합명회사 창신사(彰信社)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907년 8월 최인성(崔仁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조중응 낭전(琅田), 趙重應
    가정박람회 명예회장에 선임되었다. 11월 다이쇼 천황 즉위대례식에 조선귀족 대표로 참석해서 다이쇼 천황 즉위기념 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16년 1월 경성상업회의소 특별평의원, 제국군인후원회 조선지회 평의원에 임명되었다. 11월 내선융화를 목적으로 하는 대정친목회 발기에 참여해 회장으로 선출되어 사망할 때...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김세환 金世煥
    3·1운동 중앙지도체 48인 중 1인이었고 교육을 통한 항일 인재양성에 힘썼다. 보성중학을 졸업한 후 일본 주오대학[中央大學] 수학 후 귀국하여 수원상업회의소에 근무하다가 교육사업을 하기로 결심하고 사직하였다. 미국 선교사 밀러의 후원을 받아 수원에 삼일남녀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을 통한 애국심과 항일사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안희제 백산, 安熙濟
    확대 개편되었으며, 대구·서울·원산·펑톈[奉天] 등지에 지점과 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등 대규모 회사로 성장했다. 회사의 확장에 따라 부산상업회의소 부회두와 부산상업학교 이사를 역임했으며, 부산 유지들과 더불어 부산진과 영도에 공립보통학교를 설치했다. 3·1운동을 전후하여 남형우(南亨祐) 등과 국내외...
    출생 :
    1885, 경남 의령
    사망 :
    1943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윤정하 尹定夏
    활동사항 1897년부터 3년간 한성관립영어학교에서 수학하였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고등상업학교[東京高等商業學校]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1909년부터 한성상업회의소(漢城商業會議所)에서 창간한 『상공월보(商工月報)』의 편집을 담당하였고, 조선 말기의 민족지에 자주 투고하면서 한국상업계의 혁신을 위한 계몽...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87년(고종 24)
    사망 :
    미상
    경력 :
    계리사, 호남은행 회계고문, 대구은행 지배인
    유형 :
    인물
    직업 :
    금융인, 계리사, 학자
    대표작 :
    경제학요의
    성별 :
    분야 :
    경제·산업/경제
  • 김세환 金世煥
    생애 및 활동사항 경기도 수원 출신. 보성중학교와 일본 주오대학[中央大學]을 졸업한 뒤 수원상업회의소에 근무하였다. 미국인 선교사 밀리의 후원을 받아, 수원의 삼일남녀학교(三一男女學校)를 설립하여 후진교육에 전념하였다. 박희도(朴熙道)로부터 독립만세운동에 관한 계획을 듣고 2월 21일 이갑성(李甲成)의 집...
    시대 :
    근대
    출생 :
    1889년(고종 26)
    사망 :
    1945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객주조합 상회, 客主組合
    회원에게 알리는 한편, 회원들의 영세자본을 모집하여 근대적인 회사 설립을 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객주조합은 1905년 이후에는 근대적 성격의 상업회의소로 전환되었다. 기능과 역할 객주조합의 활동과 성격은 1894년을 기점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1894년 이전에는 조직과 운영에 있어서 아직 근대적 상인 단체의...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콜카타 Kolkata
    통해 선적되는 주요수출품으로는 천연 철강, 선철, 석탄, 기계류, 굵은 삼베(마대 자루), 설탕 등이 꼽힌다. 재정 중심지로서 많은 외국은행, 몇 개의 상업회의소, 증권거래소 등이 있다. 주요 위락지역으로 강을 따라 면적이 약 500㏊인 마이단(평원 또는 공원)이 있다. 중요한 스포츠 행사가 이곳에서 열린다. 콜카타...
    위치 :
    인도 동부 서벵골 주
    인구 :
    6,112,874명 (2020년 추계)
    면적 :
    185㎢
    언어 :
    영어, 힌디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이윤용 경중(景中), 李允用
    그리고 주식회사 경성취인소와 북선흥업철도주식회사에서 활동하였다. 1920년 일본 왕세자 가례에 참석하기 위하여 일본에 출장을 갔고, 이 해 경성상업회의소 특별평의원, 자동철도공업주식회사 찬성인, 조선실업구락부 고문, 매일신보사 주최 부인수예품전람회 고문을 맡았다. 또한 이 해 금배 1개를 받았다. 1921...
    시대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55년(철종 6) 7월 24일
    사망 :
    1938년 9월 8일
    경력 :
    전라도 병마절도사, 한성부 우윤·판윤, 형조판서, 군부대신, 한성은행장, 중추원 고문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아관파천
    직업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본관 :
    우봉(牛峰)
  • 신태화 申泰和
    金然鶴)의 투자금 4천 원으로 기존의 작은 공업체를 확장하여 신행상회(信行商會)를 설립했다. 김연학은 한성어음조합 조합원, 한호농공은행 중역, 종로상업회의소 의원으로 활동한 경성 유수의 실업가였다. 신행상회가 위치한 동현 4가는 오늘날의 남대문로 2가인데, 현재도 보석 상가가 형성되어 있는 곳이다. 업계...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박승직 朴承稷
    8,000원으로 동대문시장 관리회사인 '광장주식회사'를 설립하는 데 앞장서면서 대주주로서 취체역에 선임되었다. 한국 최초로 설립된 경영인 단체인 한성상업회의소에 재직 중이던 1907년에는 일본으로부터 얻은 1,300만 원의 차관을 갚기 위해 거족적 국민운동으로 전개되었던 국채보상운동에 적극 동참, 운동 주체였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상공월보(권24) / 한성상업회의소
창녕군상업회의소정관(창녕군상무조합정관)
국제상업회의소 아시아 극동위원회 22차총회 기념 - 낱장
국제상업회의소 아시아 극동위원회 22차총회 기념 - 전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