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찰피나무 염주보리수만들어졌다. 그밖에 불경을 얹어 두는 상〔經床〕, 밥상, 교자상, 두레상으로 쓰였고, 산간지대에서는 굵은 피나무의 속을 파내어 독으로 쓰기도 했다. 또한 비자나무나 은행나무보다는 조금 못하지만 바둑돌을 놓을 때 느껴지는 표면의 탄력성과 연한 갈색의 색조가 좋아 바둑판의 재료로도 널리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冬柏나무 숲있으며, 마삭덩굴 및 줄사철나무가 바윗면을 덮고 있다. 낙엽활엽수 가운데서 흔히 보이는 것은 느티나무 · 벚나무 · 갈참나무 · 고로쇠나무 · 좁은단풍 등이고, 동백나무숲속에는 비자나무와 개산초 등도 이따금 나타난다. 남부지방에는 동백나무가 여러 군데서 자라고 있으나, 이와 같이 하나의 아름다운 숲으로...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식물
-
개비자나무 Korean Plum-yem있고 과지의 것은 길이 20 ~ 25mm이며 4~5년만에 떨어진다. 중앙의 잎맥이 두드러지며 뒷면에 2줄로 된 기공조선이 있다. 엽병이 없고 이열로 배열되며 비자나무에 비하여 부드러우며 잎끝이 예리하나 만져도 찌르지않는다. 꽃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3 ~ 4월에 녹색으로 피고 수꽃차례는 길이 5mm내외로 편구형이며 10...
- 분류 :
- 구과목 > 개비자나무과 > 개비자나무속
- 꽃색 :
- 녹색
- 학명 :
- Cephalotaxus koreana Nakai
- 개화기 :
- 4월
-
참식나무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면적:27,769㎡ ⓒ특징:불갑사 뒤편의 산 중턱쯤에서 볼 수 있으며, 이 곳이 참식나무의 북한계이다. 그 밖에 비자나무, 동백나무, 굴피나무, 느티나무, 굴참나무, 서어나무등이 자란다. • 상록의 웅장한 수세와 봄철에 돋는 신엽(新葉)은 신비롭고,가을에 익는 주홍색 열매는 유난히 광택이...
- 분류 :
- 목련목 > 녹나무과 > 참식나무속
- 꽃색 :
- 백색, 노란색
- 학명 :
-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 개화기 :
- 10월, 11월
-
인간의 보살핌은 약일까 독일까, 천년숲 제주 비자림물들인 녹색과 선명한 대조를 이룬다. 중산간지대의 다랑쉬오름과 돛오름 사이에 긴 타원형으로 들어선 비자림은 면적 44만 8,000여 제곱미터에 500~800년생 비자나무 2,800여 그루가 자리 잡고 있다. 최고령 나무는 900살에 육박한다. 두 번째는 2000년 ‘새천년 나무’로 지정된 비자나무로, 수령은 800살이 넘고 굵기...
-
-
-
감람 橄欖, Canarium album누런 것은 아주 안 좋은 것이고 병든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조선 고종 때 『동의보감』을 간단하게 정리한 한방책인 『방약합편』의 이과(夷果)편에도 감람나무의 열매인 감람이 등장한다. 즉 여지, 용안, 비자, 해송자와 함께 감람을 소개하며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식용법 열매를 달여 먹는다. 짓찧어 즙을 짜내어...
- 분류 :
- 감람과(Burseraceae)
- 원산지 :
- 중국의 광둥(廣東)성, 광시(廣西)성, 푸젠(福建)성
- 학명 :
- Canarium album (Lour.) Raeusch.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과일 씨, 뿌리, 잎
-
-
내장산 內藏山나무류로 구성되며, 상록광엽수림으로는 굴거리나무, 상록침엽수림으로는 비자나무, 임상식물(林床植物)로는 조리대가 있다. 원적암 일대의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은 백양사의 비자림과 함께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고 그 열매는 약재로 사용된다. 굴거리나무도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잎과...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