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환경위성의 미세먼지 관측 원리는?반사된 태양복사에너지를 광학센서로 측정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대기오염물질 및 기후변화 유발물질의 대기 중 농도를 관측합니다. ※ 측정항목 SO2, NO2, HCHO, O3, Aerosol 대기의 수직농도로부터 지상의 미세먼지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 중이며, 2021년부터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
공기의 움직임과 미세먼지 농도의 관계는?공기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계속 바람이 불면 오염물질이 쉽게 흩어져 미세먼지가 머물 틈이 없습니다. 반대로 바람 한 점 없는 날씨가 이어지면 미세먼지가 쌓여 농도가 점점 짙어집니다. 이처럼 공기의 움직임과 미세먼지의 농도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봄과 겨울에 미세먼지 농도가 짙은 날이...
-
미세먼지 예보정확도 수준은?2017년 전체 기간의 미세먼지 예보정확도는 PM-10과 PM-2.5 모두 88%를 기록 하였습니다. 이는 예보 초기인 2014년에 비해 PM-10은 5%, PM-2.5는 16% 상승한 수치입니다. 2017년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기간의 예보정확도는 PM-10은 67%, PM-2.5는 72%로, 2014년에 비해 PM-10은 13%, PM-2.5는 8% 상승했습니다.
-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심각한 수준(50㎍/m3)에 이르는 경우 서울시 ・ 인천시 ・ 경기도 조례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도지사 ・ 시장)의 권한으로 시행되는 비상조치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자동차를 대상으로 수도권대기관리권역내 운행을 제한하여 일일 미세먼지 발생량을...
-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이유는?가시거리란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사람의 눈으로 구분할 수 있는 곳까지의 최대 거리를 말합니다.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높아지면 가시거리에도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높아지면 빛이 미세먼지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거나(산란), 흡수되어 가시거리가 감소하게 됩니다. 황산염...
-
천식 환자의 미세먼지 대처법은?미세먼지 등급이 ‘나쁨’ 이상인 날에는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어린이 천식 환자는 유치원이나 학교 보건실에 증상 완화제를 맡겨 두어 비상시를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식 환자의 경우 마스크 착용이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 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는 식품...
-
사업장 미세먼지는 어떻게 측정하여 관리하나요?있습니다. 연간 대기오염물질 10톤 이상 사업장(1~3종) 가운데 대형 배출시설을 대상으로 하며, 7종의 대기오염물질(먼지, SO2, NOx, NH3, HCl, HF, CO)을 5분 간격으로 연속 측정합니다. 미세먼지 다량 배출 사업장인 화력발전소, 제철소, 시멘트 제조, 대형 소각장 등에 CleanSYS가 설치되어 24시간 감시 중에 있습니다.
-
미세먼지의 단위와 측정방법은?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미세먼지 측정농도 단위는 ㎍/㎥로, ‘마이크로그램 퍼 세제곱미터’라고 읽습니다. 이는 1㎥의 공기 안에 있는 미세먼지의 중량(㎍이란 g의 백만분의 1에 해당하는 단위)을 의미합니다. 미세먼지 측정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포집된 미세먼지의 중량을 저울로 재는 방식인 중량법과 미세먼지...
-
중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저감 방안은?있습니다. 또한, 2017년부터 항공기를 이용한 입체관측 등 첨단 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 화북지역(베이징, 텐진, 다렌, 칭다오, 창다오, 바오딩)을 대상으로 ‘맑은 하늘(靑天)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중국의 제철소와 발전소를 대상으로 한국 미세먼지 저감기술 지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차이점은?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거나, 공장과 자동차에서 가스가 배출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지름 10㎛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라고 부르고, 미세먼지 중에서 지름 2.5㎛ 이하의 먼지를 초미세먼지라고 부릅니다. 초미세먼지의 지름은 머리카락 두께의 20분의 1정도에 불과하지만, 미세먼지보다 유해성은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의 내용은 무엇입니까?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대책으로는 수도권과 대도시 이외에도 오염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관리범위를 확장하고, 대기오염물질총량제를 실시하며, 오염물질의 배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측정기기 부착대상시설을 확대하여 관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국민건강을 위한 방안으로는 어린이, 어르신 등 민감계층...
-
미세먼지와 황사의 차이점은?미세먼지란 아주 작은 크기의 입자상 오염 물질로, 이 가운데 초미세먼지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초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습니다. 봄에 주로 나타나는 황사는 중국 북부나 몽골 사막지역, 황토고원 등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주요 성분은 칼슘이나 규소 등 토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