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위 해서 천자문 申緯楷書千字文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가서 당대의 대학자 옹방강(翁方綱) 등을 만났다. 그의 해서는 청나라에 다녀온 뒤로 옹방강 서풍을 따랐고, 행초(行草)에서는 북송 미불(米芾)의 서풍을 애호했으며, 명(明) 동기창(董其昌)의 서풍도 즐겨 썼다. 이 『천자문』은 신위가 69세 되는 1837년(헌종 3) 9월 21일에 썼다. 서첩 표지에는...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신위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684호
- 창작/발표시기 :
- 1837년(헌종 3) 9월 21일
- 성격 :
- 서첩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28.2㎝, 가로 15.3㎝
- 권수/책수 :
- 1첩
- 재질 :
- 종이에 먹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소장/전승 :
- 신광현
-
허형 미산(米山), 許灐아들로 태어나, 1867년 진도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허련은 큰아들 허은(許溵)이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자 화업(畵業)을 이을 것으로 여겨 북송의 서화가 미불(米芾)의 성을 따서 미산(米山)이라 호를 지어 주는 등 크게 기대하였다. 그러나 허은이 1867년 34세의 나이로 요절하자 낙담하여 다른 자식들에게는 그림...
- 시대 :
- 근대/개항기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표암유고 豹菴遺稿검무가화답(杜工部劒舞歌和答)」을 보고 “우리나라 근 백년간에 이만한 시가 없다”고 극찬하였다. 강세황은 자지(自誌)에서 왕희지(王羲之) 부자의 서법에 미불(米芾)과 조맹부(趙孟頫)의 필체를 겸비, 체득하였다고 술회하고 있다. 그 밖에 그는 역대 명필의 모서(模書) · 임서(臨書) · 방서(倣書)를 비롯해 전세...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괴석도 怪石圖, Oddly Shaped Rock Painting金正喜)를 비롯한 19세기 문인들의 애석(愛石) 풍조와 함께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김정희는 옹방강(翁方綱)·완원(阮元) 등 청대 문사들과 교유하며 미불이 가장 아꼈던 보진재연산(寶晉齋硯山)을 그린 「연산도(硯山圖)」를 직접 그렸으며, 신위(申緯)는 중국 상산(象山)에서 가져온 돌들을 보고 시를 남기기...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서원 아집도 8곡 병풍』 西園 雅集圖 八曲 屛風[개설] 『서원 아집도 8곡 병풍(西園雅集圖八曲屛風)』은 중국 송대 미불(米芾)의 「서원 아집도기(西園雅集圖記)」의 내용을 그린 고사도(故事圖) 계열의 병풍이다. 「서원 아집도(西園雅集圖)」는 중국 송나라 영종(英宗)[재위 1063~1067]의 사위였던 왕선(王詵)[1036~1089 이후]이 북송(北宋)의 수도 개봉(開封)에...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윤순 필적 고시서축 尹淳 筆蹟 古詩書軸후기를 대표하는 글씨의 대가로 우리나라 역대 명필과 중국의 서법을 두루 섭렵하여 특유의 서풍을 이루었다. 그 중에서 특히 왕희지(王羲之)의 소해(小楷)와 미불(米芾)의 행초(行草)를 잘 구사했으며, 후에는 명나라 동기창(董其昌) 서풍을 가미하여 조선후기 미동서풍(米董書風)의 유행을 선도하였다. 『고시서축...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윤순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676호
- 창작/발표시기 :
- 1737년(영조 13) 3월
- 성격 :
- 서축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45.2㎝, 가로 404.5㎝
- 권수/책수 :
- 1축
- 재질 :
- 비단에 먹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소장/전승 :
- 국유
-
-
인천전기주식회사 인천전기, 仁川電氣株式會社이후의 반동과 1909년 발생한 수차례의 대화재 등으로 상점의 폐점과 폐업이 속출하면서 인천의 경기가 침체에 빠졌다. 인천전기 또한 전등 요금의 체납 또는 미불 사태로 경영 악화에 빠졌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1908년 1월 20일 2만 5000원의 증자를 실시했으나 영업은 향상되지 않았다. 이에 회사 안에서는 정리 및...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 설립 :
- 1906년 4월 1일
- 성격 :
- 회사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12년 6월 11일
- 설립자 :
- 가쿠 에이타로(加來榮太郞), 다나카 사지치로(田中佐七郞), 호리 리키타로(堀力太郞), 칼 월터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미법산수도 米法山水圖李長孫)의 이름이 적혀 있다. 조선 초기의 작품이 매우 드문 상황에서 중요한 연구 자료이다. 내용 ‘미가산수(米家山水)’는 북송대의 문인 서화가였던 미불(米芾)과 그의 아들 미우인(米友仁)의 산수화 전통을 지칭한다. 평원으로 전개되는 나지막한 토산(土山)을 배경으로 구름과 안개가 자욱한 양자강 하류의 풍경을...
- 시대 :
- 조선전기
- 저작자 :
- 최숙창(崔淑昌)·서문보(徐文寶)·이장손(李長孫)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초기
- 성격 :
- 산수화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39.6㎝, 가로 60.1㎝
- 권수/책수 :
- 6폭
- 재질 :
-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일본 나라시(奈良市) 야마토분가관(大和文華館)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 비로자나불 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 毘盧遮▽那..있다. 2005년 7월에 있었던 개금 과정에서 상 내부에 묵서된 “誓願大角干主等身賜彌佛 右座妃主等身〇〇 中和三年癸卯此 像夏節柒金着成(서원대각간주등신사미불 우좌비주등신〇〇 중화삼년계묘차 상하절칠금착성)”이라는 명문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통일신라 883년과 대각간과 좌비라는 신라의 귀족 계급과 관련된...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고려 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