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했으나 막부, 교토 조정 양측 모두 인정하지 않았고 조정의 명령에 따라 교토에 남아있게 된다. 게이오 3년(1867년) 15대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대정봉환으로 에도 막부가 소멸하고 교토 수호직도 폐지된다. 도바 후시미 전투에서 메이지 정부군에게 패배하고 아이즈번으로 돌아오게 된다. 아이즈번에서는...
막부 쪽이 슈고와 지토를 통해 전국을 통제해서 중앙집권적이었고, 에도 막부 쪽은 도리어 지방분권적이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막번체제는 1867년 막부의 대정봉환(大政奉還)에 이르러 해체되었다. 1871년 폐번치현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도 하나 하나의 번이 소규모의 근대 국가와 같아 그것을 하나로 통합...
대한 막부의 영향력이 역사상 가장 강화되었다. 하지만 흑선 내항으로 인해 막부의 권위가 실추되고 막말이 도래하여 도막과 좌막이 대립하는 가운데 대정봉환이 행해지고 보신 전쟁을 겪고 난뒤 왕정복고가 완료되어 판적봉환, 폐번치현 등의 과정이 일어났다. 즉, 메이지 유신으로 중앙집권이 이루어졌다. 일본이...
운동과 대정익찬회에 대한 비판을 계속함에 따라 1942년 3월 17일 결사불허 처분을 받고 해산되었다. 1942년 익찬선거에는 다나카 고를 비롯한 회원 37명이 무소속으로 입후보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인 1946년 3월 7일 재건되었다. 다나카 다쿠지 총재는 공직추방을 당했으나, 1947년 제23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