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아민족진행곡 東亞民族進行曲
    음악수업에서 가르쳤다. 상존: 상호 존중 방공: 공산주의를 막음 공진: 함께 나아감 동경개선: 함께 전승을 기뻐함 세계적 전란: 제2차 세계대전 동아공존공영권: 대동아공영권 원문 한국어 번역 大地湧起和平的呼聲激動了萬里的大進行東亞民族 聯合起來互尊獨立 共同防共我們是開闢荒野的先鋒我們是創造文明的英雄大眾...
    도서 위키백과
  • 팔굉일우 Hakkō ichiu, 八紘一宇
    정치 슬로건이 되기도 하였다. 1940년 고노에 정권 이래 교학쇄신평의회의 "국체 관념을 명확케 하는 교육"을 논한 가운데 빈번히 사용되어 "대동아공영권의 건설, 더 나아가 세계만방을 일본 천황의 어능위(御稜威, 천황의 위광) 아래 통합하여 각국으로 하여금 그것을 이룩토록 하는 이상"을 표명하는 것으로 인용...
    도서 위키백과
  • 고승제
    도요(東洋) 경제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도요 경제 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매일신보》, 《국민문학》, 《조광》에 일본 제국의 대동아 공영권 정책, 전시 통제 경제 정책, 징병제 실시 등을 지지하고 조선인들이 태평양 전쟁에 협조할 것을 독려하는 논설을 게재했다.서적 인용 이러한 행적으로 인해...
    도서 위키백과
  • 이성환 (1900년)
    대동아》, 신문 《매일신보》 등 각종 언론 매체에 기고한 글을 통해 지원병, 징병, 징용을 선전, 선동하는 한편 일본의 침략 전쟁 승리와 내선일체 및 대동아공영권 확립을 주장했다. 광복 이후인 1949년 3월 21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기도 했다. 친일파 708인 명단의 기타 부문,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
    도서 위키백과
  • 일본의 항복 Surrender of Japan, 日本の降伏
    일본의 역사상 1603년 도쿠가와 막부 성립과 1868년 메이지 유신과 나란히 큰 전환점의 하나이다.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서 제국주의의 합리화의 결과물인 대동아공영권을 주창하며 한반도, 동남아시아, 그리고 만주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던 일본은 항복으로 인해 이러한 지역들을 모두 포기하게 된다. 1945년 7...
    도서 위키백과
  • 김호규
    1938년 조선실업구락부 회원을 역임했고 1939년부터 1942년까지 조선총독부 내무국 지방과 촉탁으로 근무했다. 1941년 3월에 열린 대동아공영권 확립에 관한 연설에서 도쿄 회의(대동아공영권에 대한 회의)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하는 등 일본의 침략 전쟁을 적극 지지했다. 1940년 일본 기원 2600년 축전 기념 초대자...
    도서 위키백과
  • 반서방 감정 Anti-Western sentiment, 反西方情绪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제국은 일반적인 시기에서 서방 국가에 적대적인 국가는 아니였으나 193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군국주의화 되면서 귀축영미, 대동아공영권 등 반서방주의적 슬로건을 내걸었다. 패전 이후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따라 일본은 주권을 회복하여 국제 사회로 복귀하고 서방권 국가...
    도서 위키백과
  • 한상동 韓尙東
    삼일교회를 중심으로 한 목회 활동[1946년~1972년], 넷째는 고려신학교[현 고신대학교] 설립과 신학교육 활동[1946년~1974년] 등이었다. 일제는 소위 대동아 공영권 확보라는 이름 아래, 전시 체제로 돌입하고 한국인에게도 신사 참배를 요구하였는데, 한상동 목사는 이를 우상 숭배 강요라고 보아 반대하였다. 1937...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 임용길 任龍吉
    중점을 두었다. 상애회의 간부이자 일본 중의원 의원이던 박춘금이 당시 『동아 신문』의 상담역이었다. 임용길은 신문을 통해 내선 일치를 강조하고 대동아 공영권 확립에 정진해야 함을 역설하는 등 친일적 논설들을 게재하였다. 1942년 일본 중의원 선거에 아이치 현 제1선거구에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해방 후...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남만주철도주식회사 South Manchuria Railway, 南満洲鉄道
    하로타로 1932.7.26 1935.8.2 14 마쓰오카 요스케 1935.8.2 1939.3.24 15 오무라 다쿠이치 1939.3.24 1943.7.14 16 고히야마 나오토 1943.7.14 1945.4.11 17 야마자키 미토키 1945.5.5 1945.9.30 일본의 전쟁 범죄 대동아종관철도 대동아공영권 시베리아 횡단 철도(TSR) 한반도 종단 철도(TKR) 동청철도(CER)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미야자키 이치사다 Ichisada Miyazaki, 宮崎市定
    표창을 받았다. 1942년 일본 문부성에서 대동아역사편찬이라는 프로젝트에 의해 편찬책임자로 선정되었다. 문부성의 의도는 미얀마에서 동쪽 영역의 소위 대동아공영권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일본의 황국문화가 조선과 지나를 거쳐 아시아 각지에 확대되어간다는 자민족 우월주의적 황국식민사관에 근거한 것...
    도서 위키백과
  • 지정학 Geopolitics, 地政学
    지역 히스패닉 아프리카 - 주로 적도 기니와 모로코내 서사하라 지역 에너지 지정학(geopolitics of energy, energy geopolitics) 구단선 레벤스라움 대동아공영권 야마가타 아리토모 의견서 - 독일 유학후 '주권선'(主權線, line of sovereignty)과 '이익선'(利益線, line of advantage/interest)에 대한 개념 제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1943년 11월 5일 대동아회의에 참가한 각국 수뇌부들. (일본 제국의회 의사당 앞에서 기념 촬영)
만주국이 일본인과 한족, 만주족의 우호 관계를 선전하기 위해 제작한 포스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