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회주의운동 社會主義運動또 상해파 고려공산당의 국내간부가 코민테른으로부터 받은 자금의 일부를 사적으로 남용하였다고 하여 이들을 주요 대중단체인 조선청년회연합회, 노동공제회, 서울청년회에서 축출하는 사건인 ‘사기공산당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주의세력’은 민족해방운동의 주도적 세력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한편...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권대형 權大衡노동총동맹에 가입하였다. 또한 사회주의를 연구하는 진보적 서클인 신흥과학연구회(기관지 『신흥과학』 발간)의 발기인이 되었으며, 사상단체 일월회(一月會)에 가입하는 등 사회주의운동에 가담하였다. 1927년 4월 한국 내 제3차 조선공산당의 일본 내 지부였던 일본부(책임비서 박낙종)에 입당하였다. 1928년 2월...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8년(고종 35)
- 사망 :
- 1947년
- 경력 :
- 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 책임자, 건국훈장 애족장(2005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민족유일당운동 民族唯一黨運動통의부, 노동친목회, 의성단, 잡륜자치회, 고본계, 학우회 등이었다. 몇몇 단체가 이탈한 뒤 11월 전만통일회를 개최하였다. 여기서 새로운 통합 독립운동단체인...가 조직되었다. 이로써 3부, 즉 참의부·정의부·신민부가 성립되었다. 이들 단체들은 일제의 세력이 강한 북간도를 제외한 전체 만주의 교포 사회를 3...
- 시대 :
- 근대
- 발생 :
- 1920년대 후반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정의부, 신민부, 참의부
-
식민지배 하의 민족항쟁일제의 세력이 더욱 확장되며 식민 지배가 지속되자 현실을 인정하고 민족의 역량을 향상시켜 자주 독립의 기초를 이루자는 민족실력양성론이 청년, 여성, 소년, 농민, 노동계 등 각 방면에 걸쳐 나타나기 시작했다. 실력양성론은 조선청년총동맹, 조선여자청년회, 조선소년연합회 등을 결성하여 국내의 민족...
- 시대 :
- 1919년~1945년
-
서중석 서영(徐榮), 김순기(金舜基), 윤장섭(尹長燮), 윤성기(尹聖基), 윤영(尹榮),..청년총동맹의 간부가 되었다. 1929년 가을 조선공산당 재건설준비위원회에 가입한 뒤, 10월에 고려공산청년회 재건설준비위원회 만주부를 조직하고 선전부 책임자가 되었다. 1931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였다. 같은 해 2월 중국공산당 동만특위 산하 조선국내공작위원회 공작원으로서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의 임무를 띠고...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4년(고종 41)
- 사망 :
- 미상
- 경력 :
- 건원학교 교사,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 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상임위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신흥청년동맹 新興靑年同盟조선노동연맹회와 민태흥(閔泰興)·이호 등의 토요회, 그리고 김찬·박일병 등의 신사상연구회계가 합류하여 조직된 단체이다. 그런데 서울청년회계에 대항하는 조직이었다. 설립목적 단체의 강령은 사회 진화의 법칙에 의거하여, 신사회 건설을 위한 훈련자를 양성할 것과 계급 의식의 각성을 촉진하기 위해 세계적...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4년 2월 11일
- 성격 :
- 사회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찬, 박일병, 이호, 최현
- 분야 :
- 역사/근대사
-
김재봉 주서, 金在鳳신흥청년동맹으로 발전시켰다. 이는 내지부의 강력한 경쟁 세력인 서울콤그룹 휘하의 서울청년회에 대응하는 단체였다. 또 1924년 4월 노동단체와 소작단체를 합하여 조선노동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을 조직하고, 청년단체도 정리하여 조선청년총동맹을 결성하였다. 마침 양대 세력 가운데 하나인 서울콤그룹이 내지부를...
- 출생 :
- 1891년 5월 19일, 경상북도 안동(安東)
- 사망 :
- 1944년 3월 22일
- 관련 사건 :
- 조선독립단, 조선공산당
- 본관 :
- 풍산
- 주요활동 :
- 1920년 조선노동대회 가입, 1922년 이르쿠츠파 고려공산당 중앙위원, 1924년 화요회 결성, 1925년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 포상훈격 :
- 2005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민국 임시정부, 화요회, 조선공산당
-
권오설 오서, 權五卨이후 노동 문제가 사회 문제로 전화되는 상황에서, 노농총동맹과 청년총동맹은 1924년 5월 말경 이 문제에 대한 강연회를 열려고 하였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무산되고 말았다. 이에 두 단체는 이 기회에 전국적인 사회 여론을 불러 일으켜 일제 탄압을 규탄 ・ 투쟁할 것을 계획하고 언론계를 비롯한 변호사회, 사상 단체...
- 출생 :
- 1897년 11월 25일, 경북 안동군 풍서면 가곡리 422
- 사망 :
- 1930년 4월 17일
- 관련 사건 :
- 6・10만세운동
- 본관 :
- 안동
- 주요활동 :
- 3・1운동 당시 광주 만세시위를 주도했으며,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중앙집행위원으로 6・10만세운동을 주도
- 포상훈격 :
- 2005년 건국훈장 독립장
- 관련 인물/단체 :
- 조선공산당
-
강인택 춘산, 姜仁澤진상조사위원을 시위 현장에 파견하고 조사만이 아닌 선전 활동의 일환으로 시위를 지원하였다. 신간회 중앙본부에서 언론사, 종교 세력, 근우회, 조선청년총동맹, 조선노동총동맹 등과 함께 대규모의 민중 대회를 준비하다가 일제 경찰에 발각되어 1929년 12월 13일에 집행위원장 허헌을 비롯해 총 90여 명과 함께 체포...
- 출생 :
- 1892년 8월 2일, 함경남도 홍원(洪原)
- 사망 :
- 1962년 11월 13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신간회운동
- 본관 :
- 진주(晉州)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홍원군 홍원읍내에서 만세운동 참가, 1927년 이후 신간회 경성지회 간사와 집행위원으로 활동
- 포상훈격 :
- 2009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민립대학기성회, 조선교육협회, 신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