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송기후 성백(誠伯), 宋基厚
    로 천거된 바 있다. 1659년(효종 10) 자의대부(諮議大夫)에, 1669년(현종 10)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1673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 송기후는 시종 산림처사(山林處士)로서 향촌에서 자제를 교육하고, 효제(孝悌)를 몸소 실천하였다. 혈연과 지연상 기호학파에 속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21년(광해군 13)
    사망 :
    1674년(현종 15)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은진(恩津: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
  • 임리정 臨履亭
    뜻을 따서 임리정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정자가 자리한 언덕의 동쪽 아래에는 김장생이 창건한 죽림서원(竹林書院)이 지금도 남아 있는데, 그는 그 당시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종사(宗師)로서 학문은 물론 정치와 경제면에 이르기까지 큰 공헌을 하였다고 한다. 현재 임리정은 강경유림(江景儒林)의 소유로 되어 있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영동 송우암 유허비 永同 宋尤庵 遺墟碑
    내용 1977년 충청북도 지방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송시열의 본관은 은진(恩津), 호는 우암(尤庵)으로 김장쟁(金長生) · 김집(金集) 이후 기호학파를 이끌면서 서인 · 노론의 영수로 활약하였다. 비신(碑身)의 높이 200㎝, 폭 70㎝, 두께 20㎝로 보호각 안에 있다. 1875년(고종 12)에 세웠으며, 마을 앞 강 언덕 밭...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송자대전 宋子大全
    등이 있다. 잡저의 〈악대설화 幄對說話〉는 1659년(효종 10) 3월 효종과 북벌문제를 논의한 것을 정리한 글로 북벌에 대한 효종의 구상을 보여주는 거의 유일한 자료이다. 이 책은 17세기의 정치·사회 상황과 노론 기호학파의 사상동향을 보여주는 기본적인 자료이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동방연원록 東方淵源錄
    선생행장(南塘韓先生行狀)」·「성담송선생제문(性潭宋先生祭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행장 5편은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권상하(權尙夏)·한원진(韓元震)·송능상(宋能相)에 대한 것이고, 묘표·제문은 송시열(宋時烈)·송환기(宋煥箕)에 대한 것으로 모두 기호학파의 계통에 속하는 학자들에 국한한 것임을 알...
    시대 :
    조선
    저작자 :
    송흠인
    창작/발표시기 :
    1811년(순조 11)
    성격 :
    연원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송흠인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이기이원론 理氣二元論
    徐敬德)의 기철학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이기론은 존재론과 가치론을 함께 아우르는 주자학의 이중적 성격을 나름대로 계승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그의 이기론은 이기일원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의 이기론은 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을 거쳐 기호학파에 정통적으로 계승된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권시 사성(思誠), 權諰
    돈독하니 버릴 수 없다.”고 주청하여 한성부좌윤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이듬해 공주(公州: 현재 大田)의 옛 집으로 돌아갔다. 송시열과 같은 기호학파로서 예론에 밝았다. 그가 죽자 좌참찬에 추증하고 예관을 보내어 치제하게 하였다. 대전의 도산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탄옹집(炭翁集)』 7책이 있다...
    시대 :
    조선
    출생 :
    1604년(선조 37)
    사망 :
    1672년(현종 13)
    경력 :
    승지, 찬선, 한성부우윤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대표작 :
    탄옹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안동(安東)
  • 팔괘정 八卦亭
    송시열이 새긴 글자가 있다. 송시열은 스승인 김장생의 문하에서 예학(禮學)을 전수받고, 뒤에 성리학(性理學)을 배웠으며, 서인(西人)을 중심으로 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루어놓은 인물이다. 이로 인하여 강경유림(江景儒林)에서는 임리정과 함께 이 팔괘정을 유림의 소유로 삼아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경서기의 經書記疑
    학자로는 중국의 주희를 비롯하여 호병문(胡炳文)·장식(張栻) 등과 우리나라의 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김창흡(金昌翕)·한원진(韓元震) 등 기호학파에 속하는 학자들의 이름이 보인다. 서술상의 특징은 편자 자신의 의견을 말할 때는 ‘접(接)’ 또는 ‘경접(更接)’ 등으로 시작하고, 원문의 해석이...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 宋浚吉 行草 同春堂筆跡
    문장과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같은 은진송씨 송시열(宋時烈)과 함께 당대의 많은 비갈문(碑碣文)을 짓고 썼다. 그는 이이(李珥) 이후 김장생·김집 등 기호학파의 학맥을 계승하면서 초년에는 율곡계 명필 석봉(石峯) 한호(韓濩)의 글씨를 익혔고, 뒤에는 영남학파 학자였던 장인 정경세를 통하여 퇴계(退溪) 이황(李滉...
    시대 :
    조선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672-1호
    창작/발표시기 :
    17세기 후반
    성격 :
    서첩
    유형 :
    유물
    크기 :
    세로 54.5㎝, 가로 34.5㎝
    재질 :
    종이 바탕에 먹
    분야 :
    예술·체육/서예
    작가 :
    송준길(宋浚吉)
    소장/전승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헌유고 梧軒遺稿
    의분을 나타내었다. 서(書)에는 송근수(宋近洙)·송병선(宋秉璿)·최익현·기우만(奇宇萬)·송병순(宋秉珣)·정의림(鄭義林) 등 그가 스승으로 섬긴 당시 기호학파의 명사들에게 보낸 것이 많다. 학문적 내용의 별지나 문답이 실려 있다. 잡저에는 「충효설(忠孝說)」·「경독본도창의통문(敬讀本道倡義通文)」·「경독...
    시대 :
    현대
    저작자 :
    위계룡
    창작/발표시기 :
    1976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 2책
    간행/발행 :
    위일환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성현도학연원 聖賢道學淵源
    내용 불분권 1책(15장). 필사본. 저자는 미상이나 내용으로 보아 조선 후기 기호학파에 속하는 인물에 의해 저술된 것으로 짐작된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편차의 구분 없이 유학의 도원(道源) 및 역대 성현들의 말 46개 구절을 단편적으로 기록하였다. 내용을 살펴보면, 중국 삼황대(三皇...
    시대 :
    고려
    저작자 :
    미상
    성격 :
    연원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15장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권상하 초상
송시열 초상
한원진 초상
이이 표준영정
김장생 영정
이귀 초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