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체동물의 자연사
    필리나속은 수심 2,700~5,700m 깊이에서 미세한 동물을 먹고 산다. 굴족류는 모래나 진흙바닥에서 서식하며 수심 5,000m 깊이까지 사는데, 두사(頭絲)를 이용하여 규조류로부터 갑각동물·연체동물 등의 작은 생물을 잡아먹는다. 운동 두족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체동물은 빨리 움직이지 못한다. 복족류의 발은 근육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연체동물
  • 은어
    굽고 조림을 끓여먹기 때문에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생선이다. 내장과 간에는 몸에 좋은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는데 이는 은어가 오염되지 않은 하천의 규조류를 먹기 때문이다. 은어는 1년 밖에 못사는 물고기인데 9~10월경에 산란을 하고 산란과 방정이 끝나면 암수 모두 죽고 만다. 여름(6~8월)이 제철인데 지방이...
    도서 어식백세 | 태그 식재료
  • 적조 赤潮, red tide
    이외에 카로테노이드(carotenoid)류의 붉은색과 갈색 색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적조를 유발시키는 플랑크톤은 편모조류(鞭毛藻: dinoflagellate), 규조류(珪藻: diatom)와 같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일반적이며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적조 기준도 이 두 가지의 양으로 결정하는데, 이외에도 남조류(藍藻...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전복 全鰒
    하고, 곧 저서포복생활로 들어간다. 전복은 부유생활기간 동안에는 먹이를 먹지 않지만, 저서포복생활로 들어가면 곧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이때는 부착규조류(付着珪藻類)와 같은 작은 조류를 먹고, 성장함에 따라 차차 큰 해조류를 먹는다. 현황 연간 천해에서 수확하는 양은 약 200M/T이고, 양식고는 약 80M/T인데...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떡붕어 crucian carp
    가까이에 떼지어 다니는 경우도 있다. 부화한 어린 새끼는 처음에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후에 부착조류를 먹지만 성어는 주로 식물성 플랑크톤인 녹조류와 규조류를 섭식하지만, 때로는 식물체의 조직도 소화관 내용물에서 나타난다. 본 종은 붕어의 산란성기인 5∼6월과 거의 비슷하거나 이보다는 약간 빠르게 산란이...
    분류 :
    잉어과(Cyprinidae)
    크기 :
    40 cm
    학명 :
    Carassius cuvieri TEMMINCK and SCHLEGEL
    국내분포 :
    전국하천
    도서 담수어류사전 | 태그 어류
  • 온천생물 溫泉生物, hot spring organism
    온천생물 중 식물은 세균류, 남조류, 편모조류, 규조류, 남조류, 홍조류, 외떡잎식물의 변종 등이 발견되고 있으며, 동물은 강장, 원생, 윤형, 절지동물 등이 발견되고 있다. 이들 생물은 온도, pH 등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으며, 모두 1000여종의 생물들이 파악되고 있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기수성 汽水性, brackish
    기수성은 일반적으로 염분농도가 0.2∼30‰에 해당한다. 기수역에는 규조류의 pleurosigma angulatum, 와무시류의Brachionus plicatilis 등 기수에 특유한 생물과 비교적 광염성의 해양생물이나 담수생물이 생존하고 있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백련어 기념어, silver carp
    23℃되는 물에서 활동하다가 수온이 16℃이하로 떨어지면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알의 수는 50만개 정도로 수정된 2일만에 부화한다. 치어는 주로 규조류와 녹조류 등을 먹으며 빨리 성장한다. 원산지는 아시아 대륙의 동부로서 북쪽은 흑룡강수계로부터 남쪽은 화남(華南) 또는 북베트남에 분포한다. 세계적으로...
    분류 :
    척삭동물문 > 조기강 > 잉어목 > 잉어과
    서식지 :
    강하류, 댐, 저수지
    크기 :
    40-100 cm
    학명 :
    Hypophthalmichthys molitrix (CUVIER and VALECIENNES)
    분포지역 :
    중국, 시베리아 동부, 일본, 베트남
    도서 담수어류사전 | 태그 어류
  • 식물성플랑크톤 Phytoplankton
    엽록소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을 유기물로 전환시키는 일차 생산자임. 중요한 군집은 규조류(diatom), 와편모조류(또는 쌍편모조류, dinoflagellate), 코콜리소포(coccolithophores) 및 남조류(blue-green algae) 등이 있음
    분야 :
    해양정책
  • 벤댕이 수문파리, big eye herring
    모래와 진흙이 있는 곳에서 집단으로 서식한다. 황해의 중·남부에서 월동을 하고, 4∼6월경 강 하구와 연안에서 수온이 16∼18℃가 되면 산란을 한다. 알은 투명하여 물위에 뜨고 부화 후 만 1년이 지나면 성어가 되며 요각류와 규조류를 주로 먹는다. 우리 나라 서해와 남해의 연안, 일본, 남중국 및 대만에 분포한다...
    분류 :
    청어과
    크기 :
    10 cm
    학명 :
    Sardinella zunasi (BLEEKER, 1854)
    국내분포 :
    정주, 영암, 몽금포, 인천, 충무, 행주, 안산, 안면, 태안, 보령, 강경, 군산, 부안, 고창, 법성포, 목포, 지노, 강진, 완도, 고흥, 여수, 남해, 부산
    분포지역 :
    황해, 남해
    도서 담수어류사전 | 태그 어류
  • 호수플랑크톤 湖水浮遊生物, limnoplankton
    호수에서 생산되는 정수성(精水性) 플랑크톤으로 하천 플랑크톤과 구별된다. 영얌염류가 많은 부영양호에는 남조류(藍藻類), 녹조류(綠藻類)가 많고, 영양염류가 없는 빈영양호에는 규조류가 많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황색편모조류 黃色鞭毛藻類, Chrysophyceae
    황갈조류, 황색편모조류라고도 하며 단세포조류의 한 무리를 포함하고 있는 식물의 한 문이다. 규조류, 황록조류(부등모조류)의 대부분과 편모조류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규조류 (diatom)
식물플랑크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