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합천3·1운동 합천삼일운동, 陜川三一運動
    전달받아 비밀리에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고 있었다. 이들은 정연표(鄭演彪)의 중개로 운동을 일원화해, 3월 18일 삼가(三嘉) 장날에 약 400명의 시위 군중으로 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이때 출동한 일본 경찰에 의해 시위 군중은 강제 해산되고, 주동자 10명이 붙잡혔다. 3월 19일의 합천읍 장날에는 500여 명의 군중...
    시대 :
    근대
    발생 :
    1919년 3월 18일
    성격 :
    독립운동, 만세운동
    유형 :
    사건
    종결 :
    1919년 4월 7일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정현하, 정현상, 이기복, 이원영, 정연표
    관련 장소 :
    경상남도 합천군
  • 박유복 朴有福
    4월 1일 오후 1시경, 만세운동을 주도한 인사들은 마을 주민들과 함께 병천의 아우내 장터로 모였다. 조인원 등이 먼저 태극기를 흔들며 시장에 모인 군중 500~600명과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어 김교선 · 김상철 등도 합류하였고, 시장에 있던 약 3천 명의 군중들이 호응하여 시장 일대에서 독립만세를 부른 뒤 헌병...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집합행동 集合行動, collective behaviour
    산발적인 개별행동이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 시기를 통해 좀더 발전된 집합행동을 위한 토대가 마련된다. 충분히 발달한 집합행동의 주요한 예로 군중현상(群衆現狀)을 들 수 있다. 군중이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한정된 공간에 모여 있으나 분명한 목적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다. '능동적인' 군중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귀스타브 르 봉 Gustave Le Bon
    군중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의학박사학위를 받은 뒤 유럽·북아프리카·아시아 등지를 여행했고 인류학과 고고학에 대한 여러 권의 책을 썼으며 나중에는 자연과학과 사회심리학에 관심을 가졌다. 〈민족발전의 심리학 Les Lois psychologiques de l'évolution des peuples〉(1894)에서 역사는...
    출생 :
    1841. 5. 7, 프랑스 노장르로트루
    사망 :
    1931. 12. 13, 마른라코케트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요한 수난곡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Johannes Passion BWV245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이후 멘델스존의 친구이자 경쟁자였던 칼 프리드리히 룽겐하겐(Carl Friedrich Rungenhagen)에 의해 4년 뒤인 1833년에 부활했다. 군중의 심정을 대변한 극적인 합창 사용 〈요한 수난곡〉은 총 마흔 곡으로 구성되었으며, 1부가 14곡, 2부가 26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유다의 배반, 제사장...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성악음악 > 기타
    제작시기 :
    1724년
    작곡가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초연 :
    1724년 4월, 라이프치히 성 니콜라이 교회
    출판 :
    1830년(트라우트바인)
    편성 :
    독창(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복음사가(테너), 예수, 베드로, 빌라도(베이스), 4부 합창, 플루트 2, 오보에 2, 바이올린 2부, 비올라 다모레 2, 비올라 다 감바, 류트, 바소 콘티누오
  • 김상갑 金尙甲
    주요 활동 1919년 3월 10일 함경남도 단천군 단천(端川) 읍내에서 천도교 신도들 중심으로 약 1,000여 명의 군중들이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3월 3일 경성으로부터 독립선언서가 단천에 전달되었다. 3월 8일 천도교 교도인 안성교(安聖敎), 최덕복(崔德福), 설운룡(薛雲龍), 최석곤(崔錫崑) 등이 회합을 갖고 독립...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수원 3·1운동 水原三一運動
    1,000여 명의 농민들이 송산면 뒷산에서 대규모 만세시위를 전개했는데, 출동한 일본 경찰이 홍면 등 지도자에게 발포하여 중상을 입히자, 격분한 시위군중들은 일본 경찰 1명을 죽였다. 이에 일제는 대대적인 보복행위를 감행하여, 4월 12일 농민들을 닥치는 대로 체포·구금하고 민가를 마구 불태웠다. 수원군 일대의...
  • 김칠성 金七星
    집결시켜 태극기를 흔들며 면사무소로 향하였다. 면 직원들에게 독립만세를 외치게 하고, 장부 서류와 기구들을 불태운 후 만세 삼창을 불렀다. 김칠성은 군중들과 함께 정주 읍내로 갔다. 정오경부터 읍내 동쪽 1리 정도의 언덕에 군중들이 집결하기 시작하여 오후 1시 30분경 읍내로 진입을 시도하였다. 오후 2시경...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이기송 기동(起同), 李基松
    이런 상황에서 이기송은 오병용(吳秉鎔) · 이만의(李萬儀) 등과 연락해 장날인 3월 23일 대대적인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이 날 장터에 모인 군중 앞에서 독립운동의 당위성에 대해 호소하며 독립만세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시위군중이 점점 불어나 800여 명으로 늘어나고 기세도 오르자, 경찰 주재소에서...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박지협 朴志協
    3월 6일, 천도교 측에서는 선언서를 역 근처와 주변의 각 동리에 배포하였고, 기독교 측이 태극기를 제작하여 집집마다 나누어 준 뒤, 집회를 열자 읍내에 모인 군중은 1,000여 명이 되었다. 김경함이 먼저 우리나라의 독립에 관한 연설을 한 뒤, 군중은 만세를 부르며 시가를 행진하였다. 시위 군중이 안의리(安義里)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강서3·1운동 강서삼일운동, 江西三一運動
    박의현(朴義鉉)·홍석찬(洪錫燦) 등과 천도교측의 이진식(李鎭植)·김병주(金炳疇)·황재호(黃在鎬)·변경식(邊景植)·송현건(宋賢健) 등이 주동, 4천여 명의 군중이 모인 가운데 전개되었다. 이 날 오전 10시경,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삼창한 군중은 곧 만세시위에 들어갔다. 그러나 일본이 헌병·경찰...
    시대 :
    근대
    발생 :
    1919년 3월 3일
    성격 :
    독립운동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최승택, 박상현, 박의현, 이진식, 김병주, 홍석찬, 황재호 등
    관련 장소 :
    평안남도 강서군
  • 이소제 이여사(李女史), 李少悌
    장터로 모였다. 이에 이소제도 남편 유중권과 딸 유관순, 조인원 등 용두리 주민들과 함께 아우내 장터로 나아갔다. 조인원 등이 먼저 태극기를 흔들며 시장 군중 500~600명과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어 김교선 · 김상철 등도 합류하였고, 시장에 있던 3,000여 명의 군중들이 호응하여 시장 일대에서 독립만세를 부른 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5건

휴전 반대시위 군중
휴전 반대시위 군중
무솔리니에게 환호하는 군중
장제스를 환영하는 군중
6・10만세 시위 군중
6 ・ 10만세 시위 군중(1926)
▲ {군중 앞에서 연설하는 레닌}
장 앙투안 와토 〈공원의 군중〉
예금을 찾기 위해 모인 군중
1893년 차이콥스키 장례식에 모인 군중들
을사늑약을 반대하는 대한문 앞 군중
모스크바 3상회의를 지지하는 군중
쑨원의 죽음을 애도하는 군중들
쑨원의 죽음을 애도하는 군중들
군중 앞에서 연설을 하고 있는 글로리아 스타이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