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명활산성 명활성(明活城), 明活山城
    축이 이루어졌다는 기록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조사된 구간의 성벽 몸체 부분의 외벽 높이는 약 10m, 내벽의 높이는 약 9m, 성벽의 폭은 약 12.3m인데, 실제 성벽은 13m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외벽은 장방형의 할석을 수직에 가깝게 바른 층 쌓기를 하였고, 내벽은 부정형의 할석을 하단부에 허튼 층 쌓기를...
    시대 :
    /삼국/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통계적 추론 Statistical inference, 推計統計学
    경우가 많기 때문에 표본에서 얻은 정보를 가지고 추론한다. 통계추론은 추정과 가설검정으로 나눌 수 있다.이군희, 《사회과학연구방법론》, 법문사, 2001년...계산을 통해 모집단평균을 추측해보거나, 모집단 평균에 대한 95% 신뢰구간의 계산 과정을 나타낸다. 가설검정은 모집단 실제값이 얼마나 되는가 하는 주장과...
    도서 위키백과
  • 안산읍성 및 관아지 安山邑城 및 官衙址
    抹角方形)에 가깝고, 성 내부 면적은 약 36,000㎡이다. 성벽 하단부의 폭은 7~10m이며, 상단부 폭은 2~3.5m이고 높이는 대체로 3~4m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각 구간별로 성벽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외벽은 석축으로 쌓고 내부는 토사를 다져 쌓은 내탁식 구조임이 확인되었다. 성벽의 축조는 풍화 암반을 정지한...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부산 금정산성
    대체로 높이 20~80cm 정도 남아 있는데 성벽의 원래 높이는 3m 전후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평지보다 높직하고 평평한 땅인 돈대로 추정되는 제3 망루 남쪽과 일부구간에서는 여장 내에서 총안이 확인되었다. 성벽을 쌓은 수법은 기초 부분에서 위쪽으로 150cm 정도까지는 대형의 석재로, 그 위쪽으로는 비교적...
    시대 :
    조선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일대
    종류 :
    석성
  • 정선 고성리 산성 旌善 古城里 山城
    틈은 작은 쐐기돌을 끼우고 점토로 메웠다. 석축 구간에서는 구간을 구획한 구획선이 보인다. 또한 구간에 따라 협축(夾築)과 편축 기법을 섞어서 사용하였다...개축한 것으로 밝혀졌다. 산성 내부에서는 집수시설 1개소, 추정 문지 1개소, 추정 건물지 1개소, 용도 미상의 석렬 등이 확인되었다. 집수지의 길이는 7,1m...
    시대 :
    고대,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대모산성 양주산성, 大母山城
    넓은 평지가 조성되어 공간을 활용하기가 편리하다. 성벽은 대부분 붕괴된 상태이지만 하부 유구는 매몰되어 있어서 비교적 원형대로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총 길이는 718m이며 이중 성벽이 양호한 구간은 130m 정도이다. 일부 구간에서는 체성의 외벽을 보강한 보축성벽이 확인되고 있다. 화강암 석재를 가공하여...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부여 석성산성 석성(石城), 扶餘 石城山城
    축조하였다. 성벽은 백제 사비기 말경에 초축된 이후 2차로 통일신라시대에 개축된 것으로 보인다. 성벽의 안쪽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집수지와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3차 성벽은 지형에 따라 남벽과 동벽 일부 구간은 협축으로 쌓았고, 나머지 구간은 편축으로 축조되었다. 발굴 조사는...
    시대 :
    고대/삼국/백제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고려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화성 당성 당항성(黨項城), 華城 唐城
    붕괴되어 외벽의 높이 및 축조방식을 파악하기 어렵다. 북쪽의 성벽은 토성구간으로 확인되었는데, 성벽의 기저부의 폭은 6.6m이며, 잔존하는 최고 높이는 3m...곡성(曲城) 부분에서 당성의 성벽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벽이 확인되었다. 당성의 외성지는 제 1․2외성지 2개가 존재하며 본성...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북한산성 北漢山城
    등이 새겨진 기와편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당시 기와 건물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 경위 및 결과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현, 경기역사문화...산성 전체에 대한 정밀 지표 조사를, 2013~2014년에는 대서문-수문 구간과 부왕동암문 구간에 대한 발굴 조사(성벽과 성랑지 4개소, 고려시대 중흥산성)를...
    시대 :
    고려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진천산수리와삼용리요지 鎭川山水里─三龍里窯址
    실시되었는데, 8개 지점에서 백제 한성기 토기요지 20기, 폐기장과 공방지로 추정되는 수혈주거지들이 확인되었다. 산수리․삼용리유적 일대에는 더 많은 토기...100m 이하의 완만한 구릉지대에 입지한다. 이 일대가 중부고속도로 건설구간에 포함되어 1986년부터 1991년도까지 6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실시되면서 유적...
    시대 :
    고대/삼국/백제
    문화재 지정 :
    사적 제511호
    건립시기 :
    백제
    성격 :
    가마터
    유형 :
    유적
    면적 :
    4,242㎡
    소재지 :
    충북 진천군 덕산면 산수리 196-3 등 9필지
    분야 :
    역사/고대사
  • 고령 주산성 이산성(耳山城), 高靈 主山城
    고분군이 자리하고 있고, 동쪽 구릉의 끝자락에는 대가야 궁성(宮城)터로 추정되는 대형 건물터가 위치하고 있어, 궁성의 배후산성으로도 추정된다. 그 외에...계속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내용 완만하게 경사지면서 내려오는 구간인 내성의 북쪽벽과 동쪽벽, 외성의 북쪽벽과 남동쪽벽, 서쪽벽은 경사면을 이용...
    시대 :
    고대/삼국/가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서천 장암진성 서천포성, 舒川 長巖鎭城
    확인되었다. 이것은 홍예기석(虹霓基石)을 올리기 위한 초석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남문의 전면부는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 후면부는 평거식...정화사업과 관련하여 장암진성에 대한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때 조사한 구간은 성 내부, 북문지에서 북동쪽 곡간부, 남동벽 회절 구간이다. 성 내부...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