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척추동물 신경계의 진화어려웠죠. 어류는 물에 녹은 물질의 냄새를 느낄 수 있지만 육지에 올라온 양서류가 냄새를 맡기 위해서는 먼저 콧속의 액체로 냄새 나는 물질을 녹인 후에야 비로소 후각이 가능해집니다. 양서류의 후각수용기는 새로운 육상 조건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전뇌에 아무런 정보도 주지 못해요. 이 때문에 전뇌는 다른...
-
정문기 鄭文基중앙고등학교를 졸업, 1929년 일본 도쿄대학 농학부 수산학과를 졸업한 뒤 1939년 평안북도 수산시험장장, 1943년 경기도 수산시험장장, 1946년 중앙수산시험장장을 역임한 뒤 1947년 부산수산대학장 겸 농림부 수산국장, 1951∼1960년 수산검사소장, 1992년 경희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하였다. 학회활동으로 1954...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현대
- 출생 :
- 1898년
- 사망 :
- 1995년
- 경력 :
- 부산수학대학장, 농림부 수산국장, 수산검사소장,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한국육수학회 회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어류학자
- 대표작 :
- 조선어명보, 조선명태어, 한국어보, 한국동식물도감(어류편), 새로운 해양지식, 자산어보(번역), 한국어도보, 압록강어류, 어고학, 한국근해의 해항과 해양생물의 분포상
- 성별 :
- 남
- 분야 :
- 과학/동물
-
-
조어업 釣漁業타고 바다에 나가서 어류를 조획하는 외양성(外洋性) 조어업이 행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제주도에서는 망어업 대신에 조어업을 하였다. ≪신증동국...연승이 많이 사용되었다. 명태연승어업은 조선시대의 가장 중요한 조어업이었다.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에는 호남지방의 고등어조어업에 관한 설명...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중배엽성 기관 형성열린다. 어류·양서류의 성체와 파충류·조류·포유류의 배에서는 전신 대신 중신이 발달하여 신장기능을 한다. 후신은 파충류·조류·포유류에만 있다. 순환기관 척추동물에서 심장 시원세포군은 중배엽층의 배쪽 끝에서 발생하여 바로 인두 부분에 붙는다. 척추동물에서 주된 혈관은 특정위치에서 발달하는데, 내배엽...
-
-
모사사우루스 Mosasaurus위와 아래 턱의 치조골에 들어 있었다. 위 아래 2개로 구성된 턱뼈는 고등한 현생 왕도마뱀의 경우처럼 중간 부분에서 이어져 있었는데 앞부분은 인대(靭帶)로만...바닷속에 서식했던 두족류와 같은 연체동물, 상어와 같은 연골어류, 황새치와 같은 경골어류, 바닷거북과 같은 해양 파충류, 해양 근처에 서식하는 바닷새...
- 분류 :
- 척삭동물문 > 파충강 > 뱀목 > 모사사우루스과 > 모사사우루스속
- 먹이 :
- 경골어류 , 연골어류 , 해양성 조류 , 양서류
- 연대 :
- 백악기 후기
- 크기 :
- 최대 약 8~15m
- 무게 :
- 약 700kg~5000kg
- 학명 :
- Mosasaurus Conybeare
- 식성 :
- 육식
-
척추동물의 내분비계동물(어류·양서류·파충류)에 있어서 MSH의 분비 조절은 자신의 표피를 주위의 색, 심지어 무늬에 알맞게 조절하는 메커니즘의 기초가 된다. 갑상선 배(胚)의 인두 기층조직으로부터 발생하여 점차 분리되면서 목 근처의 기관 최상단부 가까이에서 분화를 끝낸다. 갑상선의 내분비 단위는 세포 1층의 두께로 된 여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