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e-Navigation 전자항법지원체계기존의 선박운항기술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를 융 ・ 복합하여 각종 해양안전정보를 선박과 육상간 실시간으로 공유 ・ 활용하기 위한 “차세대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로써, 국제해사기구(IMO)는 인적요인(人的要因)에 의한 해양사고 방지를 위해 '06년 도입을 결정하고 '19년부터 시행 예정
- 분야 :
- 해사안전
-
위성 항법 보정 시스템 DGPS, 衛星航法補正-GPS 오차 보정 기술. GPS 시스템은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 지상의 방송국에서 위성에서 수신한 신호로 확인한 위치와 실제 위치와의 차이를 전송하여 오차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
관성 항법 장치 INS, 慣性航法裝置잠수함, 항공기 등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유도 전자가 필요 없이 자이로(gyro) 등으로 구성되는 독자적인 항법 장치. 가속도 측정과 위치 데이터를 처리하며, 자동 조종 장치와 연동시키면 미리 설정된 항로를 자동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
-
쌍곡선 항법 雙曲線航法, hyperbolic navigation두 개의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궤적은 쌍곡선이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두지점에서 전파를 발사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 전파의 도달 시간의 차 또는 위상 차를 측정함으로써 궤적을 결정하는 방법. 로란-C(LORAN-C)와 같은 선박의 항법 시스템에 사용된다.
-
지구상위치파악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미국 국방부가 지상 2만 200㎞의 준동기궤도(準同期軌道)에 18대의 항법위성을 올려놓고 12시간마다 지구를 1바퀴 도는 GPS를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16대의 위성이 궤도를 돌고 있다. 한 지점에서는 4대의 위성을 볼 수 있는데, 각 위성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16m 이내의 정확도로...
-
항법 기하학적 팩터 geometrical factor항법좌표에서의 변화와 그것에 대응하는 거리의 변화와의 비이고, 항법좌표의 변화의 최대방향으로 거론된다. 항법좌표의 글라디엔트의 최대치이다. 〈참조어〉 항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