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 9대 왕, 성종 成宗
    어머니는 한확(韓確)의 딸 소혜왕후(昭惠王后)이다. 비(妃)는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 공혜왕후(恭惠王后)이며, 계비(繼妃)는 우의정 윤호(尹壕)의 딸 정현왕후(貞顯王后)이다. 1461년(세조 7) 자산군(者山君)에 봉해졌다가 1468년 잘산군으로 개봉되었다. 이해 세조가 죽고 예종이 19살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게...
    출생 :
    1457(세조 3)
    사망 :
    1494(성종 25)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재위 :
    1469년∼1494년
    시호 :
    강정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康靖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
    휘 :
    혈(娎)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세자궁
    능묘 :
    선릉(宣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선릉·정릉 宣陵·靖陵
    되었다. 이곳이 능지(陵址)로 선정된 것은 1495년(연산군 1)에 성종의 능인 선릉(宣陵)이 들어앉으면서부터였다. 그 뒤 1530년(중종 25)성종의 제2계비인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가 죽자 이 능에 안장하고 동원이강형식(同原異岡形式)으로 조영하였다. 다음 정릉(靖陵)은 중종의 능으로 1544년에 중종이 죽자 경기도...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윤사로
    1463년)는 조선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의 남편이다. 세조에게는 이복 매부가 되는데, 그의 사후 5촌 당숙인 윤호의 딸이 다시 성종비 정현왕후로 책봉되면서 왕실과는 이중 인척이 된다. 성종대의 재상인 윤필상은 4년 연하의 사촌동생이었다. 1436년(세종 18) 14세에 정현옹주와 혼인하여 영천군...
    도서 위키백과
  • 나인 內人
    그 애기가 세자에 책봉이 되면 내명부(內命婦) 최고의 빈(嬪)까지 올라간 예도 적지 않다. 뿐만 아니라 빈에서 왕비까지 된 예는 문종비 현덕왕후(顯德王后),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貞顯王后) 등이 있었다. 또한 왕비가 되었다가 죽음으로 끝난 희빈(禧嬪) 장씨 등이 있으며, 이것을 계기로, 궁녀에서 왕비로의 승격은...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선릉 宣陵
    사적 제199호. 1495년(연산군 1)에 조성되었다. 1530년(중종 25) 정현왕후 윤씨가 사망하자 그 옆에 윤씨의 능을 조성했다. 세조의 유교, 즉 "원(園)·능에는 석실이 유해무익하니 석실과 사대석을 쓰지 말라"는 유언에 따라 왕릉에는 석실을, 왕후릉에는 병풍석을 만들지 않았다. 그밖의 상설배치물은 〈국조오례의〉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선정릉 사적 제199호, 宣靖陵
    역사도 알려주는 고마운 장소이지만 선정릉의 내력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특히 지하철역에서 5분 정도만 걸어가면 조선의 제9대 왕인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가 모셔져 있다는 것은 더더욱 모른다. 성종의 아들 중종의 묘도 함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선정릉이라고 하는데, 선릉역이 잘 알려져 있어 선릉으로 통칭한다...
  • 장순왕후 Queen Jangsun, 章順王后
    다른 왕후들의 묘소보다 초라한 행색을 갖추었다. col-2 친조부: 사헌부감찰 증 영의정 한기(司憲府監察 贈 領議政 韓起, 1393~1429) 친조모: 예문관대제학 이척(藝文館大提學 李逖)의 딸 증 정경부인 여주 이씨(贈 貞敬夫人 驪州李氏) 아버지: 영의정 상당부원군 충성공 한명회(領議政 上黨府院君 忠成公 韓明澮, 1415...
    도서 위키백과
  • 중종반정 中宗反正
    훈신계열인 박원종·유순정(柳順汀)·성희안(成希顔) 등이 모의해 1506년 9월에 군자감부정 신윤무, 군기시첨정 박영문 등과 함께 무사들을 모아 궁금 세력의 대표자인 임사홍·신수근(愼守勤) 등을 제거한 다음 궁중에 들어가 성종의 계비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허락을 받아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중종을 등극시켰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동구릉 · 선정릉 조선왕조 왕릉 열전
    산책 삼아 걷기에 좋다. • 중앙선 구리역에서 마을버스 2, 6번 환승 후 동구릉 하차. 선정릉 강남의 도심 한가운데 있는 왕릉이 선정릉이다. 성종과 그의 계비 정현왕후, 두 사람의 아들 중종의 능이 있다. 세 개의 능이 있어 삼릉공원으로도 불린다.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도 선정릉에 묻히고자 했으나 태릉에 안장됐다...
  • 채수 기지, 蔡壽
    겸했으며, 1476년 문과 중시에 급제했고, 사가독서했다. 1478년 응교로 있을 때 도승지 임사홍(任士洪)의 비행을 탄핵하여 외직으로 좌천되게 했다. 1479년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의 폐위에 반대했다가 파직되었으나 1481년 직첩이 환급되었다. 그후 제학·충청도관찰사·한성부좌윤·대사성·호조참판 등을 지냈다...
    출생 :
    1449(세종 31)
    사망 :
    1515(중종 10)
    국적 :
    조선, 한국
  • 정창손 鄭昌孫
    이듬해 성종이 왕비 윤씨의 비행으로 폐하려 할 때 적극적으로 간하지 않았다. 이후 윤비는 빈(嬪)으로 강등되어 1479년에 사사당했다. 이듬해 계비 정현왕후 윤씨를 비로 책봉할 때 진책정사가 되었으며, 1485년 사직했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의 폐모논의에 참가한 죄로 한명회...
    출생 :
    1402년(태종 2)
    사망 :
    1487년(성종 18)
    국적 :
    조선, 한국
  • 윤호 숙보(叔保), 尹壕
    叔保). 윤승순(尹承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윤곤(尹坤)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윤삼산(尹三山)이며, 어머니는 이원(李原)의 딸이다. 성종비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72년(성종 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벼슬이 병조참판에 이르렀다. 1480년 성종이 딸을 왕비로 삼자 국구...
    시대 :
    조선
    출생 :
    1424년(세종 6)
    사망 :
    1496년(연산군 2)
    경력 :
    병조참판, 영돈녕부사, 우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파천집(坡川集)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1건

서울 선릉과 정릉 중 선릉 정현왕후릉 전경
서울 선릉과 정릉 중 선릉 정현왕후릉 석물 전경
묘법연화경 권5~7
선릉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존호 금인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존호 금인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존호 금인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시호 금보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시호 금보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시호 금보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시호 금보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시호 금보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존호 금인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시호 금보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시호 금보
성종계비 정현왕후 상존호 금인
더보기